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2009시즌/1R~5R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뮬러 1/2009시즌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포뮬러 1/2009시즌/6R~10R
,
,
,
,
,
,



1. 개요
2. 파일:호주 국기.svg 1R: 2009 포뮬러 1 ING 호주 그랑프리 (호주 GP)
2.1. 퀄리파잉
2.2. 레이스
3.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R: 2009 포뮬러 1 페트로나스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말레이시아 GP)
3.1. 퀄리파잉
3.2. 레이스
4. 파일:중국 국기.svg 3R: 2009 포뮬러 1 중국 그랑프리 (중국 GP)
4.1. 퀄리파잉
4.2. 레이스
5. 파일:바레인 국기.svg 4R: 2009 포뮬러 1 걸프 에어 바레인 그랑프리 (바레인 GP)
5.1. 퀄리파잉
5.2. 레이스
6. 파일:스페인 국기.svg 5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에스파냐 텔레포니카 2009 (스페인 GP)
6.1. 퀄리파잉
6.2. 레이스



1. 개요[편집]


포뮬러 12009 시즌 중 1R부터 5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파일:호주 국기.svg 1R: 2009 포뮬러 1 ING 호주 그랑프리 (호주 GP)[편집]



2.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22.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브런 - 메르세데스)
1:26.2021번째
P223.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브런 - 메르세데스)
+ 0.303s2번째
P315.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 0.628s3번째
P45.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BMW 자우버)
+ 0.712s4번째
P516.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토요타)
+ 0.771s5번째
P610.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토요타)
+ 0.773sPL[리어윙_위반]
P7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0.831s6번째
P8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 0.925sPL[리어윙_위반]
P9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페라리)
+ 0.961s7번째
P1014.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 1.044s8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페라리)
1:25.380Q3 진출
P11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 0.124s9번째
P12
파일:르노 2015 로고.png
7.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 0.225s10번째
P1317.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지마 카즈키 (윌리엄스 - 토요타)
+ 0.227s11번째
P14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346s12번째
P15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No time18번째[-5][기어박스_교체]

[-5] 5 그리드 페널티[기어박스_교체] 기어박스 교체로 인한 그리드 페널티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1:26.454Q2 진출
P16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2.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0.049s13번째
P17
파일:르노 2015 로고.png
8.
파일:브라질 국기.svg

넬슨 피케 주니어 (르노)
+ 0.144s14번째
P18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0.223s15번째
P19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0.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0.288s16번째
P20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르데 (토로 로쏘 - 페라리)
+ 0.510s17번째

2009 호주 GP 젠슨 버튼의 폴 랩

프리 시즌부터 보여진 브런 GP의 예사롭지 않은 페이스가 거짓이 아님이 증명된 순간이었다. 젠슨 버튼폴 포지션을 차지하였고, 그 뒤를 팀메이트인 루벤스 바리첼로가 이으며 신생팀 브런 GP의 프런트 로우 독점이 되었다. 폴을 따낸 뒤 버튼은 지난 6개월 동안의 모든 노력이 결실을 본 순간이라며 팀의 모든 스태프를 격려하기도 하였다.

지난 시즌까지 중위권을 맴돈 레드불은 첫 1군 생활을 맞이한 페텔이 3위, 웨버가 10위를 하며 동반 Q3에 진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프리시즌에서의 페이스도 좋았기에 이번 시즌부터 레드불이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그에 반해 지난 시즌 챔피언십 배틀을 벌였던 페라리와 맥라렌은 거짓말같이 중위권으로 내려가 팬들에게 충격을 안겼다. F1 역사상 대규모 규정 변경 이후 많은 강팀들이 왕좌에서 내려왔는데, 페라리와 맥라렌 역시 그 모습을 보이고 말았다.

