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1/2010시즌/1R~5R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0시즌


1. 개요
2. 파일:바레인 국기.svg 1R: 2010 포뮬러 1 걸프 에어 바레인 그랑프리 (바레인 GP)
2.1. 퀄리파잉
2.2. 레이스
3. 파일:호주 국기.svg 2R: 2010 포뮬러 1 콴타스 호주 그랑프리 (호주 GP)
3.1. 퀄리파잉
3.2. 레이스
4.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3R: 2010 포뮬러 1 페트로나스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말레이시아 GP)
4.1. 퀄리파잉
4.2. 레이스
5. 파일:중국 국기.svg 4R: 2010 포뮬러 1 중국 그랑프리 (중국 GP)
5.1. 퀄리파잉
5.2. 레이스
6. 파일:스페인 국기.svg 5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에스파냐 텔레포니카 2010 (스페인 GP)
6.1. 퀄리파잉
6.2. 레이스



1. 개요[편집]


포뮬러 12010 시즌 중 1R부터 5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파일:바레인 국기.svg 1R: 2010 포뮬러 1 걸프 에어 바레인 그랑프리 (바레인 GP)[편집]


파일:6B823772-EC48-4643-B817-F7DCCA963200.png
2010 시즌의 개막전은 모처럼 오랜만에 바레인에서 펼쳐지게 되었다. 기존에 열렸던 바레인 그랑프리 레이아웃과는 달리, 사진과 같은 내구 레이스 전용 레이아웃으로 레이스가 펼쳐졌다.

또한, 이번 시즌 처음 F1에 입성한 로터스, HRT, 버진의 첫 그랑프리 레이스이며, 21세기 최다 레이스 엔트리가 이루어졌다.

2.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5.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1:54.1011번째
P2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7.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0.141s2번째
P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8.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 0.507s3번째
P4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 1.116s4번째
P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4.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1.140s5번째
P66.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 1.183s6번째
P7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3.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 1.423s7번째
P8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 1.571s8번째
P9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1.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르노)
+ 1.784s9번째
P10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2.208s10번째
[ Q2 결과 ]
[ Q1 결과 ]

시즌 전부터 레이스카 제작을 착실히 해 온 레드불이 페라리를 누르고 제바스티안 페텔을 폴 시터에 올려놓았다. 레드불의 F1 참가 역사상 처음으로 개막전 폴 포지션을 차지한 순간이었다. 페라리는 지난 시즌과 비교하여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고, 장기 부상에서 복귀한 마싸는 페텔과 불과 0.1초밖에 차이 안날 정도로 박빙이었다. 페라리 이적생 알론소 역시 3 그리드를 차지하며 기대를 모았다.

디펜딩 챔피언인 젠슨 버튼은 맥라렌에서의 첫 퀄리파잉을 하였으나, 적응에 애를 먹어서인지 팀메이트인 해밀턴을 비롯해 미하엘 슈마허에게 뒤쳐진 8위에 그쳤다. 4년 만에 돌아온 F1의 황제 미하엘 슈마허는 팀메이트인 로즈버그와 약 0.3초 뒤쳐진 7위를 기록하며 나쁘지 않은 복귀전 퀄리파잉을 치뤘다.

한편, 신생팀 3 팀은 처참한 퀄리파잉 기록으로 팬들을 경악하게 하였다. 버진 레이싱과 로터스 레이싱은 Q1 마지노선인 고바야시의 기록보다 약 3초가 늦었고, Q1 1위였던 알론소보다 5초가 늦는 기록이었다. 이들보다 더한 팀은 바로 HRT였는데, 꼴찌인 카룬 찬독은 "이거 직선도 제대로 못 간다!"면서 연습 세션부터 좌절하였고, 퀄리파잉에선 결국 알론소보다 10초나 늦는, 90년대 후반에도 잘 안 나왔던 격차를 뽐내주고 말았다(...) 그리고 이 세 팀들의 처참한 퀄리파잉 기록으로 인해 FIA는 얼마 뒤, 10여년 전 이후 폐지되었던 107% 룰을 재도입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8.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39:20.39625
2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7.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16.099s18
3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 23.182s15
4위5.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 38.799s12
5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4.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40.213s10
6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3.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 44.163s8
7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 45.280s6
8위6.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 46.360s4
9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53.008s2
10위9.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1:02.489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1.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르노)
+ 1:09.093
12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22.958
13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1:32.656
14위10.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 Lap
15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9.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코스워스)
+ 2 Laps
16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90%][Electrical]
17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코스워스)
[90%][Hydraulics]
DNF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BMW 자우버 - 페라리)
[Hydraulics]
DNF21.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HRT - 코스워스)
[Airbox]
DNF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Gearbox_issue]
DNF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2.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Suspension]
DNF23.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BMW 자우버 - 페라리)
[Hydraulics]
DNF25.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디 그라시 (버진 - 코스워스)
[Hydraulics]
DNF20.
파일:인도 국기.svg

