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1/2011시즌/16R~19R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1시즌


1. 개요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6R: 2011 포뮬러 1 한국 그랑프리 (한국 GP)
2.1. 퀄리파잉
2.2. 레이스
3. 파일:인도 국기.svg 17R: 2011 포뮬러 1 에어텔 그랑프리 오브 인디아 (인도 GP)
3.1. 퀄리파잉
3.2. 레이스
4.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8R: 2011 포뮬러 1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그랑프리 (아부다비 GP)
4.1. 퀄리파잉
4.2. 레이스
5. 파일:브라질 국기.svg 19R: 포뮬러 1 그란데 프레미오 페트로브라스브라질 2011 (브라질 GP)
5.1. 퀄리파잉
5.2. 레이스


1. 개요[편집]


포뮬러 12011 시즌 중 16R부터 19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6R: 2011 포뮬러 1 한국 그랑프리 (한국 GP)[편집]



2.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1:35.8201번째
P2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 0.222s2번째
P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306s3번째
P4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 0.648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1.011s5번째
P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 1.160s6번째
P7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1.934s7번째
P8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 2.304s8번째
P9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No time9번째
P10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No time10번째
[ Q2 결과 ]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216.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1:39.464Q2 진출
P18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0.074s18번째
P19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 1.058s19번째
P20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1.637s20번째
P21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2.627s21번째
P22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3.019s22번째
P23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HRT - 코스워스)
+ 3.294s23번째
-22.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HRT - 코스워스)
No time[107%]24번째[Q]

[107%] Q1 1위 기록의 107%를 초과[Q] 스튜어드들의 허가를 받아 레이스 출전

이번 시즌 개막전부터 이어져온 레드불 드라이버들의 연속 폴 포지션 달성 기록이 이곳 영암에서 루이스 해밀턴에 의해 끊기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F1 코리아 그랑프리 참조.

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1:38:01.99425
2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 12.019s18
3위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 12.477s15
4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 14.694s12
5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 15.689s10
6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25.133s8
7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49.538s6
8위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54.053s4
9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1:02.7622
10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03.602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11.229
12위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33.068
13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르노)
+ 1 Lap
14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 1 Lap
15위16.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 1 Lap
16위17.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페라리)
+ 1 Lap
17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1 Lap
18위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1 Lap
19위22.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HRT - 코스워스)
+ 1 Lap
20위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1 Lap
21위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HRT - 코스워스)
+ 3 Laps
DNF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Clutch]
DNF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Collision_damage]
DNF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Collision]

[Clutch] 클러치 문제로 리타이어[Collision_damage] 충돌 대미지로 인한 리타이어[Collision] 충돌로 인한 리타이어


한국에서 열리는 통산 2번째 F1 그랑프리이다. 페텔이 우승함으로써, 알론소와 한국 GP 우승 횟수 동률을 이루었다.

자세한 내용은 F1 코리아 그랑프리 참조.



3. 파일:인도 국기.svg 17R: 2011 포뮬러 1 에어텔 그랑프리 오브 인디아 (인도 GP)[편집]


역사상 처음으로 인도에서 개최되는 F1 그랑프리였다. 이와 더불어, 남아시아 대륙에서 펼쳐지는 첫 F1 그랑프리이기도 하였다.

첫 인도 GP 개최와 더불어, HRT의 정규 드라이버 자리에서 내려온 인도 출신의 나레인 카티케얀은 이번 경기 한정으로 리우치를 대신하여 출전하게 되었다.

3.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24.1781번째
P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0.296s5번째[-3][1]
P3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0.330s2번째
P4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341s3번째
P5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0.772s4번째
P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0.944s6번째
P7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273s7번째
P8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No time8번째
P9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No time9번째
P10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No time10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3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1:26.319[同]Q3 진출
P11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 0.000s[同]16번째[-5][1]
P12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 0.018s11번째
P13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0.184s12번째
P141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코스워스)
+ 0.218s13번째
P15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르노)
+ 0.332s14번째
P16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0.928s15번째
P1717.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페라리)
+ 1.243s20번째[-3][2]

[同] A B 같은 랩타임을 기록했으나, 먼저 랩타임을 기록한 드라이버가 앞 순위로 인정[-5] 5 그리드 페널티[1] 직전 그랑프리에서 미하엘 슈마허와의 사고로 인해 페널티 부여[-3] [2] FP1 세션에서 황색기 상황에서의 룰을 위반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2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1:27.479Q2 진출
P1816.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 0.397s17번째
P19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 1.086s18번째
P20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1.273s19번째
P2123.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HRT - 코스워스)
+ 2.737s23번째[-5][Gearbox]
P2222.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코스워스)
+ 2.759s24번째[-5][1]
P23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3.387s21번째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6.567s[107%]22번째[Q]

