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1/2005시즌/6R~10R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05시즌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05시즌/1R~5R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포뮬러 1/2005시즌/11R~15R


1. 개요
2. 파일:모나코 국기.svg 6R: 포뮬러 1 그랑프리모나코 2005 (모나코 GP)
2.1. 퀄리파잉
2.2. 레이스
3.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7R: 2005 포뮬러 1 그랑프리 오브 유럽 (유럽 GP)
3.1. 퀄리파잉
3.2. 레이스
4. 8전 캐나다 GP
5. 9전 미국 GP
6. 10전 프랑스 GP



1. 개요[편집]


포뮬러 12005 시즌 중 6R부터 10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파일:모나코 국기.svg 6R: 포뮬러 1 그랑프리모나코 2005 (모나코 GP)[편집]


파일:레드불 스타워즈 2005 리버리.jpg파일:레드불 스타워즈 2005 그리드 워크.jpg
이번 모나코 GP에서 레드불은 레이스가 열리기 1주일 전에 개봉한 영화 스타워즈: 시스의 복수를 홍보하기 위해 스페셜 리버리를 달고 출전한다. 레이스 중 피트스톱 시 피트크루들은 특별 제작된 스톰트루퍼코스프레 슈트를 입고 피트작업에 임하며, 레이스 시작 전 그리드에는 츄바카다스 베이더가 RB1 앞에 서게 된다.

또한, 그랑프리가 개최되기 1달 전에 레니에 3세가 별세하여 이번 그랑프리에 왕족들은 참석하지 않을 예정이다. 이는 모나코 그랑프리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2.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1, Q2 기록 합산)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9.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라이코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2:30.3251번째
P2
파일:르노 2015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083s2번째
P37.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윌리엄스 - BMW)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333s3번째
P4
파일:르노 2015 로고.png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777s4번째
P51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267s5번째
P68.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윌리엄스 - BMW)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560s6번째
P714.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3.544s7번째
P8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1.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4.413s8번째
[ P9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P911.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자우버 - 페트로나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4.613s9번째
P10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2.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4.660s10번째
P1112.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자우버 - 페트로나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4.797s11번째
P12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레드불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6.829s12번째
P132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패트릭 프리에사커 (미나르디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0.487s13번째
P14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크리스티얀 알버스 (미나르디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1.883s14번째
P15
파일:Jordan_Grand_Prix_logo_old.png
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티아고 몬테이로 (조던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2.755s15번째
P16
파일:Jordan_Grand_Prix_logo_old.png
19.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조던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3.119s17번째[-10][엔진_교체]
P1717.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토요타)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No time[Q1X]18번째[-10][엔진_교체]
P18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No time[Q1X]16번째[-10][엔진_교체]

[-10] A B C 10 그리드 페널티[엔진_교체] A B C 엔진 교체로 인한 그리드 페널티[Q1X] A B Q1,Q2 미참여
2005 모나코 GP Q2 후반부 하이라이트

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9.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라이코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45:15.556 (78랩)10
2위8.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윌리엄스 - BMW)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3.877s8
3위7.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윌리엄스 - BMW)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8.484s6
4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36.487s5
5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36.647s4
6위17.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토요타)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37.117s3
7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1.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37.223s2
8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2.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37.570s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
9위12.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자우버 - 페트로나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0위1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1위11.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자우버 - 페트로나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2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3위
파일:Jordan_Grand_Prix_logo_old.png
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티아고 몬테이로 (조던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3 Laps
14위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크리스티얀 알버스 (미나르디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5 Laps
DNF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레드불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59랩)[사고]
DNF2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패트릭 프리에사커 (미나르디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29랩)[사고]
DNF14.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23랩)[충돌_대미지]
DNF
파일:Jordan_Grand_Prix_logo_old.png
19.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조던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8랩)[유압계통]

[사고] A B 본인의 드라이빙 실수 이후 벽에 충돌해 리타이어[충돌_대미지] 타 드라이버와 충돌 후 레이스카 누적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유압계통] 유압계통 문제로 리타이어

패스티스트 랩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1.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15.842 (Lap 40)

레이스 스타트에선 폴시터인 키미 라이코넨이 좋은 스타트로 선두를 유지하였다. 페르난도 알론소가 그 뒤를 바짝 쫓으며 첫 코너를 빠져나갔으나, 조금씩 격차가 벌어지며 20랩 째에는 5초 이상의 격차로 벌어졌다. 23랩 째에는 미나르디의 크리스티얀 알버스가 미라부 코너에서 스핀하여 벽 앞에 서며 길을 막아버렸고, 이를 못 피한 데이빗 쿨싸드가 충돌하여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이로 인해 SC가 발동되었다.

SC가 발동되자 르노 듀오가 곧바로 피트인을 하였으나, 키미는 피트인을 하지 않고 트랙에 머물렀다. 그리고 이는 키미를 우승으로 이끄는 전략이 되었는데, 르노 드라이버들이 가득 찬 연료로 인해 레이스카의 무게가 지나치게 무거워 연료 절약 모드로 달리는 키미보다 오히려 랩타임이 늦는 결과를 초래했다. 키미는 42랩 째에 피트인 후 2위로 올라선 닉 하이트펠트와 13초 차로 앞선 채 피트를 나왔고, 그렇게 모든 랩을 리드한 채 그랑프리 우승을 차지하였다. 르노 드라이버들은 전략의 실패로 인해 윌리엄스 드라이버들에게도 순위를 빼앗기며 후미권으로 밀린 것은 물론, 지안카를로 피지켈라는 10위권 밖으로 밀리고 말았다. 알론소는 마지막까지 뒤에 있는 후안 파블로 몬토야, 랄프 슈마허, 미하엘 슈마허, 루벤스 바리첼로 등을 방어한 끝에 4위를 간신히 지켰다.