카룬 찬독 (HRT - 코스워스)
[Accident]

[90%] A B 레이스 전체 거리의 90%를 주파하여 순위 인정[Electrical] 전자 계통 문제로 리타이어[Hydraulics] A B C D 유압 계통 문제로 리타이어[Airbox] 에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Gearbox_issue]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Suspension] 서스펜션 문제로 리타이어[Accident] 충돌로 리타이어


폴 시터인 페텔은 좋은 스타트로 일찌감치 앞서나갔고, 3번 코너를 지나자 중위권에선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포스 인디아의 수틸은 르노의 쿠비차와 충돌하여 두 드라이버는 스핀하였고, 최하위인 루키 카룬 찬독은 나홀로 연석을 잘못 밟고 스핀하여 벽에 충돌해 오프닝 랩에 타이어하고 말았다. 얼마 안 가 또 다른 루키인 휠켄베르크는 갑작스럽게 스핀을 하여 거의 최하위에 쳐지고 말았고, 동시에 버진 레이싱의 또 다른 루키인 디 그라시는 유압 계통 문제로 리타이어하는 일이 있었다. 루키 수난 시대

시간이 지나자 대다수의 드라이버들은 첫 번째 피트스톱을 가졌고, 중위권까지 뒤쳐졌던 디펜딩 챔피언 젠슨 버튼은 바리첼로를 추월하며 순위를 올려나갔다. 최상위권에 있던 페텔은 점화 플러그 손상으로 인해 페이스가 뒤쳐져 어느덧 페라리의 알론소와 격차가 바짝 좁혀졌고, 계속 공격한 결과 알론소는 마지막 코너에서 페텔을 추월하며 선두로 올라섰다. 곧바로 마싸도 메인 스트레이트에서 페텔을 추월하며 2위까지 올라섰다. 페텔의 수난 시대는 끝나지 않았다. 뒤따르던 해밀턴도 얼마 안 가 페텔을 추월하며 3위까지 올라섰고, 페텔은 4위까지 내려앉았다.

레이스는 그대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알론소가 우승을, 마싸가 준우승을 차지하며 페라리는 오랜만에 원투 피니쉬를 이루었다. 우승을 차지한 알론소는 2008 일본 GP 이후 약 2년 만에 우승을 기록할 수 있었으며, 마싸 역시 2009 독일 GP 이후 오랜만에 포디움에 올랐다. 심지어 헝가리 GP에서의 부상으로 인한 시즌 아웃 이후의 첫 경기였기에 더욱 값진 결과였다. 오랜만의 복귀전을 가진 미하엘 슈마허는 6위로 완주하며 매우 성공적인 복귀전을 가질 수 있었다.



3. 파일:호주 국기.svg 2R: 2010 포뮬러 1 콴타스 호주 그랑프리 (호주 GP)[편집]



3.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23.9191번째
P26.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0.116s2번째
P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8.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192s3번째
P4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0.756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7. 펠리페 마싸 (페라리)+ 0.918s5번째
P6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4.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0.965s6번째
P7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3.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008s7번째
P89.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1.298s8번째
P9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1. 로버트 쿠비차 (르노)+ 1.453s9번째
P10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2.117s10번째
[ Q2 결과 ]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223.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BMW 자우버 - 페라리)
1:26.251Q2 진출
P18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2.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 0.220s18번째
P19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9.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코스워스)
+ 2.546s19번째
P20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코스워스)
+ 2.860sDNS[Hydraulics]
P21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3.341sPL[Fuel_collector]
P2225.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디 그라시 (버진 - 코스워스)
+ 3.934sPL[Fuel_collector]
P2321.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HRT - 코스워스)
+ 4.275s21번째
P2420.
파일:인도 국기.svg

