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스틸러스/AFC 챔피언스 리그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항 스틸러스


[ 펼치기 · 접기 ]


||<|3><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5%> 정보 ||<width=15%><colbgcolor=#ad181d> 구단 ||포항 스틸러스 · 포항 스틸러스 U-18 ||
|| 선수단 ||로스터 · 로스터(간략) · 로스터(임대) ||
|| 스태프 ||스태프 · 유소년스태프 ||
||<|2> 역사와 인물 || 역사 ||역사 · 우승 기록 · ACL 기록 · 역대 시즌 · 유니폼 · 등번호 ||
|| 관련 인물 ||주요 인물 · 역대 사장 · 역대 감독 · 명예의 전당 · 원클럽맨 · 프랜차이즈 선수 ||
||<|4> 문화 || 더비 매치 ||동해안 더비 · 검빨더비 · 제철가 더비 · 클래식 더비 ||
|| 서포팅 ||서포터즈 · 응원가 ||
|| 커뮤니티 ||포항 스틸러스 마이너 갤러리 ||
|| 기타 ||영일만 친구 · 스틸타카 · 마스코트 · 사건 사고 ||
||<|2> 구단 시설 || 경기장 ||포항스틸야드 · 포항종합운동장 ||
|| 훈련 ||송라클럽하우스 ||
||<|3> 이 외 || 연고지 ||경상북도 포항시 ||
|| 기업 ||<bgcolor=#ffffff,#191919>포스코 · 포스코케미칼 · 포스코건설 ||


1. 개요
2.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6 ~ 2001)
3. AFC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2002 ~ )
3.1. 2008 시즌
3.2. 2009 시즌
3.3. 2010 시즌
3.4. 2012 시즌
3.5. 2013 시즌
3.6. 2014 시즌
3.7. 2016 시즌
3.8. 2021 시즌
3.9. 2023-24
4. AFC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 시즌별 기록
5. 여담
6. 클럽별 역대 전적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포항 스틸러스AFC 챔피언스 리그 기록이 정리된 문서. 통산 우승 횟수 3회K리그팀들 중 가장 많은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1]


2.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6 ~ 2001)[편집]


  • 우승(2회) : 1996-97, 1997-98
  • 8강 : 1998-99[2]

3. AFC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2002 ~ )[편집]



3.1. 2008 시즌[편집]


라운드상대팀원정합계
조별리그 E조파일:호주 국기.svg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0-20-13위
파일:베트남 국기.svg 빈즈엉 FC0-04-1
파일:중국 국기.svg 창춘 야타이2-20-1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항 스틸러스/2008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2009 시즌[편집]


라운드상대팀원정합계
조별리그 H조파일:호주 국기.svg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3-20-01위
파일:일본 국기.svg 가와사키 프론탈레1-12-0
파일:중국 국기.svg 톈진 터다1-00-0
16강파일:호주 국기.svg 뉴캐슬 유나이티드 제츠6-0
8강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부뇨드코르4-11-35-4
4강파일:카타르 국기.svg 움 살랄2-02-14-1
결승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2-1 (우승)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항 스틸러스/2009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3. 2010 시즌[편집]


라운드상대팀원정합계
조별리그 H조파일:호주 국기.svg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0-00-12위
파일:일본 국기.svg 산프레체 히로시마2-13-4
파일:중국 국기.svg 산둥 루넝1-02-1
16강파일:일본 국기.svg 가시마 앤틀러스1-0
8강파일:이란 국기.svg 조브 아한1-11-22-3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항 스틸러스/2010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 2012 시즌[편집]


라운드상대팀원정합계
플레이오프파일:태국 국기.svg 촌부리 FC2-0
조별리그 E조파일:일본 국기.svg 감바 오사카2-03-03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부뇨드코르0-20-1
파일:호주 국기.svg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1-00-1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항 스틸러스/2012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5. 2013 시즌[편집]


라운드상대팀원정합계
조별리그 G조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 궈안0-00-23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부뇨드코르1-12-2
파일:일본 국기.svg 산프레체 히로시마1-11-0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항 스틸러스/2013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6. 2014 시즌[편집]


라운드상대팀원정합계
조별리그 E조파일:일본 국기.svg 세레소 오사카1-12-01위
파일:태국 국기.svg 부리람 유나이티드0-02-1
파일:중국 국기.svg 산둥 루넝2-24-2
16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1-02-13-1
8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C 서울0-00-0
(0-3p)
0-0
(0-3p)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항 스틸러스/2014년/AFC 챔피언스 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7. 2016 시즌[편집]


< 라운드상대팀원정합계
플레이오프파일:베트남 국기.svg 하노이 T&T FC3-0
조별리그 H조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0-20-04위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01-1
파일:호주 국기.svg 시드니 FC0-10-1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항 스틸러스/2016년/AFC 챔피언스 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8. 2021 시즌[편집]


라운드상대팀원정합계
조별리그 G조파일:태국 국기.svg 랏차부리 미트르 폴2-00-02위
파일:일본 국기.svg 나고야 그램퍼스1-10-3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조호르 다룰 탁짐4-12-0
16강파일:일본 국기.svg 세레소 오사카1-0
8강파일:일본 국기.svg 나고야 그램퍼스3-0
4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현대1-1
(5 PSO 4)
결승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0-2 (준우승)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항 스틸러스/2021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9. 2023-24[편집]


라운드상대팀원정합계
J조우한 싼전3-11-11위
하노이 FC2-04-2
우라와 레즈2-12-0

4. AFC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 시즌별 기록[편집]


시즌경기득점실점득실차결과
2008612367-1조별리그
200912831249+15우승
201094321110+18강
2012740384+4조별리그
2013614156-1조별리그
201410550147+78강
20167223550조별리그
202110532148+6준우승
합계673022158756+31


5. 여담[편집]


  • 1967년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에 포항 스틸러스의 전신에 해당하는 대한중석 축구단이 참가하여 대회 3위 성적을 거둔 기록이 있다. 다만 대한중석 축구단 해체 이후 선수단과 코치진들을 포항이 계승했지만 공식적으로 두 팀은 별개의 팀이기 때문에 기록을 계승하지는 않는다.

  • 부산 아이파크와 수원삼성 블루윙즈와 함께 동남아 팀에게 지지 않은 세 팀 중 하나다. 하지만 동남아 3팀과 무승부를 했다.

  • J리그에게 강하다. 12승 5무 2패를 기록했다.

6. 클럽별 역대 전적[편집]


우라와 레즈3승 1무
세레소 오사카2승 1무
나고야 그램퍼스2승 1무 1패
산프레체 히로시마2승 1무 1패
감바 오사카2승
가와사키 프론탈레1승 1무
가시마 앤틀러스1승
창춘 야타이1무 1패
베이징 궈안1무 1패
광저우 헝다1무 1패
조브 아한1무 1패
알 힐랄1패
부뇨드코르1승 2무 3패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1승 1무 4패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3:13:01에 나무위키 포항 스틸러스/AFC 챔피언스 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AFC 챔피언스 리그는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및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의 역사와 기록을 공식적으로 계승하였기 때문에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당시의 우승 기록 역시 합산된다.#1 #2[2] 8강 조별리그 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