한편 이 경기는 윌리엄스가 9년 뒤2014 아부다비 GP에서 펠리페 마싸발테리 보타스가 더블 포디움을 달성하기 전까지 마지막으로 달성한 더블 포디움 경기였다.



3.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7R: 2005 포뮬러 1 그랑프리 오브 유럽 (유럽 GP)[편집]


이번 경기부터 출전 정지 징계를 받은 BAR이 다시 레이스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지난 6개의 레이스에서 시행된 퀄리파잉 시스템이 다시 폐지되고, 이번 GP부터는 직전 레이스에서의 완주 순위의 역순으로 원 샷 퀄리파잉을 시행하게 되었다.

3.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P18. 닉 하이트펠트 (윌리엄스 - BMW)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30.0811번째
P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9. 키미 라이코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116s2번째
P37. 마크 웨버 (윌리엄스 - BMW)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287s3번째
P416.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619s4번째
P5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0.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809s5번째
P6
파일:르노 2015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975s6번째
P7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2. 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168s7번째
P817. 랄프 슈마허 (토요타)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311s8번째
[ P9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P9
파일:르노 2015 로고.png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485sPL[1]
P10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1.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504s10번째
P1112.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자우버 - 페트로나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124s11번째
P1214.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472s12번째
P13
파일:1200px-Lucky_Strike_logo.svg.png
3.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BAR -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513s13번째
P14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레드불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561s14번째
P1511.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자우버 - 페트로나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810s15번째
P16
파일:1200px-Lucky_Strike_logo.svg.png
4.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타쿠마 (BAR -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845s16번째
P17
파일:Jordan_Grand_Prix_logo_old.png
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티아고 몬테이로 (조던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4.966s17번째
P182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패트릭 프리에사커 (미나르디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5.873s18번째
P19
파일:Jordan_Grand_Prix_logo_old.png
19.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조던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6.111s19번째
P20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크리스티얀 알버스 (미나르디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6.158s18번째

[1] 포메이션 랩 완료 직후 엔진 스톨이 발생해 피트레인 스타트

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르노 2015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31:46.648 (59랩)10
2위8. 닉 하이트펠트 (윌리엄스 - BMW)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6.567s8
3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2. 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8.549s6
4위14.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 - 코스워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31.588s5
5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1.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50.445s4
6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6.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51.932s3
7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0.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58.173s2
8위16.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11.091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
9위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레드불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11.529
10위
파일:1200px-Lucky_Strike_logo.svg.png
3.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BAR -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35.786
11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9.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라이코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58랩)[90%][서스펜션]
12위
파일:1200px-Lucky_Strike_logo.svg.png
4.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타쿠마 (BAR -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3위11.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자우버 - 페트로나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4위12.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자우버 - 페트로나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5위
파일:Jordan_Grand_Prix_logo_old.png
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티아고 몬테이로 (조던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 Lap
16위
파일:Jordan_Grand_Prix_logo_old.png
19.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조던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 Lap
17위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크리스티얀 알버스 (미나르디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2 Laps
18위2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패트릭 프리에사커 (미나르디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3 Laps
DNF17.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토요타)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33랩)[스핀_리타이어]
DNF7.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윌리엄스 - BMW)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0랩)[충돌]

[90%] 레이스 전체 거리의 90% 이상을 주파하여 순위 인정[서스펜션] 서스펜션 문제로 리타이어[스핀_리타이어] 스핀 후 트랙에 복귀하지 못하고 리타이어[충돌] 타 드라이버와 충돌 후 곧바로 리타이어





4. 8전 캐나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젠슨 버튼 (BAR)1:15.217우승키미 래이쾨넨 (맥라렌)1:32:09.290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5.475 (+0.258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1.137s
P3페르난도 알론소 (르노)1:15.561 (+0.344s)3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40.483s

패스티스트 랩키미 래이쾨넨 (맥라렌)1:14.384 (Lap 23)

5. 9전 미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야르노 트룰리 (토요타)1:10.625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9:43.181
P2키미 래이쾨넨 (맥라렌)1:10.694 (+0.069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1.522s
P3젠슨 버튼 (BAR)1:11.277 (+0.652s)3위티아구 몬테이로 (조던)+ 1 Lap

패스티스트 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1.497 (Lap 48)

2005 미국 GP 하이라이트 - F1 최악의 흑역사

자세한 내용은 인디게이트 문서 참조.

6. 10전 프랑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페르난도 알론소 (르노)1:14.412우승페르난도 알론소 (르노)1:31:22.233
P2야르노 트룰리 (토요타)1:14.521 (+0.109s)2위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11.805s
P3키미 래이쾨넨 (맥라렌)1:14.559 (+0.147s)3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1:21.914s

패스티스트 랩키미 래이쾨넨 (맥라렌)1:16.423 (Lap 25)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