카룬 찬독 (HRT - 코스워스)
+ 4.362s22번째

[Hydraulics] [Fuel_collector] A B 연료 컬렉터 교체로 인한 피트레인 스타트 페널티

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1:33:36.53125
2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1. 로버트 쿠비차 (르노)+ 12.034s18
3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7. 펠리페 마싸 (페라리)+ 14.488s15
4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8.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6.304s12
5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4.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6.683s10
6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29.989s8
7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비탄토니오 리우치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59.847s6
8위9.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1:00.5364
9위6.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1:07.3192
10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3.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09.391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1:11.301
12위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BMW 자우버 - 페라리)
+ 1:14.084
13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9.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코스워스)
+ 2 Laps
14위20.
파일:인도 국기.svg

카룬 찬독 (HRT - 코스워스)
+ 5 Laps
DNF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Suspension]
DNF25.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디 그라시 (버진 - 코스워스)
[Hydraulics]
DNF5.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Brakes]
DNF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Engine]
DNF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2.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Spun_off]
DNF21.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HRT - 코스워스)
[Hydraulics]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Collision]
DNF10.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윌리엄스 - 코스워스)
[Collision]
DNF23.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BMW 자우버 - 페라리)
[Collision]
DNS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코스워스)
[Hydraulics]

[Suspension] [Hydraulics] A B C [Brakes] 브레이크 문제로 리타이어[Engine]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Spun_off] 스핀 후 리타이어[Collision] A B C 다른 드라이버와 충돌로 티아이어


레이스 직전에 비가 흩뿌렸고, 드라이버들은 레인 타이어 속에서 시작하였다. 마싸가 좋은 스타트로 웨버를 제치고 2위로 올라온 사이, 4위권에선 알론소가 슈마허와 버튼 사이에서 샌드위치 당하며 버튼에게 밀려 스핀을 하였고, 알론소가 스핀하는 과정에서 슈마허도 컨택이 발생해 스핀하고 말았다. 그 사이 후미권에선 페트로프가 어마어마한 스타트로 11위까지 올라서기도 하였다. 얼마 안가 6번 코너에서 큰 사고가 발생하였다. 휠켄베르크와 고바야시 간에 충돌이 발생하여 동반 리타이어를 한 것이었다. 이 여파로 부에미도 들이받히며 리타이어하였다. 이 사고로 SC가 투입되어 5랩째까지 유지되었다.

6랩 째부터 비가 그치며 트랙이 빠르게 말라갔고, 버튼이 7랩 째에 남들보다 먼저 드라이 타이어로 교체하였다. 이것이 성공으로 이어져 패스티스트 랩을 경신하기 시작했고, 이를 지켜본 모든 팀들이 드라이버들을 불러들여 타이어를 교체시켰다. 자연스레 버튼은 최상위권으로 올라섰고, 페텔만이 앞서 있게 되었다.

22랩 째가 되었고, 프런트 윙에 누적된 대미지를 입어 페이스가 급격히 저하된 해밀턴은 어느새 페라리 듀오를 만나게 되었다. 마싸가 해밀턴을 상대로 추월 시도를 할 정도였고, 뒤쳐졌던 알론소마저 마싸에게 바짝 붙게 되었다. 이후엔 선두권에서 엄청난 이변이 발생하였다. 선두였던 페텔은 브레이크 고장으로 인해 그라벨로 빠져버렸고, 결국 허무하게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단숨에 버튼이 선두로 올라섰고, 이 덕에 뒤에 있던 쿠비차는 2위로 올라섰다.