[-5] A B [Gearbox] 기어박스 교체 허용량 초과[1] Q1에서 미하엘 슈마허의 플라잉 랩을 방해한 이유로 페널티 부여[107%] [Q]

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30:35.00225
2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8.433s18
3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24.301s15
4위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25.529s12
5위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05.42110
6위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06.8518
7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1:24.1836
8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1 Lap4
9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 Lap2
10위17.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페라리)+ 1 Lap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 1 Lap
12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르노)
+ 1 Lap
13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 Lap
14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 2 Laps
15위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2 Laps
16위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3 Laps
17위22.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코스워스)
+ 3 Laps
18위23.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HRT - 코스워스)
+ 3 Laps
19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5 Laps
DNF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Suspension]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Engine]
DNF1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코스워스)
[Gearbox_issue]
DNF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Collision_damage]
DNF16.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Collision]

[Suspension] 서스펜션 문제로 리타이어[Engine] 엔진 블로우로 리타이어[Gearbox_issue]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Collision_damage] [Collision]


오프닝 랩부터 후미에서 사고가 발생한 레이스였다. 바리첼로가 팀메이트인 말도나도와 약간의 컨택을 일으켜 밀려나가자, 고바야시와 충돌한 것이었다. 바리첼로는 프런트 윙을 잃었고, 동시에 트랙으로 재빨리 복귀하려던 고바야시는 뒤에서 코너를 탈출하던 티모 글록과 충돌하고 말았다. 바리첼로는 어찌저찌 피트로 돌아와 프런트 윙을 교체하고 트랙에 복귀했으나, 고바야시와 티모 글록은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10여랩이 지나고, 첫 번째 피트작업을 마친 해밀턴과 마싸가 배틀을 하게 되었다. 3번 코너를 지나 직선 주로에서 해밀턴은 마싸에게 바짝 붙을 수 있었고, 5번 코너를 앞에 두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5번 코너에서 마싸가 인 코스를 무리하게 막으려다가 해밀턴과 충돌하여 마싸 본인이 트랙 밖으로 밀려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해밀턴은 이 때문에 프런트 윙에 대미지를 입어 교체할 수밖에 없었고, 마싸는 이 사고를 일으킨 이유로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를 받게 되었다. 설상가상, 마싸는 32랩 째에 연석을 깊게 파고들다가 소시지 연석에 의해 서스펜션이 부러지며 리타이어한다.

레이스는 페텔의 완벽한 독주로 끝이 났다. 지난 경기에 이어 이번 인도 GP에서도 단 1번도 리드를 빼앗기지 않았으며, 폴 포지션+우승+모든 랩 리드+패스티스트 랩을 달성해 그랜드 슬램을 기록하였다.



4.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8R: 2011 포뮬러 1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그랑프리 (아부다비 GP)[편집]



4.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38.4811번째
P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0.141s2번째
P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0.150s3번째
P4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0.377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577s5번째
P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1.214s6번째
P7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292s7번째
P8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2.181s8번째
P9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2.287s9번째
P10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No time10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3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40.554Q3 진출
P1117.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페라리)
+ 0.320s11번째
P12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 0.365s12번째
P13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0.455s13번째
P1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르노)
+ 0.525s14번째
P15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0.608s15번째
P1616.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 0.686s16번째
P171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206s23번째[-10][Engine_change]

[-10] 10 그리드 페널티[Engine_change] 엔진 교체 허용량 초과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2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42.605Q2 진출
P18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 0.374s17번째
P19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1.279s18번째
P20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1.910s19번째
P2122.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HRT - 코스워스)
+ 2.036s20번째
P22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2.094s21번째
P23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HRT - 코스워스)
+ 2.554s22번째
-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No time[107%]24번째[Q]


4.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1:37:11.88625
2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8.457s18
3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25.871s15
4위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35.784s12
5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50.578s10
6위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52.317s8
7위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15.9646
8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17.1224
9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41.0872
10위16.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1 Lap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17.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페라리)
+ 1 Lap
12위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 Lap
13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 1 Lap
14위1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 Lap[+30s][Blue_flag]
15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1 Lap[+20s][Blue_flag]
16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르노)
+ 1 Lap
17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 1 Lap
18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2 Laps
19위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2 Laps
20위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HRT - 코스워스)
+ 2 Laps
DNF22.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HRT - 코스워스)
[Alternator]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Hydraulics]
DNF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Brakes]
DNF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Puncture_damage]

