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플래닛사이드 2/시설/설치형

덤프버전 : r20180326






1. 개요
2. 코르티움(Cortium)
3. 터렛(Turrets)
3.1. 사이포스 대보병 타워(Xiphos Anti-Personnel Tower)
3.2. 스피어 대전차 타워(Spear Anti-Vehicle Tower)
3.3. 스피어 대전차 포탑(Spear Anti-Vehicle Turret)
3.4. 아스피스 대공 타워(Aspis Anti-Air Tower)
3.5. 글레이브 IPC(Glaive IPC)
4. 도구(Tools)
4.1. 철거 도구(Deconstruction Tool)
5. 모듈(Modules)
5.1. 건축물 쉴드 모듈(Structure Shield Module)
5.2. 수리 모듈(Repair Module)
5.3. 알람 모듈(Alarm Module)
5.4. 터렛 AI 모듈(Turret AI Module)
5.5. 지원군 모듈(Reinforcements Module)
5.6. 하늘 쉴드 방사체(Skywall Shield Emitter)
6. 커버(Cover)
6.1. 램파트 방벽(Rampart Wall)
6.2. 블래스트 방벽(Blast Wall)
6.3. 차량 게이트(Vehicle Gate)
7. 건축물(Structures)
7.1. 벙커(Bunker)
7.2. 차량 램프(Vehicle Ramp)
7.3. 필박스(Pillbox)
7.4. 보병 타워(Infantry Tower)
7.5. 선더러 차고(Sunderer Garage)
7.6. 세력 배너(Faction Banner)
8. 발전기(Generators)
8.1. HIVE
8.2. 궤도 포격 업링크(Orbital Strike Uplink)
9. 병참(Logistics)
9.1. 코르티움 저장소(Cortium Silo)
9.2. 차량 탄약 디스펜서(Vehicle Ammo Dispenser)
9.3. 엘리시움 스폰 튜브(Elysium Spawn Tube)
9.4. 경차량 터미널(Light Vehicle Terminal)
9.5. 경항공기 터미널(Light Air Terminal)



1. 개요[편집]


플래닛사이드 2에는 유저가 직접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이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ANT가 코르티움을 채취하여 건설하며, 건축물 설치 장비를 손에 들고 있을 경우 지도상에 붉은색으로 표시된 지역에는 건설할 수 없다.

건축물은 하나하나의 가격이 상당히 비싸고, 제대로 된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선 대량의 코르티움이 필요할 뿐더러, 아무런 계획 없이 마구 건설하다 보면 아군 차량이 기지에 드나들 수 없게 되거나 방어가 허술해지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보통은 서로 잘 아는 유저들이 스쿼드, 플래툰 단위로 뭉쳐 계획적으로 기지를 건설한다.

자신이 소유한 건축물 중 다른 아군이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은 바라본 상태에서 Q 버튼을 꾹 누르는 것으로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 권한은 '아군 모두', '같은 스쿼드/플래툰 맴버', '자기 자신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현재 아군이든 적군이든 건물이 파괴되었는데 그 안에 있을 경우 피해를 입힐 수 없는 투명한 오브젝트 자체는 존재하는 판정 버그가 있다.

2. 코르티움(Cortium)[편집]


파일:Cortium_Nodes_All.png

건축물 설치 및 유지에 핵심적인 광물

아우락시움과 마찬가지로 보석인지 금속인지 구분이 안가는 광물. 소형은 2000, 중형은 6000, 대형 광물은 35000의 양을 가지고 있다. ANT가 피해를 입으면 채광할 수 없다. 체력은 무적이며 채광 시 15~48 정도의 경험치를 얻을 수 있다.

아우락시스 전역에서 발견되며, ANT가 이것을 채취하여 각종 건축물들을 건설한다.
모두 채취되거나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며, 마찬가지로 아우락시스에 자연적으로 스폰하는데, 스폰 지역에 차량이 있을 경우 차량을 튕겨내며 스폰한다(...).피해 본 사람 많다. 공군이 건설 도와주러 갔는데 자원이 갑툭튀하며 항공기가 터졌다던지

자주 보이는 정도는 인다르>호신>아메리시>에사미르 순으로 크다. 인다르 서부와 북부에서 가장 잘 보이며 VR(가상 훈련장)룸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에사미르는 중앙지역을 제외하면 잘 보이지 않는다.