41랩 째부턴 마싸와 알론소가 쿠비차 뒤에 바짝 붙으며 포디움을 노려나갔다. 이 때 페라리에선 앞서 있는 마싸에게 뒤에 있는 알론소가 더 빠르니 자리를 비켜달라(Fernando is faster than you)는 팀 오더를 주문하였으나, 마싸는 거절을 하며 쿠비차를 쫓아나갔다. 56랩 째엔, 알론소가 마싸를 추격하지 못하며 더티에어를 먹고 페이스가 늦어진 사이, 해밀턴과 웨버가 바짝 붙었고, 급기야 해밀턴이 추월시도를 하였다. 알론소가 인 코스를 막고 해밀턴이 아웃 라인을 선점하였는데, 브레이킹이 늦은 웨버가 해밀턴을 들이받으며 두 드라이버 모두 크게 내려앉고 말았다. 이 덕에 로즈버그는 5위로 올라섰다.

훌륭한 타이어 전략으로 1위에 오른 버튼은 페이스를 유지하며 우승을 차지하였다. 쿠비차가 자리를 유지하며 시즌 첫 포디움에 올랐고, 마싸가 3위를 차지하였다. 마싸는 알론소보다 앞서 완주하며 챔피언십 포인트에서도 알론소와의 격차를 4점 차로 좁혔다. 컨스트럭터 순위에선 르노가 레드불을 제치고 4위에 올랐으며, 선두인 페라리는 더욱 앞서나갔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70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54
3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29
4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르노18
5레드불 - 르노18

4.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3R: 2010 포뮬러 1 페트로나스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말레이시아 GP)[편집]



4.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6.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1:49.3271번째
P2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4.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346s2번째
P3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1.462s3번째
P4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587s4번째
P510. 니코 휠켄베르크 (윌리엄스 - 코스워스)+ 1.674s5번째
P6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1. 로버트 쿠비차 (르노)+ 1.724s6번째
P79.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2.184s7번째
P8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3.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2.390s8번째
P923. 고바야시 카무이 (BMW 자우버 - 페라리)+ 2.440s9번째
P10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비탄토니오 리우치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2.927s10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3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3.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48.400Q3 진출
P11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2.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 0.360s11번째
P12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BMW 자우버 - 페라리)
+ 0.371sDNS[Engine]
P13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0.807s13번째
P14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1.014s14번째
P15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9.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코스워스)
+ 3.820s15번째
P16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4.070s16번째
P17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No time17번째


Q1 세션 초반부터 적당한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젖은 노면에서 퀄리파잉이 시작되었다. 이때 맥라렌과 페라리 드라이버들은 일찍이 타임을 찍지 않고 트랙 에볼루션이 진행되었을 때 랩타임을 기록하려 했으나, 갑자기 어마어마한 비가 쏟아지기 시작하였다. 급하게 트랙에 나와 랩타임을 기록했으나 알론소와 마싸는 각각 19, 21위로 Q1 탈락을 맞이하고 말았고, 맥라렌은 버튼이 17위로 턱걸이 Q2 진출을 했으나 해밀턴이 20위로 Q1 탈락을 하는 대이변이 발생하였다.

Q2에서도 장대비로 인해 실수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젠슨 버튼은 마지막 랩타임을 기록하던 도중에 빗길에 스핀하며 자갈밭에 빠져버려 결국 No time으로 17위에 그치고 말았다.

폴 포지션은 마크 웨버가 차지하였다. 2위인 로즈버그와 1.3초 차라는 압도적인 랩타임을 기록한 것이었다. 팀메이트인 페텔은 로즈버그에 0.1초 뒤진 3위를 기록했으나, 레이스에서 충분히 선두 경쟁을 펼칠 수 있는 위치에 오게 되었다. 메르세데스는 기쁨을 감추지 못하였다. 비록 웨버가 압도적인 기록을 뽑았지만, 로즈버그가 2위에 오르며 폴 포지션 경쟁도 할 수 있는 위치까지 올랐으며, 레이스에서도 로즈버그가 잘만 달려준다면 팀의 55년 만의 F1 팀 복귀 이래 첫 포디움도 기록할 수 있는 위치에 올랐다.

