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1/2011시즌/1R~5R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1시즌


1. 개요
2. 파일:호주 국기.svg 1R: 2011 포뮬러 1 콴타스 호주 그랑프리 (호주 GP)
2.1. 퀄리파잉
2.2. 레이스
3.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R: 2011 포뮬러 1 페트로나스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말레이시아 GP)
3.1. 퀄리파잉
3.2. 레이스
4. 파일:중국 국기.svg 3R: 2011 포뮬러 1 UBS 중국 그랑프리 (중국 GP)
4.1. 퀄리파잉
4.2. 레이스
5.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4R: 2011 포뮬러 1 DHL 터키 그랑프리 (터키 GP)
5.1. 퀄리파잉
5.2. 레이스
6. 파일:스페인 국기.svg 5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에스파냐 산탄데르 2011 (스페인 GP)
6.1. 퀄리파잉
6.2. 레이스


1. 개요[편집]


포뮬러 12011 시즌 중 1R부터 5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파일:호주 국기.svg 1R: 2011 포뮬러 1 콴타스 호주 그랑프리 (호주 GP)[편집]



2.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1:23.5291번째
P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778s2번째
P3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 0.866s3번째
P4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 1.250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 1.445s5번째
P6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 1.718s6번째
P7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1.892s7번째
P8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2.070s8번째
P916.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 2.097s9번째
P10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3.537s10번째
[ Q2 결과 ]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27.222Q2 진출
P18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르노)
+ 0.017s18번째
P19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 2.032s19번째
P20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2.120s20번째
P21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2.636s21번째
P22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3.600s22번째
DNQ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HRT - 코스워스)
+ 5.756sDNQ[107%]
DNQ22.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코스워스)
+ 7.071sDNQ[107%]

[107%] A B Q1 1위의 107% 기록을 초과
107% 기록 - 1:31.267

개막전 퀄리파잉에서 레드불이 그리드를 압살할 만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지난 시즌 드라마틱한 챔피언 타이틀 획득을 이룬 페텔은 2위인 해밀턴을 0.7초 차로 누르며 쉽게 폴을 가져왔고, 웨버도 해밀턴에 근소하게 뒤쳐진 3위를 기록하였다. 레드불이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준 가운데, 그 뒤로는 맥라렌과 페라리가 멀찍이 뒤따르는 숏런을 보여주었다. 메르세데스가 확실한 4위권을 마크하는 듯한 퀄리파잉을 보여주었고, 이외에는 지난 시즌 중위권은 마크했던 윌리엄스가 중하위권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최하위 3팀은 여전히 다른 팀들과 경쟁을 할 수 없는 페이스를 보여주었다. 그나마 낫다던 팀 로터스는 코발라이넨과 트룰리가 18위인 하이트펠트와 2초나 차이가 났고, 로터스 뒤에는 버진이, 그리고 최하위를 기록한 HRT는 두 드라이버가 넉넉하게 107%를 넘으며 레이스 출전이 불허되는 불명예를 떠안고 말았다. F1 팀이 107% 기록 초과로 레이스 출전을 할 수 없게 된 일은 9년 전 2002 독일 GP에서 미나르디 F1 팀알렉스 융 이후 처음있는 일이었다.


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1:29:30.25925
2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 22.297s18
3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 30.560s15
4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 31.772s12
5위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 38.171s10
6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 54.304s8
7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1:25.1866
8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1 Lap4
9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 Lap2
10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 Lap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1 Lap
12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르노)
+ 1 Lap
13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2 Laps
14위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4 Laps
NC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9 Laps
DNF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Transmission]
DNF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Collision_damage]
DNF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Water_leak]
DNF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Collision_damage]
DNF1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코스워스)
[Transmission]
DSQ17.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페라리)
[Illegal_rear_wing]
DSQ16.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Illegal_rear_wing]

[Transmission] A B 트랜스미션 문제로 리타이어[Collision_damage] A B 충돌 데미지로 인해 리타이어[Water_leak] 냉각수 누수로 리타이어[Illegal_rear_wing] A B 레이스 종료 후 검차 과정에서 리어 윙이 규정에 부적합하다는 판정이 나와 실격 처리되었다.