3. 터렛(Turrets)[편집]


적을 공격하여 기지를 방어하는 건축물.
주로 대형 거점에서 볼 수 있는 터렛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타워형 터렛은 아래쪽 문을 통해 탑승할 수 있다.
기본 단축키 T를 사용하여 3인칭으로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3.1. 사이포스 대보병 타워(Xiphos Anti-Personnel Tower)[편집]


파일:Xiphos_Phalanx_Turret.png
Xiphos Anti-Personnel Tower
사격속도545RPM
포구속도600m/s
사격모드자동
피해량
최대10m이내 200
최소85m이후 167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20m
가격
기본파일:서트.png기본파일:DBC.png
설치 가격
1200파일:코르티움.png60파일:서트.png

기본적으로 건설 가능한 터렛.

대보병 터렛이지만 기갑에게도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명중률이 좋지 않은 편이라 다른 터렛보다 효용성은 떨어지는데 인공지능이 쏘면 상당한 명중률을 보여준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사용하면 데미지가 하락한다.


3.2. 스피어 대전차 타워(Spear Anti-Vehicle Tower)[편집]


파일:Spear_Phalanx_Turret.png
Spear Anti-Vehicle Tower
사격속도30RPM
포구속도250m/s
사격모드자동
피해량
최대175m이내 1550
최소300m이후 1250
최대간접피해0.5m이내 700
최소간접피해4m이후 1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20m
가격
1000파일:서트.png4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200파일:코르티움.png60파일:서트.png

기갑 상대로 효과적인 성능을 자랑하는 터렛.

대 보병용 터렛은 아니지만 보병을 직격 한방에 사살할 수 있고, 간접 피해도 범위만 좁을 뿐 데미지는 높다 보니 이걸로 보병을 사냥하는 유저들이 굉장히 많이 보인다.

스피어 대전차 포탑과 건설 가능 개수를 공유한다.


3.3. 스피어 대전차 포탑(Spear Anti-Vehicle Turret)[편집]


파일:Deployed_Spear_Phalanx_Turret_Short.png
Spear Anti-Vehicle Turret
사격속도30RPM
포구속도250m/s
사격모드자동
피해량
최대175m이내 1550
최소300m이후 1250
최대간접피해0.5m이내 700
최소간접피해4m이후 1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20m
가격
1000파일:서트.png4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200파일:코르티움.png60파일:서트.png

위의 대전차 타워와 같은 성능이지만 이쪽은 타워 위가 아닌 지상에 달라붙은 포탑이다.

스피어 대전차 타워와 건설 가능 개수를 공유한다.


3.4. 아스피스 대공 타워(Aspis Anti-Air Tower)[편집]


파일:Aspis_Phalanx_Turret.png
Aspis Anti-Air Tower
사격속도600RPM
포구속도1000m/s
사격모드자동
피해량
최대100m이내 130
최소500m이후 85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20m
가격
1000파일:서트.png4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200파일:코르티움.png60파일:서트.png

적 항공기를 요격하기 위한 포탑.

일반적인 기지의 대공 포탑과 달리, 근접신관을 사용하지 않으며, 대신 탄속과 연사력이 엄청나게 빠르다. 차량에 장착되는 대공기관포인 워커와 비슷한 성격의 포탑. 다만 연사력이 빨라진 만큼 과열도 빠르게 된다.

3.5. 글레이브 IPC(Glaive IPC)[편집]


파일:Glaive_IPC.png
Glaive IPC
사격속도?RPM
포구속도?m/s
사격모드자동
피해량
최대?
최소?
최대간접피해?
최소간접피해?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
가격
1500파일:서트.png7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250파일:코르티움.png?파일:서트.png

IPC는 이온화 입자 캐논(Ionized Particle Cannon)의 줄임말로서, 쉽게 이온 캐논이라고 부르면 된다.

이온 캐논의 사거리는 1000m로서, 건축물을 건설할 수 없는 위치에는 사격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이온 캐논은 적 건축물이나 하늘 쉴드를 제거할 때 주로 사용된다. 또한 작동하기 위해서는 터렛 AI 모듈의 효과 반경 내에 있어야 한다.