4.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33:48.41225
2위6.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4.849s18
3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4.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3.504s15
4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1. 로버트 쿠비차 (르노)+ 18.589s12
5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21.059s10
6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23.471s8
7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7. 펠리페 마싸 (페라리)+ 27.068s6
8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37.918s4
9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1:10.6022
10위10. 니코 휠켄베르크 (윌리엄스 - 코스워스)+ 1:13.399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1:18.938
12위9.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 Lap
13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8.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90%][Engine]
14위25.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디 그라시 (버진 - 코스워스)
+ 3 Laps
15위20.
파일:인도 국기.svg

카룬 찬독 (HRT - 코스워스)
+ 3 Laps
16위21.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HRT - 코스워스)
+ 4 Laps
17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코스워스)
+ 5 Laps
NC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9.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코스워스)
+ 10 Laps[1]
DNF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2.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Gearbox_issue]
DNF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Throttle]
DNF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3.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Wheel]
DNF23.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BMW 자우버 - 페라리)
[Engine]
DNF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Collision]
DNS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BMW 자우버 - 페라리)
[Engine]

[90%] [Engine] A B C [1] 레이스 전체 거리의 90%를 소화하지 못한 채 마무리하여 순위 인정 불가.[Gearbox_issue] [Throttle] 스로틀 문제로 리타이어[Wheel] 타이어 체결 불량으로 휠이 빠지며 리타이어[Collision]


레이스 시작 전, 데 라 로사가 웜업 주행 세션 도중 그리드로 향하던 도중에 엔진이 퍼지며 DNS를 기록하는 불운을 겪고 말았다. 1시간여 뒤 시작된 레이스에선 3위였던 페텔이 스타트하자마자 로즈버그를 추월하며 웨버의 뒤로 자리잡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웨버마저 페텔이 추월하여 페텔이 선두로 올라서게 되었다. 후미에선 쿠비차와 슈마허가 좋은 스타트로 2계단 오르며 흥미로운 포디움 경쟁권을 형성했다. 하지만 윌리엄스의 바리첼로는 오프닝 랩을 마치고 최후미로 떨어지는 일도 발생하기도 하였다. 최후미에서 스타트해야만 했던 맥라렌, 페라리 듀오는 마치 예고한 듯이 추월쇼를 펼치며 단숨에 10위권 바로 밑까지 올라섰다.

중위권에선 슈마허가 잘 달린 뒤 피트작업을 마쳤으나, 타이어 체결 불량으로 휠이 빠지며 허무하게 시즌 첫 리타이어를 맞이하고 말았다. 상위권에선 페텔이 페이스를 잘 유지하며 선두를 유지했고, 웨버가 뒤를 이었다. 버튼과 8위 경쟁을 펼치던 알론소는 레이스 완주까지 2랩을 남겨두고 엔진 블로우가 발생하며 아쉽게 리타이어하였고, 해밀턴, 마싸, 버튼은 각각 6,7,8위를 기록하며 나쁘지 않은 레이스를 마쳤다. 그 사이 레드불 듀오는 원투 피니쉬를 기록하며 최고의 결과를 맞이하였다.

이번 레이스 결과로 리타이어한 알론소는 챔피언십 2위로 내려앉았고, 1위 자리에는 팀메이트인 마싸가 2점 차로 역전하며 올라설 수 있었다. 페텔 또한 우승으로 알론소와 포인트 동률을 이루었고, 해밀턴과 로즈버그 역시 마싸와는 단 4점 차로 좁히며 챔피언십 경쟁을 흥미진진하게 만들었다. 컨스트럭터 포인트에선 여전히 페라리가 선두.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76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66
3레드불 - 르노61
4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44
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르노30

5. 파일:중국 국기.svg 4R: 2010 포뮬러 1 중국 그랑프리 (중국 GP)[편집]



5.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1:34.5581번째
P26.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0.248s2번째
P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8.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355s3번째
P4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4.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0.365s4번째
P5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0.421s5번째
P6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0.476s6번째
P7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7. 펠리페 마싸 (페라리)+ 0.622s7번째
P8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1. 로버트 쿠비차 (르노)+ 0.806s8번째
P9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3.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088s9번째
P10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405s10번째
[ Q2 결과 ]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2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BMW 자우버 - 페라리)
1:37.050Q2 진출
P18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0.111s18번째
P19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2.228sDNS[Engine]
P20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코스워스)
+ 2.349s20번째
P21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9.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코스워스)
+ 2.470s21번째
P2225.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디 그라시 (버진 - 코스워스)
+ 2.733s22번째
P2321.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HRT - 코스워스)
+ 3.419s23번째
P2420.
파일:인도 국기.svg