패스티스트 랩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1:28.947 (Lap 55)

폴시터인 페텔은 좋은 스타트와 함께 일찌감치 크루징 모드에 들어갔고, 거의 모든 랩을 리드하며 압도적인 페이스로 폴 투 윈을 장식하였다. 그나마 페텔의 페이스에 약간이나마 근접할 수 있었던 해밀턴은 페텔과는 거리는 멀었지만 후미권과 확고하게 격차를 유지하며 무난하게 준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다. 반면 3위에서 스타트했던 웨버는 또 한 번 스타트 미스로 홈 그랑프리에서 순위를 잃어가고 말았으며, 결국 후반부에 페트로프와 알론소에 접근하지 못하고 5위로 마무리하였다.

3위를 기록한 페트로프에겐 F1 데뷔 후 처음이자 마지막 포디움이었다. 6위에서 시작하여 나쁘지 않은 스타트와 함께 좋은 페이스를 유지하였고, 후반부에는 알론소의 공세가 있었으나 순위를 지켜내며 포디움에 올라섰다. 젠슨 버튼의 경우엔 마싸와 치열하게 순위 경쟁을 하다가 코너 컷팅을 하며 부득이한 타임 이득을 보고 말았다. 이에 스튜어드들은 버튼에게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를 내렸고 버튼은 포디움 경쟁권에서 내려와 결국 6위로 마무리하였다. 마싸는 8위를 기록했으나 페레스의 실격으로 7위를 기록.

중위권에선 자우버의 실격 이슈가 있었다. 레이스 종료 후의 검차 과정에서 자우버의 리어 윙이 규정에 부적합한 것이 판명되어 데뷔전에 7위로 완주한 페레스와 그 뒤로 좋은 순위를 기록했던 고바야시가 실격되고 만 것이었다. 이 덕에 부에미가 8위를 기록하게 되었고, 포스 인디아 듀오가 9,10위가 되며 더블 포인트 피니쉬를 달성할 수 있었다.

로버트 쿠비차의 이탈로 급하게 시즌 엔트리에 이름을 올린 하이트펠트는 12위를 기록하며 힘든 복귀전을 가졌다. 최하위권은 예상대로 전혀 경쟁력 없는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트룰리가 그나마 페이스를 힘겹게 유지하며 2바퀴만 백마커 된 채로 13위로 완주했다. 이 순위 역시 많은 상위권 드라이버들이 차량 문제와 충돌로 리타이어하였기에 가능했던 순위였지만, 그래도 개막전에 라이벌인 버진 레이싱과 HRT를 누르고 컨스트럭터 순위 경쟁에서 우위를 일찍 점할 수 있게 되었다.



3.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R: 2011 포뮬러 1 페트로나스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말레이시아 GP)[편집]


개막전에서 넉넉하게 DNQ를 당한 HRT는 마침내 2011 시즌 규정에 맞는 프런트윙의 충돌 테스트를 통과하여 새 프런트윙이 장착된 레이스카를 준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덕분에 그나마 성능 향상이 많이 이루어져 이번 경기부터는 DNQ를 당하지 않았다.

3.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34.8701번째
P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0.104s2번째
P3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0.309s3번째
P4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0.330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932s5번째
P6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닉 하이트펠트 (르노)+ 1.254s6번째
P7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1.381s7번째
P8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1.454s8번째
P9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939s9번째
P1016.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1.950s10번째
[ Q1 결과 ]

개막전과 비교하여 큰 변화 양상은 없었다. 레드불과 맥라렌은 각각 1,3 그리드와 2,4 그리드를 확보하며 상위권을 마크하였고, 그 뒤로 페라리와 르노가 그리드를 차지하였다. 닉 하이트펠트는 개막전 Q1 탈락의 수모를 뒤로 하고 이번 퀄리파잉에서 인상적인 퍼포먼스를 다시 보여주었다. 최하위권에선 HRT가 2011 시즌에 맞는 프런트윙을 새로 들고 나오며 DNQ는 면할 수 있었다.