이온 캐논을 설치한 유저는 이온 캐논과 상호작용 버튼(기본 단축키 E)을 눌러 IPC 표적 다트를 얻을 수 있는데, 글레이브 IPC는 이 다트로 지정한 위치에 이온 캐논을 발사한다. 다른 아군이 사용하도록 변경하려면 이온 캐논을 바라본 상태에서 Q 버튼을 꾹 눌러 사용 권한을 변경할수도 있다.

이온 캐논이 발사되는 위치는 미니맵에 표시되며, 이 표시는 적군도 볼 수 있다. 게다가 이온 캐논의 탄속도 상당히 느리기에 움직이는 대상 상대로는 효과적이지 않다. 앞서 말했듯이 적 건축물이나 하늘 쉴드 상대로 사용하자.

발사 딜레이가 매우 길고, 한번에 3발씩 발사한다. 다트가 남아있고 코르티움이 충분하다면 무제한으로 사격한다.

여담이지만 이온 캐논의 다트는 총으로 쏴서 파괴할 수 있다. 많은 유저들이 잘 모르는 사실. 주변에 이온 캐논의 공격이 표시된다면 다트를 잘 찾아보자.


4. 도구(Tools)[편집]



4.1. 철거 도구(Deconstruction Tool)[편집]


파일:Deployable_Decon_Tool.png
Deconstruction Tool
가격
기본파일:서트.png기본파일:DBC.png

건축물을 단숨에 해체하는 도구.
건축물마다 패널이 존재하는데, 이 패널에 조준하고 사용한다.

해체할 수 있는 건축물은 본인 또는 본인이 속한 스쿼드원이 건설한 건축물에 한정된다.

과거에는 해체 제한이 없었고, 이 때문에 잘 지어진 기지를 적 쪽에서 보낸 부계정이나 트롤러(절대다수)가 마구잡이로 지우고 다녔다고 한다.


5. 모듈(Modules)[편집]



5.1. 건축물 쉴드 모듈(Structure Shield Module)[편집]


파일:Placeable_Module.png
Structure Shield Module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2
설치 반경20m
효과 반경35m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0.15파일:코르티움.png
가격
1000파일:서트.png3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000파일:코르티움.png60파일:서트.png

방벽, 벙커, 선더러 차고 등 보병이차 차량이 드나들 수 있거나 총안구가 존재하는 모든 건축물의 틈새 및 출입구에 쉴드를 씌워주는 모듈이다. 직사각형 틀 위에 세 개의 선이 존재한다.
또한 HIVE가 이 모듈의 효과 반경 안에 있을 경우엔 하이브 주변에 계란형의 쉴드를 씌워준다.


5.2. 수리 모듈(Repair Module)[편집]


파일:Placeable_Module.png
Repair Module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3
설치 반경25m
효과 반경25m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0.25파일:코르티움.png
가격
1000파일:서트.png3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000파일:코르티움.png60파일:서트.png

주변의 건축물들을 자동으로 수리하는 모듈. 렌치의 그림을 가지고 있다.
수리 속도가 굉장히 빠를 뿐더러, 방벽과 벙커 등 일부 건축물은 이 모듈의 효과 반경 내에 있을 경우 무적 상태가 되기에 최대한 먼저 파괴해야 한다.


5.3. 알람 모듈(Alarm Module)[편집]


파일:Placeable_Module.png
Alarm Module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2
설치 반경20m
효과 반경?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파일:코르티움.png
가격
1000파일:서트.png3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250파일:코르티움.png75파일:서트.png

적군이 감지되거나 알람 모듈로부터 100m 이내에 있는 건축물이 공격받을 경우 모듈 주인 및 주인이 속한 스쿼드 맴버들에게 경고해주는 모듈. 직사각형의 틀 위에 세 개의 선이 터지는 그림을 가지고 있다.
모듈 주인이 2분 이상 로그아웃 할 경우 이 모듈은 자동으로 해체된다.