카룬 찬독 (HRT - 코스워스)
+ 3.528sPL[1]

[Engine] [1] 유압 펌프 교체로 인한 피트레인 스타트 페널티 부여

5.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1:46:42.16325
2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1.530s18
3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4.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9.484s15
4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8.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1.869s12
5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1. 로버트 쿠비차 (르노)+ 22.213s10
6위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33.310s8
7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2.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47.600s6
8위6.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 52.172s4
9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7. 펠리페 마싸 (페라리)+ 57.796s2
10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3.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01.749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02.874
12위9.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03.665
13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1:11.416
14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9.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코스워스)
+ 1 Lap
15위10.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윌리엄스 - 코스워스)
+ 1 Lap
16위21.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HRT - 코스워스)
+ 2 Laps
17위20.
파일:인도 국기.svg

카룬 찬독 (HRT - 코스워스)
+ 4 Laps
DNF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코스워스)
[Hydraulics]
DNF25.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디 그라시 (버진 - 코스워스)
[Clutch]
DNF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BMW 자우버 - 페라리)
[Engine]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Suspension]
DNF23.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BMW 자우버 - 페라리)
[Collision]
DNF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Collision]
DNS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Engine]

[Hydraulics] [Clutch] 클러치 문제로 리타이어[Engine] A B [Suspension] [Collision] A B

패스티스트 랩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1:42.061 (Lap 13)

레이스 시작 전엔 티모 글록의 엔진 쪽에 문제가 생겨 그리드에 서지 못 하였다. 이후 레이스가 시작되자마자 3위에 있던 알론소가 로켓 스타트와 함께 레드불 듀오를 제치고 1위에 올라섰다. 폴 시터였던 페텔은 알론소뿐만 아니라 팀메이트인 웨버에게도 추월당하며 3위까지 내려앉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6번 코너에서 리우치가 브레이킹을 하는 과정에서 컨트롤을 잃고 스핀하며 고바야시와 부에미를 들이받는 사고가 있었고, 이들 모두 오프닝 랩에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한편, 레이스 시작 전부터 비가 흩뿌리고 있었는데, 이 때문인지 오프닝 랩부터 수많은 드라이버들이 컨트롤을 잡는 것에 애를 먹었다. 그 결과 선두인 알론소를 비롯한 많은 드라이버들은 2랩을 돌자마자 피트인을 하여 인터미디에이트 타이어를 장착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생각보다 비가 더 이상 내리지 않는 탓에 인터미디에이트 타이어로 유지하는 것이 생각만큼 이득을 부여해주지 못하였고, 이 때문에 레이스 초반부터 드라이 타이어를 유지한 니코 로즈버그젠슨 버튼, 르노 듀오인 로버트 쿠비차비탈리 페트로프 등은 큰 이득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레드불 쪽에선 마크 웨버가 피트스톱을 하다가 프런트 잭에 부딪혀 프런트 윙에 데미지를 입는 사고가 났었고, 이 때문에 웨버는 9초라는 시간 손해를 입어 10위까지 떨어지는 이변이 있었다.

중위권으로 추락한 웨버는 제바스티안 페텔루이스 해밀턴에게도 추월당하며 순위를 잃어만 갔다. 15랩 째에는 미하엘 슈마허루이스 해밀턴에게 3초씩 거리가 좁혀졌으나 얼마 못가 추월당하였다. 중위권에선 그 사이 하이메 알게수아리아드리안 수틸이 배틀을 하다가 서로 컨택이 발생하여 수틸이 트랙을 이탈하기도 하였다. 그 사이 선두였던 로즈버그는 2위인 젠슨 버튼과의 격차가 좁혀지다가 19랩 째에 버튼에게 선두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이후 29랩 째에, 7위까지 떨어졌던 페르난도 알론소는 수틸을 추월해 6위까지 올라섰고, 이 외에는 전반적으로 순위가 유지되며 레이스가 진행되었다. 그러다 레이스 종료까지 2랩만을 남겨둔 54랩 째에 마크 웨버는 빗길 속에서 컨트롤에 애를 먹다가 페트로프에게마저 순위를 허용하며 8위까지 내려앉았다.