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22.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브런 - 메르세데스)
1:34:15.78410
2위23.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브런 - 메르세데스)
+ 0.807s8
3위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 1.604s6
4위10.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토요타)
+ 4.435s5
5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7.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 4.879s4
6위16.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토요타)
+ 5.722s3
7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2.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6.004s2
8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르데 (토로 로쏘 - 페라리)
+ 6.298s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9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0.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6.335s
10위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 7.085s
11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7.374s
12위14.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 1 Lap
13위15.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90%][충돌_대미지]
14위5.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BMW 자우버)
[90%][충돌_대미지]
15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페라리)
[90%][디퍼런셜]
DNF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서스펜션]
DNF
파일:르노 2015 로고.png
8.
파일:브라질 국기.svg

넬슨 피케 주니어 (르노)
[브레이크]
DNF17.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지마 카즈키 (윌리엄스 - 토요타)
[사고]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충돌_대미지]
DSQ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1]

[90%] A B C 레이스 전체 거리의 90% 이상을 주파하여 순위 인정[충돌_대미지] A B C 타 드라이버와 충돌 후의 레이스카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디퍼런셜] 디퍼런셜 문제로 리타이어[서스펜션] 서스펜션 문제로 리타이어[브레이크] 브레이크 문제로 리타이어[사고] 본인의 드라이빙 실수로 벽에 충돌해 리타이어[1] SC 상황에서 트룰리의 추월에 관한 거짓진술로 실격.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후술.


폴시터인 젠슨 버튼은 좋은 스타트로 일찌감치 치고 나간 가운데, 2위인 루벤스 바리첼로는 큰 실수로 순위를 크게 잃었다. 그 사이 제바스티안 페텔니코 로즈버그가 2,3위로 올라왔고, 페라리 듀오도 바리첼로를 추월하였다. 이 때, 바리첼로는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마크 웨버와 컨택을 일으키며 순위를 더 잃기도 하였다. 이후 바리첼로는 키미와 한 번 더 컨택을 일으키는 등의 혼돈의 레이스를 펼쳤다.

17랩 째엔 나카지마 카즈키가 바깥쪽 연석을 밟고 스핀하여 리타이어하였고, 이 때문에 SC가 발동되었다. 재개된 레이스에선 메인 스트레이트에서 로즈버그와 넬슨 피케 주니어가 컨택이 발생해 피케가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이후엔 별다른 이슈 없이 레이스가 진행되었다가, 디펜딩 챔피언인 루이스 해밀턴은 로즈버그까지 추월하며 기어코 상위권까지 올라오는 데 성공하였다. 2랩 뒤인 55랩 째엔 펱텔과 로버트 쿠비차 사이에 배틀이 있었는데, 3번 코너를 쿠비차가 아웃프런트로 추월하는 순간 페텔이 쿠비차와 컨택을 일으키며 두 드라이버 모두 대미지를 입었다. 이로 인해 페텔은 프런트 윙 대미지를 입어 제대로 조향하지 못해 벽을 들이받고 리타이어하였고, 쿠비차 역시 벽을 들이받으며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레이스 종료까지 얼마 안 남은 상태에서 발생한 사고로 SC 피니쉬를 하였다. 젠슨 버튼이 단 1랩도 선두를 내주지 않은 채 개막전 우승과 함께 브런 GP에게 데뷔전 우승을 안겨다 주었다. 스타트 실수로 중하위권까지 뒤쳐졌던 바리첼로도 매서운 페이스로 2위까지 올라서며 브런 GP의 원투 피니쉬를 자축하였다. 바리첼로는 지난 해 영국 그랑프리 이후 오랜만에 포디움을 달성하였다. 야르노 트룰리가 3위로 완주하였고, 해밀턴은 4위로 완주하였다.

