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2000시즌

덤프버전 :




1. 2000년 그랑프리
1.1. 2000년 라인업
1.2. 2000년 캘린더
2. 세이프티 카
3. 경기 결과
3.1. 1전 호주 GP
3.2. 2전 브라질 GP
3.3. 3전 산 마리노 GP
3.4. 4전 영국 GP
3.5. 5전 스페인 GP
3.6. 6전 유럽(뉘르부르크) GP
3.7. 7전 모나코 GP
3.8. 8전 캐나다 GP
3.9. 9전 프랑스 GP
3.10. 10전 오스트리아 GP
3.11. 11전 독일 GP
3.12. 12전 헝가리 GP
3.13. 13전 벨기에 GP
3.14. 14전 이탈리아 GP
3.15. 15전 미국 GP
3.16. 16전 일본 GP
3.17. 17전 말레이시아 GP
4.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4.1. 드라이버 포인트
4.2. 컨스트럭터 포인트


||



  • 시즌 개막일 기준.
  • 굵은 글씨는 소속을 옮긴 드라이버 또는 신인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5eecd84afe4c53a4215f240d3a23a235 data-hash-start=w-3e51d9b5566a471230a7dabf580fc921 == 2000년 그랑프리 == 2000년 포뮬러 원 시즌은 51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3월 12일 호주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10월 22일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까지 총 17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브리지스톤이 타이어를 독점 공급하였다. 페라리가 팀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거두었고, 미하엘 슈마허가 3번째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였다. 미카 하키넨이 2위, 데이빗 쿨싸드가 3위를 차지했다. === 2000년 라인업 ===
엔트리
팀 로고팀 국적섀시
(파워유닛)
드라이버
번호국적이름
1파일:West Mclaren Mercedes logo.png
웨스트 맥라렌 메르세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MP4/15
(Mercedes FO110J)
1파일:핀란드 국기.svg미카 해키넨
2파일:영국 국기.svg데이빗 쿨싸드
2파일:Scuderia Ferrari Marlboro logo.jpg
스쿠데리아 페라리 말보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F1-2000
(Ferrari 049)
3파일:독일 국기.svg미하엘 슈마허
4파일:브라질 국기.svg루벤스 바리첼로
3파일:Jordan GP logo.gif
벤슨 & 헤지스 조던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EJ10
(Mugen-Honda MF-301 HE)
5파일:독일 국기.svg하인츠하랄트 프렌첸
6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야르노 트룰리
4파일:Jaguar Racing.webp
재규어 레이싱 F1 팀[1]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R1
(Cosworth CR-2)
7파일:영국 국기.svg에디 어바인
8파일:영국 국기.svg조니 허버트
5파일:BMW Williams F1 logo.png
BMW 윌리엄스F1 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FW22
(BMW E41)
9파일:독일 국기.svg랄프 슈마허
10파일:영국 국기.svg젠슨 버튼
6파일:Benetton Formula logo.gif
마일드 세븐 베네통 플레이라이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B200
(Playlife FB02)
11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안카를로 피지켈라
12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알렉산더 우르츠
7파일:Prost logo.png
골루아즈 프로스트 푸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AP03
(Peugeot A20)
14파일:프랑스 국기.svg장 알레시
15파일:독일 국기.svg닉 하이트펠트
8파일:Red Bull Sauber Petronas logo.png
레드불 자우버 페트로나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C19
(Petronas SPE 04A)
16파일:브라질 국기.svg페드로 디니즈
17파일:핀란드 국기.svg미카 살로
9파일:2224F83C-2E57-4AA0-94AB-AE3340FDC478.png
애로우즈 F1 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A21
(Supertec FB02)
18파일:스페인 민간기.svg페드로 데 라 로사
19파일:네덜란드 국기.svg요스 베르스타펜
10파일:Minardi 2000 logo.png
텔레포니카 미나르디 폰드메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M02
(Fondmetal RV10)
20파일:스페인 민간기.svg마크 제네
2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가스통 마자카네
11파일:BAR logo png.png
럭키 스트라이크 BAR 혼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002
(Honda RA000E)
22파일:캐나다 국기.svg자크 빌르너브
23파일:브라질 국기.svg리카르도 존타


1. 2000년 캘린더[편집]


