하멜의 바이올린/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하멜의 바이올린

1. 개요
3. 극장판
4. TVA
4.1. 주제가
4.2. 회차 목록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하멜의 바이올린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및 극장판. 1996년에 TV판과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나왔는데 극장판이 먼저 나왔으며 두 애니메이션 사이에는 전혀 연결점이 없다.

작가 와타나베 미치아키는 애니메이션화 결정에 벅찬 감격을 느꼈는지 코믹스 중반 말미에 극장판의 애니메이션 감독과 제작 스텝들에 대한 크나큰 기대감을 표했지만 TV판 애니메이션이 방영된 이후 애니메이션에 대해 아무 언급조차 하지않았다.

만약 리메이크 애니판이 나올 경우 원작 만화판 스토리로 진행하기를 기대하는 반응이 많다.


2.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하멜의 바이올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극장판[편집]


파일:external/hameln.oshinchan.com/movie20.jpg

감독은 이마니시 타카시.

극장판은 만화판의 외전격에 해당하는 독자적 스토리이기 때문에 원작을 보지 않으면 세계관을 이해하기 힘들다. 스토리는 원작에서 오르골을 물리친 뒤 보컬과 맞닥뜨리는 중간 과정 부분. 따라서 중요 캐릭터 가운데 한명인 사이져는 처음부터 아군으로 등장한다. 악역인 오르골과 박진감 넘치는 배틀 영상이 나오는 오프닝은 거의 낚시급.

만화판과 비슷하게 개그 노선을 따르지만 극장판치고 상당히 짧다. 도합 30분 전후의 분량. 당시의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1시간이 채 안되는 분량으로 여러 작품을 동시상영하는 경우도 있었으니 유달리 특이한 건 아니다. 실제로 다른 만화 원작의 극장판들과 동시상영되었으며 당시 같이 상영 되었던 작품은 로토의 문장마법진 구루구루.


4. TVA[편집]


하멜의 바이올린 (1996~1997)
ハーメルンのバイオリン弾き
파일:하멜의바이올린_TV애니.jpg
작품 정보 ▼
원작와타나베 미치아키
감독니시무라 준지
시리즈 구성이마가와 야스히로
캐릭터 디자인나카지마 아츠코
미술 감독카토 켄지(加藤賢司)
촬영 감독후지쿠라 나오토(藤倉直人)
편집모리타 세이지(森田清次)
타카야마 치에코(高山智江子)
녹음 연출카메야마 토시키(亀山俊樹)
음악타나카 코헤이
애니메이션 제작파일:스튜디오 딘 로고.svg
제작포니캐년
방영 기간1996. 10. 02. ~ 1997. 03. 26.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TV 도쿄 / (수) 17:00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25화
국내 심의 등급심의 없음

극장판에 이어 공개된 TV판 애니메이션은 프레임을 상당히 떨어뜨린 정지화상의 연속으로 팬들에게 많이 까였다. 니시무라 준지 감독 말로는 체포하겠어와 동시기에 만들게 되어서 어쩔 수 없이 체포하겠어 쪽에 여력을 집중하고, 이쪽은 신세기 에반게리온 같이 정지 신을 많이 넣는 작품으로 연출했다고 한다. 말이 좋아서 그렇지 이쪽은 버리고 대충 만들었단 소리다. 이런 정지화상으로 땜빵한 슬라이드쇼같은 연출 때문에 팬들에게 과하게 비판받긴하지만 작화의 퀄리티 자체는 전체적으로 괜찮은 편이고, 군데군데 나름대로 연출에 신경 쓴 부분도 있다. 그리고 움직임이 있다는 것만으로 마냥 좋은 것도 아닌게 어줍잖게 동화를 늘리다가 작화가 무너지는 사례도 있기 때문에 제작사 측에서는 나름 선택과 집중을 한 셈. 물론 잘했다는 건 아니지만, 진짜 저질 애니메이션은 프레임뿐만 아니라 작화 자체만으로 비웃음을 산다.
작화 퀄리티와 별개로 화풍(그림체)도 원작과는 많이 다른데, 상기된 극장판이 그나마 원작과 화풍이 비슷하다.

또한 원작의 세계관과 캐릭터를 따르지만 캐릭터들의 성격이나 전반적인 분위기, 전개, 결말까지 무척 다르므로 원작을 먼저 봤다면 주의해야 한다. 원작은 코미디색이 짙지만 TVA는 시종 진지함과 우울함으로 점철돼있다. 캐릭터 설정도 원작과 다른 경우가 많아서, 대마왕의 정체는 물론 원작에서는 근육질 노인으로 묘사된 오보에의 본모습이 애니판에서는 길티기어슬레이어와 비슷한 미중년으로 묘사된다. 연출 뿐만 아니라 니시무라 준지 감독의 원작 파괴 성향까지 안 좋은 방향으로 극대화된 작품.

그래도 명색이 음악을 소재로 한 작품인 만큼 배경음악 하나는 좋다. 매 화마다 유명 클래식 음악이 삽입되어 귀가 심심하지 않다. 애니메이션의 사운드 부분을 거의 그대로 따온 드라마CD 세트가 발매되기도 하고, 캐릭터송 앨범도 발매되었다.