그런데 레이스 종료 이후, 3위였던 트룰리가 SC 상황에서 해밀턴을 추월했다는 이유로 25초 페널티를 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당시 트룰리가 트랙에 이탈해 해밀턴이 트룰리를 추월했고, 해밀턴은 자리를 내주라는 엔지니어의 지시를 받지도 않은 상태에서 이를 트룰리가 독단적으로 해밀턴을 추월하여 페널티감이 된 것이었다. 문제는 다음 상황이었다. 얼마 뒤, 해밀턴은 기자들과 이 페널티에 대해 인터뷰를 하였는데, 사실 자신은 엔지니어에게 자리를 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실토하고 말았다. 스튜어드가 다시 한 번 해밀턴의 라디오를 조사했고, 그 결과 해밀턴의 거짓진술의 책임을 물어 실격처리를 시켰다. 이 사건은 일명 라이 게이트(Lie Gate)로 불리고 있다.[1]




3.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R: 2009 포뮬러 1 페트로나스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말레이시아 GP)[편집]



3.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22. 젠슨 버튼 (브런 - 메르세데스)1:35.1811번째
P29.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0.092s2번째
P31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0.337s13번째[-10][2]
P423. 루벤스 바리첼로 (브런 - 메르세데스)+ 0.470s8번째[-5][기어박스_교체]
P510. 티모 글록 (토요타)+ 0.509s3번째
P616.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토요타)+ 0.569s4번째
P714.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0.616s5번째
P85. 로버트 쿠비차 (BMW 자우버)+ 0.925s6번째
P9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키미 래이쾨넨 (페라리)+ 0.989s7번째
P1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7.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2.478s9번째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르데 (토로 로쏘 - 페라리)
1:35.507Q2 진출
P1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0.135s16번째
P17
파일:르노 2015 로고.png
8.
파일:브라질 국기.svg

넬슨 피케 주니어 (르노)
+ 0.201s17번째
P18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0.401s18번째
P19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0.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0.444s19번째
P20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2.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0.600s20번째



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22. 젠슨 버튼 (브런 - 메르세데스)55:30.622[3]5
2위6.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22.722s4
3위10. 티모 글록 (토요타)+ 23.513s3
4위9.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46.173s2.5
5위23. 루벤스 바리첼로 (브런 - 메르세데스)+ 47.360s2
6위14.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52.333s1.5
7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1:00.7331
8위16.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토요타)+ 1:11.5760.5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9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1:16.932
10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르데 (토로 로쏘 - 페라리)
+ 1:42.164
11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7.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 1:49.422
12위17.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지마 카즈키 (윌리엄스 - 토요타)
+ 1:56.130
13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8.
파일:브라질 국기.svg

넬슨 피케 주니어 (르노)
+ 1:56.713
14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페라리)
+ 2:22.841
15위15.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90][스핀_오프]
16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2.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90%][스핀_오프]
17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0.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 Lap
18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90%][스핀_오프]
DNF5.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BMW 자우버)
[엔진]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스핀_오프]

[90] [스핀_오프] A B C D 스핀 후 트랙에 복귀하지 못하고 리타이어[90%] A B [엔진]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


기존에 56랩을 돌기로 예정된 말레이시아 GP 였으나 레이스 중반 악천후로 레이스 컨트롤은 더 이상 진행하기 위험하다고 판단하였고, 결국 31랩째 레이스를 조기 종료시켰다. 이에, 포인트를 획득한 8명의 드라이버들은 각각 절반의 포인트를 부여받았다.




4. 파일:중국 국기.svg 3R: 2009 포뮬러 1 중국 그랑프리 (중국 GP)[편집]



4.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1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36.1841번째
P2
파일:르노 2015 로고.png
7.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0.197s2번째
P314.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0.282s3번째
P423. 루벤스 바리첼로 (브런 - 메르세데스)+ 0.309s4번째
P522. 젠슨 버튼 (브런 - 메르세데스)+ 0.348s5번째
P69.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0.651s6번째
P716.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토요타)+ 1.213s7번째
P8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키미 래이쾨넨 (페라리)+ 1.905s8번째
P9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2.411s9번째
P10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2.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3.137s10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3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2.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1:35.965Q3 진출
P11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 0.010s11번째
P1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067s12번째
P1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0.068s13번째
P1410.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토요타)
+ 0.101s19번째[-5][기어박스_교체]
P1517.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지마 카즈키 (윌리엄스 - 토요타)
+ 0.228s14번째


레드불에서의 첫 시즌을 맞이한 제바스티안 페텔이 폴 포지션을 차지함으로써 이 날은 레드불 레이싱창단 첫 폴 포지션이 작성된 날로 기록되었다.