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37:39.83225
2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3.261s18
3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닉 하이트펠트 (르노)+ 25.075s15
4위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26.384s12
5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36.958s10
6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57.248s[+20s][1]8
7위16.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1:06.4396
8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1:09.957[+20s][2]4
9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24.8962
10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31.563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41.379
12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1 Lap
13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1 Lap
14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1 Lap
15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 1 Lap
16위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2 Laps
17위[90%]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Steering]
DNF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HRT - 코스워스)
[Rear_wing]
DNF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Electronics]
DNF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Clutch]
DNF17.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페라리)
[Electrical]
DNF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Hydraulics]
DNF22.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코스워스)
[Mechanical]
DNF1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코스워스)
[Engine]

[90%] 레이스 전체 거리의 90% 이상을 달려 순위 인정[Steering] 스티어링 문제로 리타이어[Rear_wing] 리어윙 문제로 리타이어[Electronics] 전자계통 문제로 리타이어[Clutch] 클러치 문제로 리타이어[Electrical] 전기계열 문제로 리타이어[Hydraulics] 유압 계통 문제로 리타이어[Mechanical] 기타 기계적 결함으로 리타이어[Engine]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


페텔의 대단한 레이스 페이스가 돋보인 경기였다. 사실상 레이스 리드를 거의 뺏기지 않은 채 경기를 이끌어 나갔고, 마지막까지 여유롭게 레이스 페이스를 관리하며 2연승을 챙겼다. 놀라운 퍼포먼스를 보여준 드라이버는 동향 선배인 닉 하이트펠트였다. 로켓 스타트와 함께 6위에서 2위로 점프하여 레이스 초반엔 페텔의 뒤를 이어 달려갔고, 비록 젠슨 버튼에게 추월을 허용했지만 레이스 막판에 웨버의 공세를 이겨내고 포디움을 차지할 수 있었다. 이 경기 포디움 이후 하이트펠트는 전반기 종료 후 F1 커리어를 마감하였기에 이는 하이트펠트의 F1 마지막 포디움이 되었다.

페라리는 5-6위로 무난한 레이스를 펼쳤다. 그러나 알론소가 해밀턴을 추월하는 과정에서 충돌을 일으켜 20초 페널티를 받았고, 여기에 해밀턴 역시 알론소와의 배틀 도중 지나치게 위빙을 했다는 이유로 같이 20초 페널티를 받았다. 해밀턴은 이로 인해 6위에서 최종 8위로 큰 손해를 보고 말았다. 이어 고바야시와 슈마허가 시즌 첫 포인트를 획득하였고, 신인 드라이버인 디 레스타는 2연속 포인트 피니쉬로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었다.



4. 파일:중국 국기.svg 3R: 2011 포뮬러 1 UBS 중국 그랑프리 (중국 GP)[편집]



4.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33.7061번째
P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0.715s2번째
P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0.757s3번째
P4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0.964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413s5번째
P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1.439s6번째
P7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2.452s7번째
P8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2.484s8번째
P9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2.497s9번째
P10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No time10번째
[ Q2 결과 ]
[ Q1 결과 ]


4.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1:36:58.22625
2위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5.198s18
3위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7.555s15
4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10.000s12
5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3.448s10
6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15.840s8
7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30.622s6
8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31.026s4
9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57.404s2
10위16.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1:03.273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08.757
12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르노)
+ 1:12.739
13위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30.189
14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1:30.671
15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 Lap
16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 1 Lap
17위17.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페라리)
+ 1 Lap
18위1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 Lap
19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1 Lap
20위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2 Laps
21위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2 Laps
22위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HRT - 코스워스)
+ 2 Laps
23위22.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코스워스)
+ 2 Laps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Wheel]