[+30s] 30초 페널티[Blue_flag] A B 청색기 룰을 위반하여 페널티 부여[+20s] 20초 페널티[Alternator] 알터네이터 문제로 리타이어[Hydraulics] 유압 계통 문제로 리타이어[Brakes] 브레이크 문제로 리타이어[Puncture_damage] 타이어 펑쳐로 인한 리타이어


레이스 스타트부터 페텔의 리어 타이어에 펑쳐가 나며 다소 허무하게 폴 시터가 리타이어한 채 시작되었다.[2] 덕분에 단숨에 선둘로 올라선 해밀턴은 레이스 대부분을 리드한 채 순위를 지켜나갔고, 그렇게 완벽하게 우승을 차지하였다. 좋은 스타트로 포디움권에 올라선 알론소도 페이스를 잘 유지하며 해밀턴을 꾸준히 추격하였고, 우승은 실패했으나 2위를 기록하였다. 그 뒤로 버튼이 들어서며 포디움을 형성.



5. 파일:브라질 국기.svg 19R: 포뮬러 1 그란데 프레미오 페트로브라스브라질 2011 (브라질 GP)[편집]


2011 시즌의 최종전이다. 우선 19시즌동안 F1에서 활약하며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한 루벤스 바리첼로가 홈에서 은퇴전을 펼치게 되었다. 르노의 페트로프는 르노에서의 마지막 경기를 치루며, 토로 로쏘 듀오 역시 재계약에 불발됨에 따라 마지막 F1 경기가 되었다.

5.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11.9181번째
P2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0.181s2번째
P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0.365s3번째
P4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0.562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673s5번째
P6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132s6번째
P7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1.150s7번째
P8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380s8번째
P9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브루노 세나 (르노)+ 1.843s9번째
P10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No time10번째
[ Q2 결과 ]
[ Q1 결과 ]

5.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2.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1:32:17.46425
2위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16.983s18
3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27.638s15
4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35.048s12
5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1:06.73310
6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 Lap8
7위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 Lap6
8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 Lap4
9위16.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페라리)+ 1 Lap2
10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1 Lap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1 Lap
12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1 Lap
13위17.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페라리)
+ 1 Lap
14위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 Lap
15위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 1 Lap
16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르노)
+ 2 Laps
17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르노)
+ 2 Laps
18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르노)
+ 2 Laps
19위25.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버진 - 코스워스)
+ 3 Laps
20위22.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HRT - 코스워스)
+ 3 Laps
DNF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HRT - 코스워스)
[Alternator]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Gearbox_issue]
DNF1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코스워스)
[Spin]
DNF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Wheel]

[Alternator] [Gearbox_issue] [Spin] 스핀 후 리타이어[Wheel] 피트 작업 이후 휠이 도중에 빠져 리타이어


레이스 스타트는 별다른 변동없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레이스 초중반부터 많은 드라이버들이 신뢰도 이슈나 실수로 리타이어하거나 순위를 잃기 시작하였다. 16랩까지 선두 자리를 지킨 페텔은 몇 랩 전부터 기어박스 이슈가 발생하여 2위인 웨버와의 격차가 현격히 좁혀지기 시작하였고, 결국 17랩 첫 코너에서 웨버에게 선두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그나마 레드불에겐 다행히 페텔의 기어박스 이슈가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기에 페이스만 조금 잃을 뿐, 2위 자리마저 빼앗길 정도는 아니었다.

포디움을 향해 달리고 있던 해밀턴에게도 기어박스 이슈가 발생하였고, 해밀턴은 결국 차를 세울 수밖에 없었다. 그 전에는 피트에서 나오던 티모 글록은 휠 체결 불량으로 휠이 빠지며 리타이어하였고, 얼마 안 가 말도나도는 스핀으로 벽을 들이받아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별 이슈 없이 페이스를 유지한 웨버가 최종전에서 우승을 차지하였고, 페텔이 마지막까지 2위 자리를 수성하며 레드불은 최종전도 원투 피니쉬로 장식하였다. 웨버는 페텔의 기어박스 이슈 덕분에 얼떨결에 챔피언십 3위로 극적인 역전을 이룰 수 있었다.



[-3] 3 그리드 페널티[1] FP1 세션에서 황색기 상황에서의 룰을 위반[2] 놀랍게도, 이는 페텔의 시즌 첫 리타이어였다. 최종전을 앞두고서야 처음으로 리타이어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