경기일그랑프리(도시)서킷드라이버 우승컨스트럭터 우승
13/12호주(멜버른)앨버트 파크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23/26브라질(상파울루)호세 카를로스 파시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34/9산 마리노(이몰라)엔초 에 디노 페라리 자동차 경주장미하엘 슈마허페라리
44/23영국(실버스톤)실버스톤 서킷데이빗 쿨싸드맥라렌 메르세데스
55/7스페인(카탈루냐)카탈루냐 서킷미카 하키넨맥라렌 메르세데스
65/21유럽(뉘르부르크)뉘르부르크링미하엘 슈마허페라리
76/4모나코(몬테카를로)모나코 서킷데이빗 쿨싸드맥라렌 메르세데스
86/18캐나다(몬트리올)질 빌르너브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97/2프랑스(마그니-쿠르)느베르 마그니-쿠르 서킷데이빗 쿨싸드맥라렌 메르세데스
107/16오스트리아(스펠베르크)A1-링미카 하키넨맥라렌 메르세데스
117/30독일(호켄하임)호켄하임링루벤스 바리첼로페라리
128/13헝가리(부다페스트)헝가로링미카 하키넨맥라렌 메르세데스
138/27벨기에(프랑코샹)스파-프랑코샹 서킷미카 하키넨맥라렌 메르세데스
149/10이탈리아(몬차)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미하엘 슈마허페라리
159/24미국(인디애나폴리스)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미하엘 슈마허페라리
1610/8일본(스즈카)스즈카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1710/22말레이시아(쿠알라룸프르)세팡 인터내셔널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2. 세이프티 카[편집]


파일:F2ADEFCB-D2CA-4A2C-ADA9-B0D5D23B329B.png
파일:9B014BE4-E8EA-43D5-B514-5C502A67A653.jpg
이번 시즌에는 지난 시즌까지 운영된 CLK 55 AMG에서 SL 55 AMG로 변경되었다.


3. 경기 결과[편집]



4. 1전 호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30.556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4:01.987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30.910 (+0.354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11.415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1.075 (+0.519s)3위랄프 슈마허 (윌리엄스)+ 20.009s

패스티스트랩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31.481 (Lap 41)

5. 2전 브라질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14.111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1:35.271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4.285 (+0.174s)2위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베네통)+ 39.898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4.508 (+0.397s)3위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조던)+ 42.268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4.755 (Lap 48)

이 경기에서 젠슨 버튼이 20세 67일의 나이로 포인트 피니쉬를 달성함에 따라 38년 전 1962 벨기에 GP에서 20세 123일의 나이였던 리카르도 로드리게스가 달성한 최연소 포인트 피니쉬 기록을 경신하였다.

6. 3전 산 마리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24.714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1:39.776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4.805 (+0.091s)2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1.168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25.014 (+0.300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51.008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26.523 (Lap 60)

7. 4전 영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25.703우승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28:50.108
P2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조던)1:25.706 (+0.003s)2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1.477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25.741 (+0.038s)3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19.917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26.217 (Lap 56)

8. 5전 스페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0.974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33:55.390
P2미카 해키넨 (맥라렌)1:21.052 (+0.078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16.066s
P3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21.416 (+0.442s)3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29.112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24.470 (Lap 28)

9. 6전 유럽(뉘르부르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7.529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2:00.307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7.667 (+0.138s)2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13.821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17.785 (+0.256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1 Lap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2.269 (Lap 8)

10. 7전 모나코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9.475우승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49:28.213
P2야르노 트룰리 (조던)1:19.746 (+0.271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15.889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9.888 (+0.413s)3위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베네통)+ 18.522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21.571 (Lap 57)

11. 8전 캐나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8.439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1:12.313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8.537 (+0.098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0.174s
P3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8.801 (+0.362s)3위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베네통)+ 15.365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19.049 (Lap 37)

12. 9전 프랑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5.632우승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38:05.538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5.734 (+0.102s)2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14.748s
P3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6.047 (+0.415s)3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32.409s

패스티스트랩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9.479 (Lap 28)

13. 10전 오스트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10.410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28:15.818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0.795 (+0.385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12.535s
P3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0.844 (+0.434s)3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30.795s

패스티스트랩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1.783 (Lap 67)

14. 11전 독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45.697우승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25:34.418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7.063 (+1.366s)2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7.452s
P3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베네통)1:47.130 (+1.433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21.168s

패스티스트랩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44.300 (Lap 20)

빗길에서 거둔 첫 우승 트로피, 바리첼로의 감격의 눈물

바리첼로가 비가 온 호켄하임에서 꿈에 그리던 F1 첫 우승을 거두었다. 데뷔 7년만에 올라선 첫 우승이며, 18위에서 출발한[2] 상황이었기에 더욱 값진 우승이었다.

15. 12전 헝가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7.514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45:33.869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7.886 (+0.372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7.916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17.922 (+0.408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8.454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20.028 (Lap 33)

16. 13전 벨기에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50.646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28:14.494
P2야르노 트룰리 (조던)1:51.419 (+0.773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1.103s
P3젠슨 버튼 (윌리엄스)1:51.444 (+0.798s)3위랄프 슈마허 (윌리엄스)+ 38.096s

패스티스트랩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53.803 (Lap 30)

해키넨 VS 슈마허, F1 역사상 손에 꼽히는 해키넨의 추월

스타트는 레인 컨디션으로 시작되었다. 레이스 초반 트룰리가 버튼과의 배틀 중 스핀을 하며 리타이어하였고, 이후에는 슈마허가 2위, 해키넨이 일찌감치 격차를 벌리며 1위로 달리는 중이었다. 트랙이 말라가며 해키넨은 드라이 타이어로 교체하여 달리기 시작하였는데, 그가 잘 달리던 도중 실수를 범하며 슈마허에게 1위 자리를 내주고 만다.