5.4. 터렛 AI 모듈(Turret AI Module)[편집]


파일:Placeable_Module.png
Turret AI Module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2
설치 반경15m
효과 반경20m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0.1파일:코르티움.png
가격
1000파일:서트.png3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500파일:코르티움.png75파일:서트.png

효과 반경 내에 존재하는 터렛들에게 인공지능을 부여하는 모듈.
대보병 포탑은 보병만, 대전차 포탑은 지상 차량만, 대공 포탑은 적 항공기만 조준하고 공격한다.


5.5. 지원군 모듈(Reinforcements Module)[편집]


파일:Reinforcements_Module.png
Reinforcements Module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15m
효과 반경40m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파일:코르티움.png
가격
1250파일:서트.png3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500파일:코르티움.png75파일:서트.png

기지에 지원군이 필요한 경우 거리 상관없이 대륙의 모든 아군이 모듈 주변의 선더러에서 스폰할 수 있게 해 주는 모듈.


5.6. 하늘 쉴드 방사체(Skywall Shield Emitter)[편집]


파일:Placeable_Module.png
Skywall Shield Emitter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15m
효과 반경40m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0.2파일:코르티움.png
가격
1500파일:서트.png7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500파일:코르티움.png75파일:서트.png

하늘에 원형의 에너지 장벽을 펼치는 모듈.
이 에너지 장벽은 적군의 모든 공격을 막아낼 수 있지만 통과하는것은 막지 못한다.
하지만 적 보병이 에너지 장벽을 통과하면 치명적인 화염 데미지를 입기 때문에 움푹 파인 지형 안에 건설된 기지 위를 이걸로 덮어버리면 난공불락의 요새가 완성된다.
이를 돌파하기 위해선 압도적인 대 기갑 화력을 퍼부어서 하늘 쉴드를 일시적으로 무력화한 뒤 진입하거나 갤럭시에 아군 보병을 가득 싣고 방벽을 돌파하여 드랍하는 방법 정도밖에 없다.

특이하게도 절벽이나 절벽 위 땅에 겹친 경우 차량 한정으로 쉴드 위를 지나다닐 수 있다. 단 차량에서 내리면 보병은 그 위를 지나다닐 수 없는지 추락한다(...). 이 점은 적군 차량도 가능하다. 단 쉴드가 겹쳐있지 않으면 통과한다.


6. 커버(Cover)[편집]



6.1. 램파트 방벽(Rampart Wall)[편집]


파일:Rampart_Wall.png
Rampart Wall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3
설치 반경?
가격
기본파일:서트.png기본파일:DBC.png
설치 가격
1200파일:코르티움.png60파일:서트.png

좌우로 긴 방벽을 설치한다.
방벽 안쪽에는 보병이 올라갈 수 있는 발판이 있으며, 발판 위로 올라간 보병이 사격할 수 있는 총안구도 있다.


6.2. 블래스트 방벽(Blast Wall)[편집]


파일:Blast_Wall.png
Blast Wall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2
설치 반경?
가격
1000파일:서트.png3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000파일:코르티움.png60파일:서트.png

램파트 방벽보단 짧지만 높이가 조금 더 높고 양쪽으로 보병이 지나갈 수 있는 계단이 설치된 방벽.


6.3. 차량 게이트(Vehicle Gate)[편집]


파일:Vehicle_Gate.png
Vehicle Gate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2
설치 반경?
가격
1000파일:서트.png3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250파일:코르티움.png60파일:서트.png

차량이 드나들 수 있는 게이트를 설치한다.
건축물 쉴드 모듈의 효과 반경 내에 설치해야 게이트 쉴드가 생긴다.


7. 건축물(Structures)[편집]



7.1. 벙커(Bunker)[편집]


파일:Bunker.png
Bunker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2
설치 반경?
가격
기본파일:서트.png기본파일:DBC.png
설치 가격
1200파일:코르티움.png60파일:서트.png

보병이 드나들 수 있는 벙커.
벙커 둘레에는 보병이 사격할 수 있는 총안구가 있으며, 내부에는 보병 병과 터미널이 존재한다. 또한 외부에 설치된 계단을 통해 벙커 위로 올라갈수도 있다.

둘레가 너무 넓어서 다른 건물 배치에 지장을 주기에 보통은 기지 밖에 경로 방해용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내부에 보병 병과 터미널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왠만큼 잘 지어진 기지에는 배치된 선더러가 반드시 존재하기에 아무도 안 쓴다.