4.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1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57:43.48510
2위14.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10.970s8
3위22. 젠슨 버튼 (브런 - 메르세데스)+ 44.975s6
4위23. 루벤스 바리첼로 (브런 - 메르세데스)+ 1:03.7045
5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헤이키 코발라이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1:05.1024
6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1:11.8663
7위10. 티모 글록 (토요타)+ 1:14.4762
8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2.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1:16.439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9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7.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 1:24.309
10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페라리)
+ 1:31.750
11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르데 (토로 로쏘 - 페라리)
+ 1:34.156
12위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 1:35.834
13위5.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BMW 자우버)
+ 1:46.853
14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 Lap
15위16.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토요타)
+ 1 Lap
16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8.
파일:브라질 국기.svg

넬슨 피케 주니어 (르노)
+ 2 Laps
17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0.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90%][사고]
DNF17.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지마 카즈키 (윌리엄스 - 토요타)
[트랜스미션]
DNF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전자계통]
DNF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충돌_대미지]

[90%] [사고] [트랜스미션] 트랜스미션 문제로 리타이어[전자계통] 전자계통 문제로 리타이어[충돌_대미지]


레이스 시작부터 비가 거세게 내려 SC 뒤에서 롤링 스타트를 하게 되었다. 본격적으로 그린 플랙이 나오고, 시작하자마자 젠슨 버튼은 팀메이트인 루벤스 바리첼로를 추월하며 3위로 올라섰다. 루이스 해밀턴은 스핀 후 10위까지 쳐졌으나 빠르게 8위까지 올라섰다. 14,15랩 째엔 레드불 듀오가 피트스톱을 하며 브런 GP 듀오가 1-2위, 레드불 듀오가 3-4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17랩 째, 로버트 쿠비차야르노 트룰리를 들이받아 쿠비차는 프런트윙 파손으로 최후미로 밀려났고, 트룰리는 리어윙 대미지로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트랙에 흩뿌려진 데브리로 인해 SC가 1차례 더 나왔고, 이 과정에서 펠리페 마싸는 전기계통 문제로 리타이어하였다. 레이스가 재개된 뒤 페텔-버튼-웨버-키미-해밀턴-바리첼로-코발라이넨 순으로 톱 8를 형성하였다. 빗길 속에서 진행되는 도중에 28랩 째, 이번엔 넬슨 피케 주니어가 충돌하여 프런트윙 대미지를 입는 사고가 발생했고, 다음 랩엔 2위인 버튼이 브레이킹 포인트를 놓쳐 마크 웨버에게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시간이 흘러 레이스 최후반부인 51랩 째엔 아드리안 수틸이 스핀하며 벽에 크게 충돌해 리타이어하고 말았고, 이후 별다른 순위 변동 없이 레이스가 마무리된다. 제바스티안 페텔이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며 레드불 레이싱의 첫 F1 우승을 장식하였고, 그 뒤로 웨버가 들어오며 창단 첫 원투 피니쉬를 자축하였다. 개막 첫 2경기에서 강세를 보였던 브런 GP 듀오도 3-4위로 들어오며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포인트를 11점이나 가져올 수 있었다.




5. 파일:바레인 국기.svg 4R: 2009 포뮬러 1 걸프 에어 바레인 그랑프리 (바레인 GP)[편집]



5.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9.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1:33.4311번째
P210. 티모 글록 (토요타)+ 0.281s2번째
P31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0.584s3번째
P422. 젠슨 버튼 (브런 - 메르세데스)+ 0.613s4번째
P5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0.765s5번째
P623. 루벤스 바리첼로 (브런 - 메르세데스)+ 0.808s6번째
P7
파일:르노 2015 로고.png
7.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1.147s7번째
P8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펠리페 마싸 (페라리)+ 1.387s8번째
P916.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토요타)+ 1.703s9번째
P10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키미 래이쾨넨 (페라리)+ 1.949s10번째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216.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토요타)
1:33.672Q2 진출
P16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0.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0.050s19번째[-3][임피딩]
P17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2.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0.081s16번째
P18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0.238s17번째
P1914.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 0.366s18번째
P20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르데 (토로 로쏘 - 페라리)
+ 0.487s20번째