그러나 트랙 내에서 페이스가 압도적으로 좋은 선수는 해키넨이었다. 실수로 벌어졌던 격차를 단숨에 좁혀나갔고 41랩 째, 오 루즈 코너를 지나 슈마허 뒤를 바짝 붙게 되었다. 카멜 스트레이트에 접어 든 이 두 선수는 백마커 리카르도 존타를 맞닥뜨리게 되는데, 슈마허가 바깥으로 존타를 추월한 반면, 해키넨은 안쪽을 선택한다. 슈마허보다 먼저 슬립 스트림을 받기 시작한 해키넨이 당연히 직선에서 유리한 상황이었고, 여기에 존타를 이용하여 슈마허를 속도에서 앞서기 시작한다. 그렇게 F1 역사에 남을 명장면을 남기는 해키넨은 그대로 피니쉬 라인을 통과하여 우승을 차지하고, 슈마허는 준우승에 그쳐 아쉬움을 삼켜야 했다.

이 경기로 해키넨은 74점, 슈마허는 68점을 기록하여 해키넨이 챔피언십 포인트를 더 벌리는 데 성공하였다.

17. 14전 이탈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3.770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7:31.638
P2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23.797 (+0.027s)2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3.810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23.967 (+0.197s)3위랄프 슈마허 (윌리엄스)+ 52.432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25.595 (Lap 50)

미하엘 슈마허는 이 경기를 우승하며 아일톤 세나가 기록한 41승과 타이를 이루게 되었다. 경기 종류 후의 인터뷰에서 기자가 이것이 얼마나 많은 것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묻자, 미하엘 슈마허는 잠시 고개를 숙이고 눈물을 흘리며 세나에 대한 그리움을 표하였다. 옆에서 그를 다독여주는 해키넨 또한 많은 생각을 했을 듯.

18. 15전 미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4.266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6:30.883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4.392 (+0.126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12.118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14.428 (+0.162s)3위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조던)+ 17.368s

패스티스트랩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4.711 (Lap 40)

해키넨이 이 경기에서 리타이어 하며 챔피언십 포인트에서 슈마허가 8점차로 역전하였다.

19. 16전 일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5.825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9:53.435
P2미카 해키넨 (맥라렌)1:35.834 (+0.009s)2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1.837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36.236 (+0.411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1:09.914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39.189 (Lap 26)

예선에서도 이어지는 불꽃튀는 라이벌전

슈마허와 해키넨이 예선에서마저 또 다른 명승부를 보여주었다. 슈마허가 1위를 찍자 해키넨이 다시 나와서 1위를 찍는 것을 반복하며 두 선수 모두 챔피언 타이틀에 대한 대단한 열정을 보여주었다.

5년만의 챔피언십 정상 복귀, 미하엘 슈마허

레이스는 해키넨의 쾌조의 스타트로 1위와 2위 자리가 뒤바뀐 채 시작되었다. 해키넨과 슈마허가 나란히 1, 2위로 격차를 유지해가며 경기를 운영해 나갔고, 이 둘의 순위가 바뀐 것은 피트스톱 싸움이었다. 해키넨이 일찍 피트로 들어와 연료를 주입하는 데 시간을 조금 오래 들였고, 슈마허는 해키넨이 피트로 들어간 사이 최대한의 퍼포먼스를 내어 이 격차를 단숨에 줄여나갔다. 결국 슈마허가 피트작업을 마친 뒤의 순위는 슈마허가 1위, 해키넨이 2위였다. 그대로 레이스 피니쉬. 슈마허의 5년만의 챔피언 확정의 순간이었다.

20. 17전 말레이시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7.397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5:54.235
P2미카 해키넨 (맥라렌)1:37.860 (+0.463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0.732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37.889 (+0.492s)3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18.444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38.543 (Lap 34)

21.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22. 드라이버 포인트[편집]


파일:Michael Schumacher 2000 champion.jpg
2000 포뮬러 1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 미하엘 슈마허


23. 컨스트럭터 포인트[편집]


파일:Ferrari f1 2000.jpg
2000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 스쿠데리아 페라리 말보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48:15에 나무위키 포뮬러 1/2000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재규어가 스튜어트 그랑프리 팀을 인수하고 F1에 참전한다.[2] 전날 예선전에 그가 타임 트라이얼을 하기 전에 비가 내리기 시작하였고, 그로 인해 후미 그리드에서 출발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