가장 먼저 체커기를 받은 드라이버는 젠슨 버튼이었다. 시즌 2번째 우승을 완성함과 동시에 챔피언십 최상위권을 다투는 라이벌인 펠리페 마싸페르난도 알론소, 마크 웨버제바스티안 페텔이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를 기록하며 자연스럽게 챔피언십 선두에 올라서게 되었다. 2위는 해밀턴이 들어오며 맥라렌은 모처럼 원투 피니쉬를 달성하였고, 자연스럽게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선두 자리에도 올라섰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109
2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90
3레드불 - 르노73
4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60
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르노46

6. 파일:스페인 국기.svg 5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에스파냐 텔레포니카 2010 (스페인 GP)[편집]



6.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6.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1:19.9951번째
P2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0.106s2번째
P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0.834s3번째
P4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8.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942s4번째
P5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0.996s5번째
P6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3.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299s6번째
P7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1. 로버트 쿠비차 (르노)+ 1.358s7번째
P8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4.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413s8번째
P9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7. 펠리페 마싸 (페라리)+ 1.590s9번째
P1023. 고바야시 카무이 (BMW 자우버 - 페라리)+ 1.989s10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3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4.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21.867Q3 진출
P11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0.118s11번째
P12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BMW 자우버 - 페라리)
+ 0.159s12번째
P1310.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윌리엄스 - 코스워스)
+ 0.264s13번째
P14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2.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 0.272s19번째[-5][Gearbox]
P15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 0.324s14번째
P16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 0.340s15번째
P17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0.987s16번째

[-5] 5 그리드 페널티[Gearbox] 기어박스 교체 허용량 초과로 인한 페널티 부여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23.084Q2 진출
P189.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 0.041s17번째
P19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코스워스)
+ 1.590s18번째
P20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9.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코스워스)
+ 1.664s20번째
P21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2.401s22번째[-5][Gearbox_ratio]
P2225.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디 그라시 (버진 - 코스워스)
+ 2.482s23번째[-5][Gearbox_ratio]
P2320.
파일:인도 국기.svg

카룬 찬독 (HRT - 코스워스)
+ 3.676s24번째[-5][Gearbox_ratio]
P2421.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HRT - 코스워스)
+ 4.048s21번째

[-5] A B C [Gearbox_ratio] A B C FIA에 지정된 기한일까지 기어박스의 기어비 교체 사실을 알리지 않아 페널티 부여

6.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6. 마크 웨버 (레드불 - 르노)1:35:44.10125
2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8.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24.065s18
3위5.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르노)+ 51.338s15
4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3.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02.19512
5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젠슨 버튼 (맥라렌 - 메르세데스)+ 1:03.72810
6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7. 펠리페 마싸 (페라리)+ 1:05.7678
7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1:12.9416
8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1. 로버트 쿠비차 (르노)+ 1:13.6774
9위9. 루벤스 바리첼로 (윌리엄스 - 코스워스)+ 1 Lap2
10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 - 페라리)+ 1 Lap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
11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2.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
+ 1 Lap
12위23.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BMW 자우버 - 페라리)
+ 1 Lap
13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4.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1 Lap
14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메르세데스)
[90%][Accident]
15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90%][Engine]
16위10.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윌리엄스 - 코스워스)
+ 2 Laps
17위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로터스 - 코스워스)
+ 3 Laps
18위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버진 - 코스워스)
+ 3 Laps
19위25.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디 그라시 (버진 - 코스워스)
+ 4 Laps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 - 페라리)
[Hydraulics]
DNF20.
파일:인도 국기.svg

카룬 찬독 (HRT - 코스워스)
[Collision_damage]
DNF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BMW 자우버 - 페라리)
[Collision_damage]
DNF21.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HRT - 코스워스)
[Accident]
DNS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19.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로터스 - 코스워스)
[Gearbox_issue]