[-3] 3 그리드 페널티[임피딩] 타 드라이버의 플라잉 랩을 방해하여 페널티 부여

Q1에서 마크 웨버가 플라잉 랩을 돌던 중 아드리안 수틸의 방해를 받아 Q1 탈락을 하는 이변이 발생하였다. 이에 수틸은 3 그리드 페널티를 받았다. Q3에선 야르노 트룰리가 폴 포지션을, 티모 글록이 2 그리드를 확보하며 프런트 로우를 독점하였다. 그리고 이 경기는 토요타의 F1 역사상 마지막 폴 포지션이 되었다.

5.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22. 젠슨 버튼 (브런 - 메르세데스)1:31:48.18210
2위1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7.187s8
3위9.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9.170s6
4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22.096s5
5위23. 루벤스 바리첼로 (브런 - 메르세데스)+ 37.779s4
6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키미 래이쾨넨 (페라리)+ 42.057s3
7위10. 티모 글록 (토요타)+ 42.880s2
8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7.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52.775s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9위16.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토요타)
+ 58.198s
10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8.
파일:브라질 국기.svg

넬슨 피케 주니어 (르노)
+ 1:05.149
11위14.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 1:07.641
12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 1:17.824
13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르데 (토로 로쏘 - 페라리)
+ 1:18.805
14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1 Lap
15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 Lap
16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0.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 Lap
17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2.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1 Lap
18위5.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BMW 자우버)
+ 1 Lap
19위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 1 Lap
DNF17.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지마 카즈키 (윌리엄스 - 토요타)
[오일_압력]

[오일_압력] 오일 압력 문제로 리타이어


레이스 스타트에선 티모 글록이 로켓 스타트로 선두로 치고 나간 가운데, 1번 코너에서 혼전 상황이 벌어졌다. 젠슨 버튼이 4위, 루이스 해밀턴이 2위로 올라왔고, 이후 버튼은 해밀턴을 추월해 2위까지 단숨에 올라왔다. 첫 번째 피트스톱에서 토요타 듀오는 연료 주입을 위해 글록과 트룰리를 각각 12, 14랩 째에 피트인시켰다. 타이어는 더 하드한 컴파운드로 교체하였고, 이에 반해 버튼은 15랩 째에 더 소프트한 컴파운드로 교체하며 트룰리를 추월하게 되었다. 티모 글록은 하드 타이어로 페이스를 끌어올리지 못해 해밀턴 뒤에 꽁꽁 묶였고, 이 때문에 젠슨 버튼이 선두로 올라설 수 있었다.

44랩 째, 키미와 티모 글록 사이에 접전이 벌어졌고, 4번 코너에서 키미가 깔끔하게 글록을 추월하며 6위로 올라섰다. 4랩 뒤엔 나카지마 카즈키가 오일 압력 문제로 리타이어하는 이슈가 있었으나, 이후엔 별 순위 변동 없이 레이스가 끝났다. 토요타는 잘못된 전략으로 티모 글록을 선두에서 7위까지 내려버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레이스 우승은 버튼이 차지하면서 챔피언십 포인트 격차를 2위인 바리첼로와 12점 차까지 벌렸고, 컨스트럭터 포인트에선 브런 GP가 2위인 레드불과의 격차를 무려 22.5점 차까지 벌렸다.




