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그룹 D 플랫폼

덤프버전 : (♥ 0)

파일:폭스바겐 그룹 로고.svg 폭스바겐 그룹의 대형차 플랫폼
시작D 플랫폼MLB 플랫폼
MSB 플랫폼

파일:폭스바겐 그룹 로고.svg
파일:external/www.carsaddiction.com/88__AUDI_V8_.jpg
최초 적용 차량인 아우디 V8(Typ 44)
Volkswagen Group D Platform

1. 개요
2. 상세
3. 적용 차량
3.1. 1세대(D1) (1988 ~ 1993)
3.2. 2세대(D2) (1994 ~ 2002)
3.3. 3세대(D3) (2002 ~ 2009)
3.3.1. 파생형: 폭스바겐 D1 (2002 ~ 2019)



1. 개요[편집]


폭스바겐 그룹에서 1988년부터 2009년[1]까지 활용한 4WD 및 4WD 기반 전륜구동 대형차자동차 플랫폼이다.


2. 상세[편집]


1988년에 아우디 A8의 전신인 아우디 V8가 최초로 사용하였다. 자회사인 아우디가 주도로 개발한 C 플랫폼의 휠베이스를 늘려서 개발하였다.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졌고 강성을 줄이지 않고도 중량을 크게 줄이는 도움을 주었다. 또한 C 플랫폼 같이 적용 차종이 1종밖에 안된다는 단점이 있다.

엔진은 V형 6/8/10기통 엔진과 W12 엔진이 탑재되고 변속기는 4~6단, 8단 자동변속기와 5~6단 수동변속기, CVT가 탑재된다.

플랫폼 적용 차량의 주요 생산지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네카르줄름이다.

파생형으로는 폭스바겐이 아우디의 D3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한 D1 플랫폼이 있다. 아우디 V8에 사용하였던 D1 플랫폼과는 이름만 다르고 강철 재질로 만들어졌다. 이쪽은 독일 작센드레스덴영국 체셔주 크루에서 생산되었다.

후속 플랫폼은 MLB 플랫폼[2]MSB 플랫폼[3]이다.


3. 적용 차량[편집]



3.1. 1세대(D1) (1988 ~ 1993)[편집]


파일:아우디 로고.svg 아우디의 D1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아우디v81.jpg
1988 ~ 1993
V8


3.2. 2세대(D2) (1994 ~ 2002)[편집]


파일:아우디 로고.svg 아우디의 D2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a8d2a.jpg
1994 ~ 2002
A8 (1세대)


3.3. 3세대(D3) (2002 ~ 2009)[편집]


파일:아우디 로고.svg 아우디의 D3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a8d3a.jpg
2002 ~ 2009
A8 (2세대)


3.3.1. 파생형: 폭스바겐 D1 (2002 ~ 2019)[편집]


파일:폭스바겐 로고.svg 폭스바겐의 D1 플랫폼(폭스바겐)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tUgihGY.jpg
2002 ~ 2016
페이톤

파일:벤틀리 로고.svg 벤틀리의 D1 플랫폼(폭스바겐)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콘티넨탈1-1.jpg
2003 ~ 2011
컨티넨탈 (1세대)
파일:external/www.seriouswheels.com/2005-Bentley-Continental-Flying-Spur-FA-Mountains-1280x960.jpg
2005 ~ 2013
컨티넨탈 플라잉 스퍼 (1세대)
파일:콘티넨탈2-2.jpg
2011 ~ 2017
컨티넨탈 (2세대)
파일:external/auto-database.com/bentley-continental-flying-spur-2014-wallpaper-307265.jpg
2013 ~ 2019
플라잉 스퍼 (2세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22:57에 나무위키 폭스바겐 그룹 D 플랫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파생형인 폭스바겐 D1 플랫폼을 포함하면 2019년.[2] 아우디 및 폭스바겐[3] 벤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