쿠메타 코지가 굉장히 싫어하는 작품으로 자기 작품에 여러번 "애니화를 괜히 한 작품"의 대표로 언급하고 있다.


4.1. 주제가[편집]


1기 오프닝은 Skirt의 매지컬 라비린스(Magical Labyrinth)로, 오프닝 영상과 곡 전반의 분위기가 굉장히 미려하고 경쾌하며 적당히 진지하고 우울함도 있다.


2기는 타나카 코헤이가 감수한 미완성 교향곡(未完成協奏曲. 교향곡이라 쓰고 콘체르토라 읽어야 한다.). 1기의 오프닝이 아이돌 취향의 발랄한 곡이었다면, 2기 오프닝은 보다 클래시컬하면서 오라토리오적인 웅장함을 살렸다. 다만 원작을 본 사람들은 모두 공감하겠지만, 원작은 전혀 이런 만화가 아니다...

1기 엔딩은 상처뿐인 날개(傷だらけのツバサ). IKEBUKURO가 시원하게 질러대는 샤우팅이 일품.

2기 엔딩은 태양과 달에 등을 돌리고(太陽と月に背いて). 노래는 야마구치 유코.


4.2.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제1화鎮魂歌(レクイエム
레퀴엠
니시무라 준지모리오카 히로시
(守岡 博)
나카지마 아츠코1996.10.02.
제2화運命のくるみ割り人形(マリオネット
운명의 쿠루미 마리오네트
와타나베 스미오
(渡辺純央)
무로이 세이진
(室井聖人)
1996.10.09.
제3화白鳥の湖
백조의 호수
시미즈 아키라
(清水 明)
사이토 테츠히토
(斎藤哲人)
1996.10.16.
제4화アンセムの追憶
앤셈의 추억
히시카와 나오키
(菱川直樹)
무로이 후미에
(室井ふみえ)
1996.10.23.
제5화ダルセーニョ炎上
달 세뇨 불타다
니시무라 준지모리오카 히로시사토 카즈미
(佐藤和巳)
1996.10.30.
제6화五つの希望の名の下に
다섯 개 희망의 이름 아래에
와타나베 스미오무로이 세이진1996.11.06.
제7화後継者・ハーメル
후계자 하멜
니시무라 준지시미즈 아키라사이토 테츠히토1996.11.13.
제8화パンドラの箱
판도라의 상자
히시카와 나오키무로이 후미에1996.11.20.
제9화勃発! 第二次スフォルツェンド大戦
발발! 제2차 스폴첸드 대전
와타나베 스미오모리오카 히로시사토 카즈미1996.11.27.
제10화《人》と《魔》の狭間に…
"사람"과 "악마"의 틈에…
와타나베 스미오사이토 테츠히토
츠바타 요시아키
(津幡佳明)
1996.12.04.
제11화真実の鏡
진실의 거울
시라하타 노부유키
(白旗伸朗)
시미즈 아키라카즈이 히로코
(数井浩子)
1996.12.11.
제12화旅の終わりに
여행의 끝에
히시카와 나오키무로이 후미에1996.12.25.
제13화戦いの傷痕
싸움의 상처
시노하라 토시야모리오카 히로시사토 카즈미1997.01.03.
제14화新たなる旅立ち!
새로운 여행길!
와타나베 스미오스즈키 요시나리
(鈴木芳成)
츠바타 요시아키1997.01.08.
제15화別れの(まち・センザ
작별의 항구 센저
스나가 츠카사시미즈 아키라카즈이 히로코1997.01.15.
제16화滅亡国家・スラー
멸망국가 스라
히시카와 나오키무로이 후미에1997.01.22.
제17화魔族として
마족으로써
시노하라 토시야모리오카 히로시사토 카즈미1997.01.29.
제18화ラスト・ショー
라스트 쇼
와타나베 스미오츠바타 요시아키1997.02.05.
제19화心 乱れて…
마음 심란해지고…
스나가 츠카사시미즈 아키라카즈이 히로코1997.02.12.
제20화復讐の幕開け
복수의 개막
히시카와 나오키무로이 후미에1997.02.19.
제21화ツィゴイネルワイゼン
지고이네르바이젠
시노하라 토시야모리오카 히로시사토 카즈미1997.02.26.
제22화最後の『皇帝』
최후의 "황제"
와타나베 스미오츠바타 요시아키1997.03.05.
제23화たち切れぬ絆
끊을 수 없는 인연
스나가 츠카사시미즈 아키라카즈이 히로코1997.03.12.
제24화開かれた箱
열려진 상자
히시카와 나오키무로이 후미에1997.03.19.
제25화終りなき ひとつの道
끝없는 하나의 길
아즈마야 조지
(四阿蔵志)
니시무라 준지
모리오카 히로시사토 카즈미1997.03.26.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하멜의 바이올린 문서의 r30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하멜의 바이올린 문서의 r3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1:48:14에 나무위키 하멜의 바이올린/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