6. 파일:스페인 국기.svg 5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에스파냐 텔레포니카 2009 (스페인 GP)[편집]



6.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22. 젠슨 버튼 (브런 - 메르세데스)1:20.5271번째
P21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0.133s2번째
P323. 루벤스 바리첼로 (브런 - 메르세데스)+ 0.235s3번째
P4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펠리페 마싸 (페라리)+ 0.407s4번째
P514.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0.522s5번째
P610. 티모 글록 (토요타)+ 0.720s6번째
P79.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0.727s7번째
P8
파일:르노 2015 로고.png
7.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0.865s8번째
P916.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토요타)+ 2.031s9번째
P105. 로버트 쿠비차 (BMW 자우버)+ 2.158s10번째


6.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22. 젠슨 버튼 (브런 - 메르세데스)1:37:19.20210
2위23. 루벤스 바리첼로 (브런 - 메르세데스)+ 13.056s8
3위14.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13.924s6
4위1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18.941s5
5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7.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43.166s4
6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펠리페 마싸 (페라리)+ 50.827s3
7위6.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52.312s2
8위16.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토요타)+ 1:05.211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9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 1 Lap
10위10.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토요타)
+ 1 Lap
11위5.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BMW 자우버)
+ 1 Lap
12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8.
파일:브라질 국기.svg

넬슨 피케 주니어 (르노)
+ 1 Lap
13위17.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지마 카즈키 (윌리엄스 - 토요타)
+ 1 Lap
14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 Lap
DNF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페라리)
[유압]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기어박스]
DNF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충돌]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2.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충돌]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르데 (토로 로쏘 - 페라리)
[충돌]
DNF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20.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충돌]

[유압] 유압 문제로 리타이어[기어박스]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충돌] A B C D 타 드라이버와 충돌하여 리타이어


레이스 스타트에선 3위에서 스타트한 루벤스 바리첼로가 로켓 스타트로 선두로 올라서게 되었다. 펠리페 마싸가 2위에 있었던 제바스티안 페텔을 추월하며 3위까지 올라서며 페텔은 2계단을 잃었다. 많은 드라이버들이 1-2번 시케인을 지나자마자 중위권에서 대형사고가 발생하였는데, 니코 로즈버그가 2번 코너를 와이드하게 돌아나가며 야르노 트룰리를 트랙 밖으로 밀어버렸고, 트룰리가 잔디를 밟고 스핀하여 이를 피하지 못한 아드리안 수틸세바스티앙 부에미, 세바스티앙 부르데가 충돌해 4대가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루이스 해밀턴은 충돌하지 않았으나 최후미로 밀려나고 말았다. 이 사고로 인해 SC가 발동되었다.

SC가 들어가면서 레이스가 재개되었다. 재개되자마자 헤이키 코발라이넨이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맥라렌에게 쉽지 않은 레이스가 되기 시작했다. 선두로 올라선 바리첼로는 꾸준히 젠슨 버튼과의 격차를 늘려나갔으나, 바리첼로는 3 스톱 전략을 구사할 예정이었기에 버튼에게 자리를 내줄 가능성이 있었다. 결국 추가적인 피트스톱에서 버튼에게 선두 자리를 내주었다. 페라리는 또 한 번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키미가 유압 문제로 레이스카를 리타이어하였고, 마싸는 포디움을 지키지 못하고 페이스를 잃으며 순위를 빼앗기기 시작했기 때문이었다. 마싸가 생각보다 연료 소비를 많이 하여 레이스 완주에 지장이 생겼고, 속력을 줄이며 달리게 되어 페텔과 알론소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이후 레이스는 젠슨 버튼의 시즌 3번째 우승으로 끝이 났다. 바리첼로가 2위로 들어오며 브런 GP의 시즌 2번째 원투 피니쉬로 끝났으며, 3위는 마크 웨버가 차지하였다. 버튼은 이 우승으로 2위인 바리첼로와의 포인트 격차를 14점 차까지 벌려놓으며 달아났고, 팀인 브런 GP도 레드불과 29.5점 차를 만들어내며 완벽한 시즌 초반을 완성하였다.



[리어윙_위반] A B 리어윙 규정 위반으로 피트레인 스타트 페널티[1] 이 사건으로 해밀턴과 같이 거짓진술을 한 엔지니어는 팀에서 해고되었다.[-10] 10 그리드 페널티[2] 직전 경기 로버트 쿠비차와 사고를 일으킨 이유로 페널티 부여[-5] [기어박스_교체] [3] 폭우로 인한 레이스 조기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