[Wheel] 휠 문제로 리타이어


레이스 시작 전, 3위에서 시작할 예정이던 해밀턴의 레이스카에 연료 관련 이슈가 발생하여 피트레인 스타트를 할 위기에 쳐했지만, 다행히 문제가 해결되며 스타트를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스타트를 하자마자 팀메이트인 버튼과 함께 로켓스타트로 폴시터인 페텔을 제치고 맥라렌 듀오가 선두권에 올라섰다. 이후 해밀턴은 버튼의 뒤를 쫓아감과 동시에 페텔에게 순위를 빼앗기려 하지 않았고, 버튼이 피트인 한 이후엔 페이스를 끌어올려 순위를 올리고자 하였다. 레이스의 약 1/3을 돈 시점에서 해밀턴도 피트인을 하였고, 이후엔 로즈버그가 오버컷 전략을 강행하였다. 이후 페텔이 선두를 되찾았으나, 페이스가 매우 빨랐던 해밀턴이 52랩 째에 페텔을 추월하며 그대로 완주, 시즌 첫 승을 신고하였다. 팀메이트인 버튼은 막판에 웨버에게 아쉽게 추월당해 4위를 차지하였고, 레드불은 더블 포디움으로 만족할 수 있었다. 특히 웨버의 경우 18위에서 시작해 어마어마한 레이스 페이스를 보여주며 3위까지 오른 것은 백미.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레드불 - 르노105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85
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50
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르노32
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16

5.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4R: 2011 포뮬러 1 DHL 터키 그랑프리 (터키 GP)[편집]


시즌 첫 유럽 레이스를 앞두고 여러 팀들이 업데이트를 들고 나왔다. 우선 최하위 팀들 중에서 버진 레이싱은 에어로 업데이트 패키지를 들고 나와 티모 글록에게 우선적으로 적용하였다. HRT 역시 업데이트를 단행함으로써 성능 발전을 도모하였다. 윌리엄스 팀은 차량 선회에 도움이 될만한 업데이트를 통해 시즌 무득점 행진에서 벗어나고자 하였고, 상위팀인 맥라렌과 르노, 페라리와 메르세데스는 선두권인 레드불을 잡기 위해 KERS 업데이트를 들고나왔다.

한편, 터키 GP는 이 경기를 끝으로, 9년 뒤 전 세계를 위협한 전염병으로 인해 많은 그랑프리들이 취소되어 대타로 들어오기 전까지 더 이상 열리지 않았다.

5.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25.0491번째
P2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0.405s2번째
P3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0.525s3번째
P4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0.546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802s5번째
P6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0.933s6번째
P7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1.247s7번째
P8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597s8번째
P9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닉 하이트펠트 (르노)+ 1.610s9번째
P10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No time10번째
[ Q2 결과 ]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2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1:28.246Q2 진출
P18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 0.534s18번째
P19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1.427s19번째
P20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2.199s23번째[-5][1]
P21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HRT - 코스워스)
+ 2.446s20번째
P22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2.567s21번째
P2322.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코스워스)
+ 3.318s22번째
P2416.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No time24번째[107%][Q]

[-5] 5 그리드 페널티[1] FP2 세션에서 말도나도의 사고 처리를 위해 발령된 황색기 상황을 지키지 않아 페널티 부여[107%] [Q] 스튜어드들의 허가를 받아 레이스 출전

Q1 시작부터 고바야시가 레이스카 문제로 랩타임도 찍지 못하고 그리드 최후미를 확정지었고, 나머지 최하위 6자리는 로터스, 버진, HRT 팀 드라이버들이 채웠다. 이후 Q2에서 윌리엄스의 바리첼로가 고무적인 랩타임을 기록하며 Q3 언저리까지 올라온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윌리엄스의 기대를 모을 수 있었다. 이후 폴 포지션은 페텔의 차지였다. 0.4초 차이로 거의 완벽한 랩타임을 보여주며 레이스 우승에 더욱 가까워졌고, 그 뒤로 웨버와 로즈버그가 순위를 확정지었다.