7.2. 차량 램프(Vehicle Ramp)[편집]


파일:Vehicle_Ramp.png
Vehicle Ramp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
가격
1000파일:서트.png3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000파일:코르티움.png60파일:서트.png

차량이 올라갈 수 있는 경사로를 설치한다.
차량이 방벽을 넘어서 기지 안으로 들어오거나 그 반대로 활용할수도 있지만 그럴바엔 선더러 차고나 차량 게이트를 설치하는게 더 낫다는건...

여튼 그 때문에 이 건물 자체가 많이 잉여한 건물이다. 지어도 그만, 안 지어도 그만.


7.3. 필박스(Pillbox)[편집]


파일:Pillbox.png
Pillbox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
가격
1000파일:서트.png3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250파일:코르티움.png?파일:서트.png

보병이 들어가 사격할 수 있는 소형 건물이다.

높이가 낮아서 방벽 뒤에 설치된 필박스에선 사격하기 힘들다. 보통 엘리시움 스폰 튜브를 안에 설치해 스폰룸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7.4. 보병 타워(Infantry Tower)[편집]


파일:Infantry_Tower.png
Infantry Tower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
가격
1500파일:서트.png7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500파일:코르티움.png75파일:서트.png

필박스보다 더 높은 건물이다.

높이가 높아서 방벽 뒤에 설치해도 보병이 사격하기 편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보병은 지상에서 뛰어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이 건물 안에서 사격하는 유저 대부분은 저격수다. 물론 안에 들어가서 자기는 안 맞고 상대방은 맞는 치사하게 플레이하는 유저도 없는 건 아니다. 여하간 시야확보에 좋으니 써보고 판단하자.


7.5. 선더러 차고(Sunderer Garage)[편집]


파일:Sunderer_Garage.png
Sunderer Garage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
가격
1500파일:서트.png7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500파일:코르티움.png75파일:서트.png

차량이 들어갈 수 있는 건물.

이름대로 선더러를 배치하는 차고로 사용하거나 방벽 사이에 설치하여 출입구로 사용할수도 있다.

내부 공간이 상당히 넉넉하기에 모듈이나 엘리시움 스폰 튜브, 또는 HIVE를 이 안에 설치하기도 한다.


7.6. 세력 배너(Faction Banner)[편집]


파일:Faction_Banner.png
Faction Banner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
가격
-파일:서트.png299파일:DBC.png
설치 가격
500파일:코르티움.png60파일:서트.png

장식품이다. 이 건물 지어진 기지 주변 영토 모두 다 내거다요


8. 발전기(Generators)[편집]



8.1. HIVE[편집]


파일:HIVE.png
HIVE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200m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3파일:코르티움.png
가격
기본파일:서트.png기본파일:DBC.png
설치 가격
2500파일:코르티움.png125파일:서트.png

Hardline Interference Volume Emitters
코르티움을 정제하는 발전기

코르티움 저장소에 저장된 코르티움을 정재하는 발전기. 적 워프게이트에 가깝게 지을수록 정제 효율이 높아진다.
하이브는 한 대륙에서 최대 7개를 가동할 수 있으며, 대륙이 처음 열릴 때 세력 당 2개의 하이브를 활성화할 기회가 주어진다. 이 코어는 일정시간 동안 가동이 안 되면 중립화되며, 다른 세력의 가동중인 하이브를 파괴하거나 중립화된 코어를 하이브를 먼저 지어 선점하면 아군이 활성화할 수 있는 하이브의 수가 늘어난다.

하이브를 가동할 경우 가동된 위치와 세력이 모든 세력의 채팅창에 표시되며, 지도상에도 하이브의 위치가 표시된다. 따라서 하이브를 가동하기 전 주변에 방벽과 포탑, 모듈 등을 설치하여 기지를 건설한 다음 마지막으로 하이브를 설치하는것이 좋다.

하이브를 가동하기 위해선 주변에 충분한 수의 아군이 존재해야 하며, 이는 기지 건설을 스쿼드 또는 플래툰 단위로 하는 또 다른 이유이기도 하다.