[90%] A B [Accident] A B [Engine] [Hydraulics] [Collision_damage] A B 충돌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Gearbox_issue]


폴시터인 마크 웨버는 완벽한 스타트와 함께 곧바로 추월 시도를 하는 제바스티안 페텔루이스 해밀턴의 어택을 잘 방어하며 선두 자리를 지켰다. 3번 코너를 지나면서 잠깐의 사고가 있었는데, 로버트 쿠비차고바야시 카무이가 코너를 돌아나가다 서로 접촉하며 순위를 크게 잃게 되었다. 얼마 안 가 데 라 로사와 세바스티앙 부에미 간에도 접촉이 발생하였고, 이 때문에 데 라 로사는 타이어 펑쳐가 발생하여 리타이어할 수밖에 없었다.

15랩 째부터 첫 번째 피트스톱이 진행되기 시작했다. 레드불의 페텔이 피트인을 했으나 피트크루들의 실수들이 겹쳐 4초나 걸리고 말았고, 해밀턴에게 추월당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맥라렌은 젠슨 버튼의 피트스톱 과정에서 실수가 일어나며 뒤에 있던 미하엘 슈마허에게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버튼이 이후 슈마허와의 격차를 좁히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추월이 어려운 카탈루냐 서킷의 특성상 그대로 꽁꽁 묶이기 시작했다.

페라리의 펠리페 마싸는 레이스 중반부에 백마커인 카룬 찬독과의 접촉으로 프런트윙 손상을 입는 사고를 겪고 말았다. 마지막 시케인 코너에서 랩핑하는 과정에서 접촉이 일어난 것이었다. 이 때문에 피트인을 하여 프런트윙을 교체할 수밖에 없었고 결과적으로 3개의 순위를 잃고 말았다. 찬독은 또 한번 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하이메 알게수아리와 마지막 시케인에서 또 한 번 접촉이 발생하였고, 이번엔 찬독 본인의 서스펜션이 손상을 입어 리타이어하게 되었다.

상위권은 마크 웨버와 해밀턴, 페텔, 알론소가 1~4위를 점하고 있었다. 레이스 종료까지 12랩을 남긴 54랩 째엔 페텔의 차량에 브레이크 문제가 발생하여 페텔이 그라벨로 돌진하고 말았고, 이 과정에서 타이어 교체가 불가피해져 하는 수 없이 소프트 타이어로 교체하였다. 이 과정에서 알론소가 자연스레 3위로 올라서게 되었다. 단 2바퀴만을 남겨둔 65랩 째엔 엄청난 변수가 발생하였다. 2위로 잘 달리던 해밀턴이 3번 코너를 돌아나가던 도중에 왼쪽 앞 타이어가 펑쳐가 나며 그대로 벽으로 돌진해 리타이어하게 된 것이었다. 해밀턴으로서는 이대로 완주하면 챔피언십 선두로 올라섬과 동시에 맥라렌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포인트 격차를 더 늘릴 수 있는 최고의 기회였기에 그들에겐 더욱 아쉬운 결과였다.

레이스는 마크 웨버의 폴투윈으로 종료되었다. 모든 랩을 리드하며 완벽한 레이스를 펼쳤으며, 이 우승으로 드라이버 챔피언십 4위에 오르게 되었다. 알론소는 2위로 들어오며 5위에 그친 젠슨 버튼과의 챔피언십 포인트 격차를 단 3점 차로 좁힐 수 있었다. 페텔은 3위로 완주해 버튼과의 챔피언십 포인트 격차를 10점 차로 좁혀 흥미진진한 챔피언십 경쟁을 예고하였다.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에선 맥라렌이 버튼의 5위 완주로 간신히 선두 자리를 유지하였으나, 페라리가 26점을 얻어내며 이제 3점 차밖에 나지 않게 되었다. 더불어, 더블 포디움으로 포인트를 대거 수확한 레드불은 이제 맥라렌과 6점 차밖에 나지 않는 3위를 기록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119
2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116
3레드불 - 르노113
4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72
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르노50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