5.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30:17.55825
2위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8.807s18
3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0.075s15
4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40.232s12
5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47.539s10
6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59.431s8
7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닉 하이트펠트 (르노)+ 1:00.8576
8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1:08.1684
9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1:09.3942
10위16.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1:18.021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1:19.823
12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 1:25.444
13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 Lap
14위17.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페라리)
+ 1 Lap
15위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 Lap
16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1 Lap
17위1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 Lap
18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1 Lap
19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 2 Laps
20위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2 Laps
21위22.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코스워스)
+ 3 Laps
22위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HRT - 코스워스)
+ 5 Laps
DNF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Wheel]
DNS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Gearbox_issue]

[Wheel] [Gearbox_issue] 기어박스 문제


레이스 시작 전에 티모 글록이 기어박스 이슈로 스타트를 하지 못한 채 23명의 드라이버가 레이스를 시작하였다. 폴 시터인 페텔은 좋은 스타트로 일찌감치 앞서나간 채 사실상 크루징을 하기 시작하였다. 10랩 째에 2위와 6초 간격을 벌렸고, 피트인을 한 뒤에야 그나마 선두 자리를 단 1랩만 젠슨 버튼에게 내주었고, 버튼이 피트인한 13랩 째부턴 다시 페텔의 독주가 이어졌다. 이후 레이스 끝까지 크루징 모드로 달리며 여유있게 우승을 차지. 웨버가 9초 뒤로 완주하며 레드불의 완벽한 1-2 피니쉬를 이루었으며, 알론소가 웨버를 잘 추격했으나 아쉽게 3위로 완주하였다. 한편, 중위권에선 미하엘 슈마허가 여러 번의 배틀 과정에서 실수를 이어가며 아쉬운 레이스를 보였다. 페트로프와 치열한 배틀을 하였으나 프런트 윙에 대미지를 입고 밀려났으며, 결국 최종적으로 12위로 완주하고 말았다.

챔피언십 순위에선 페텔이 또 우승을 차지하며 벌써 34점 차이로 격차를 늘릴 수 있었다. 컨스트럭터에서도 1-2 피니쉬를 한 레드불이 2위인 맥라렌은 43점 차로 늘리며 이번 시즌 레드불과 페텔은 시즌 초반이지만 압도적인 페이스를 보여주고 있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레드불 - 르노148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105
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65
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르노42
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26

6. 파일:스페인 국기.svg 5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에스파냐 산탄데르 2011 (스페인 GP)[편집]



6.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1:20.9811번째
P2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0.200s2번째
P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0.980s3번째
P4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983s4번째
P5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1.015s5번째
P6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1.490s6번째
P7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618s7번째
P8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1.907s8번째
P912.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코스워스)+ 1.971s9번째
P10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No time10번째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1:25.874Q2 진출
P18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0.647s18번째
P19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036s19번째
P20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1.441s20번째
P21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HRT - 코스워스)
+ 1.935s21번째
P2222.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코스워스)
+ 2.034s22번째
P23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2.682s23번째
P2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르노)
No time24번째[107%][Q]

[107%] [Q] 스튜어드들의 허가를 받아 레이스 출전

6.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39:03.30125
2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0.630s18
3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35.697s15
4위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47.966s12
5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 Lap10
6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 Lap8
7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 Lap6
8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닉 하이트펠트 (르노)+ 1 Lap4
9위17.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페라리)+ 1 Lap2
10위16.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1 Lap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 1 Lap
12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 Lap
13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 Lap
14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1 Lap
15위1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 Lap
16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2 Laps
17위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2 Laps
18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2 Laps
19위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3 Laps
20위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4 Laps
21위22.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코스워스)
+ 5 Laps
DNF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Gearbox_issue]
DNF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Accident]
DNF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HRT - 코스워스)
[Gearbox_issue]

[Gearbox_issue] A B 기어박스 문제[Accident] 사고로 리타이어

패스티스트 랩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1:26.727 (Lap 52)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레드불 - 르노185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138
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75
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르노46
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40



[+20s] A B 20초 페널티[1] 해밀턴을 추월 시도하는 과정에서 컨택을 일으켜 페널티 부여[2] 알론소와 경합 과정에서 불필요한 무빙을 하여 페널티 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