가동중인 하이브는 기본적으로 무적 상태가 되며, 중앙에는 코어가 생성된다. 코어는 하이브 중앙의 얇은 방어막으로 보호받으며, 이 보호막은 소화기에 데미지를 입지 않지만 대전차 화기에는 데미지를 입으며, 보병이 과부하할수도 있다. 보호박이 사라진 코어는 보병 소화기로도 데미지를 입힐 수 있고, 코어가 파괴되면 엄청난 폭발과 함께 주변의 모든 것을 날려버린다. 이 때 코어를 파괴한 유저의 닉네임과 세력이 채팅창에 표시된다.

가동중인 하이브를 기준으로 반경 150m 이내에선 20%의 추가 경험치를 얻을 수 있으며, 가동되지 않은 하이브는 보병 소화기로도 데미지를 입힐 수 있다.

특이사항이라면 궤도 포격 업링크 근처에 설치가 불가능하다. 기지를 세울 때 HIVE를 중심으로 세울지 궤도 포격 업링크 중심으로 세울지 고민해야한다.

8.2. 궤도 포격 업링크(Orbital Strike Uplink)[편집]


파일:Common_DPO_Placeables_OrbitalStrike_256x128.png
Orbital Strike Uplink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파일:코르티움.png
가격
2000파일:서트.png1499파일:DBC.png
설치 가격
3000파일:코르티움.png150파일:서트.png

최종병기

약칭 OS. 코르티움을 소모하여 궤도 포격을 가할 수 있는 건축물. HIVE와는 달리 사거리 내에 들어가야 지도상에 표시된다.

처음 설치하면 지도상에 업링크의 위치와 업링크를 중심으로 반투명한 원이 그려지는데, 이 원이 사거리로서, 업링크는 이 원 이내에만 사격이 가능하다. 처음 사거리는 200m로 매우 좁지만, 코르티움을 보급받으면 사거리가 점차 넓어지며, 최종적으로는 800m의 사거리를 지니게 된다. 또한 이 사거리 역시 적군의 지도상에도 표시된다.

궤도 포격 업링크를 설치한 유저는 패널에 다가가 상호작용 버튼(기본 단축키 E)을 눌러 목표 지시기를 얻을 수 있으며, 목표 지시기를 사용해 궤도 포격 요청을 할 수 있다. 궤도 포격 요청을 하면 궤도 포격 위치가 모든 세력의 지도상에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위치에 있는 모든 유저들에게 경고 메세지가 날아들며, 약 15초 뒤 한줄기 빛과 함께 모든것을 박살낸다.

위력은 그야말로 최종병기. 건축물이고 뭐고 한방에 싹 다 박살낸다. 하늘 방패가 있어도 무조건 한방. 거기에 주변의 보병과 차량을 날려버리는 추가 효과까지 있다. 다행히도 건축물을 건설할 수 없는 위치에는 궤도 포격 요청이 불가능하기에 적이 설치한 건축물 상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따금 건설 불가 범위 밖에서 벌어지는 기갑 포격전을 한방에 끝내기 위해 쏘는 경우도 있고, 한번 포격을 가한 이후엔 사거리 줄어들어 다시 충전해야 한다.

특이사항이라면 HIVE 근처에 설치가 불가능하다. 기지를 세울 때 HIVE를 중심으로 세울지 궤도 포격 업링크 중심으로 세울지 고민해야한다.

여담이지만 궤도 포격은 궤도상에 있는 우주전함 또는 정거장에서 수행하는 모양. 업링크는 단순히 궤도 포격을 가하는 무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용도인 것 같다. 또한 위에서 말했듯이 궤도 포격의 범위 내에 있으면 특별한 대사가 출력된다.#


9. 병참(Logistics)[편집]



9.1. 코르티움 저장소(Cortium Silo)[편집]


파일:Cortium_Silo.png
Cortium Silo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100m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0파일:코르티움.png
가격
기본파일:서트.png기본파일:DBC.png
설치 가격
1000파일:코르티움.png-파일:서트.png

기지 건설 및 유지에 핵심적인 건축물

사일로가 없더라도 ANT의 빌딩 터미널을 통해 건축물을 건설할 수는 있지만, 사일로는 50,000이나 되는 코르티움을 저장할 수 있는데다 모듈, 하이브는 사일로 주변에 건설해야만 코르티움을 소모하며 활성화된다.


9.2. 차량 탄약 디스펜서(Vehicle Ammo Dispenser)[편집]


파일:Vehicle_Ammo_Dispenser.png
Vehicle Ammo Dispenser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파일:코르티움.png
가격
1000파일:서트.png3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500파일:코르티움.png?파일:서트.png

주변의 지상 차량들에게 탄약을 보급하는 건물.

일반 기지에 있는 차량 탄약 타워의 축소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항공기 탄약은 보충해주지 않는다.

탄 보급 선더러를 배치한다면 크게 필요하지 않을 듯 싶지만 선더러는 건물에 비해 체력도 낮은데다 20분간 아무도 탑승하지 않으면 저절로 사라지는 문제가 있기에 디스펜서 세워두고 코르티움을 보급해주는게 경험치도 얻고 편하다.

9.3. 엘리시움 스폰 튜브(Elysium Spawn Tube)[편집]


파일:Elysium_Spawn_Tube.png
Elysium Spawn Tube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파일:코르티움.png
가격
1500파일:서트.png7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250파일:코르티움.png?파일:서트.png

아군 보병이 스폰할 수 있는 스폰 튜브.

기본적으로는 엘리시움 스폰 튜브 근처에 있는 아군만 스폰할 수 있지만, 보병이 엘리시움 스폰 튜브와 매트릭스 할 경우 대륙 어디서든간에 매트릭스 된 엘리시움 스폰 튜브에서 스폰할 수 있다. 매트릭스는 기본 단축키 E로 할 수 있다.
허허벌판에 설치할수도 있으나 보통은 선더러 차고, 필박스 안에 설치한다.

선더러로 이 녀석을 대체할수도 있지만 대륙 어디서든 스폰이 가능한 조건을 버리는 미련한 행동이다. 선더러는 백업 및 병과 터미널 대용으로 사용하는게 좋다.

9.4. 경차량 터미널(Light Vehicle Terminal)[편집]


파일:Light_Vehicle_Terminal.png
Light Vehicle Terminal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파일:코르티움.png
가격
2000파일:서트.png14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250파일:코르티움.png?파일:서트.png

MBT를 제외한 지상 차량을 생산할 수 있는 터미널과 차량 패드.

차량을 생산할때 나나이트 자원과 함께 나나이트 소모량의 두 배의 코르티움을 소모하므로 너무 과하게 사용하는건 금물. 라이트닝을 뽑을 수 있어 기갑이 급히 필요한 방어전일 때에는 그럭저럭 쓸만하고 선더러 주인이 게임을 나가거나 다른 차량을 뽑거나 전면전 와중 적 침투조의 공격으로 파괴되어 선더러가 사라졌을 때 즉시 뽑아 대처가 가능하다는 점도 차량 패드는 있으면 좋고 없으면 그만인 이유다.

인필트레이터가 해킹할수 있다.


9.5. 경항공기 터미널(Light Air Terminal)[편집]


파일:Light_Air_Terminal.png
Light Air Terminal
플레이어당 설치 제한1
설치 반경?
초당 코르티움 사용량?파일:코르티움.png
가격
2000파일:서트.png1499파일:DBC.png
설치 가격
1250파일:코르티움.png?파일:서트.png

ESF와 발키리만 생산 가능한 터미널과 항공기 패드.

차량을 생산할때 나나이트 자원과 함께 나나이트의 두 배의 코르티움을 소모하므로 너무 과하게 사용하는건 금물이며, 일반적인 항공 패드와는 달리 탄 보급 기능은 존재하지 않는다. 항공기를 타다가 탄약이 바닥났다면 항공기 패드가 존재하는 아군 기지로 향하자. 또한 차량 패드에 비해 공간을 3차원적으로 너무 많이 차지하는 탓에 차량 패드와 달리 차라리 안 만드는 게 좋을 정도다. 또 항공기는 지상 차량과는 다르게 워프게이트에서 뽑아서 날아와도 될 정도로 빠르다. 여튼 벙커처럼 버림받아 볼 일 없는 신세.

인필트레이터가 해킹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