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펌프 잇 업/특수 채보

덤프버전 :

,취소선은 PHOENIX 기준 지원되지 않는 컨텐츠를 의미합니다.,
,[M]: 미션 : 제로, NX, 프라임 시리즈 / 미션 존 : 피에스타 시리즈 및 XX, ||


리듬 게임의 난이도 표기 문제
[ 펼치기 · 접기 ]



1. 설명
1.1. 싱글
1.1.1. 싱글 14 이하
1.1.2. 싱글 15 ~ 16
1.1.3. 싱글 17 ~ 18
1.1.4. 싱글 19 ~ 20
1.1.5. 싱글 21 ~ 22
1.1.6. 싱글 23 이상
1.2. 더블
1.2.1. 더블 16 이하
1.2.2. 더블 17 ~ 18
1.2.3. 더블 19 ~ 20
1.2.4. 더블 21 ~ 22
1.2.5. 더블 23 이상
1.3. PHOENIX 변경 채보
2. 삭제된 채보
2.1. 싱글 1 ~ 17
2.2. 싱글 20 이상
2.3. 더블 20 미만
2.4. 더블 20 이상
3. 같이 보기



1. 설명[편집]


펌프 잇 업의 채보들 중 특이한 패턴을 가진 채보들을 모아놓은 문서이다.















1.1. 싱글[편집]



1.1.1. 싱글 14 이하[편집]












1.1.2. 싱글 15 ~ 16[편집]












1.1.3. 싱글 17 ~ 18[편집]



















1.1.4. 싱글 19 ~ 20[편집]





















1.1.5. 싱글 21 ~ 22[편집]








1.1.6. 싱글 23 이상[편집]





1.2. 더블[편집]



1.2.1. 더블 16 이하[편집]






1.2.2. 더블 17 ~ 18[편집]













1.2.3. 더블 19 ~ 20[편집]












1.2.4. 더블 21 ~ 22[편집]












1.2.5. 더블 23 이상[편집]








1.3. PHOENIX 변경 채보[편집]




2. 삭제된 채보[편집]



2.1. 싱글 1 ~ 17[편집]



















2.2. 싱글 20 이상[편집]




2.3. 더블 20 미만[편집]









2.4. 더블 20 이상[편집]








3. 같이 보기[편집]


파일:Pumpitup.png
||
현재 최신작PHOENIX ,(아케이드),
시스템기본 시스템 · 게임 모드 · 기체 목록 · 아바타 · 칭호 · 커맨드 · UCS · 펌비
수록곡아케이드 · 리믹스 · 숏 컷 · 풀 송 · 미션 · 미션 존[M] · 삭제곡 · 트레인
난이도난이도 체계 · 난이도 표기 문제 ,(XX 기준 · 수록 종료), · 특수 채보
기타손펌프 · 역사 · 오락실 분포 · 크리에이터
관련 틀시리즈 개관 · 보스곡 · EZ2AC
,취소선은 PHOENIX 기준 지원되지 않는 컨텐츠를 의미합니다.,
,[M]: 미션 : 제로, NX, 프라임 시리즈 / 미션 존 : 피에스타 시리즈 및 XX,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8:05:52에 나무위키 펌프 잇 업/특수 채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7이었을 시절엔 롱노트 머리에 단노트가 없어 어찌저찌 누르기만 하면 되지만 XX이후로는 그게 불가능하다.[2] 모든 롱노트의 머리에 단노트가 배치되어 미리 밟고 있으면 콤보가 끊긴다.[3] 틱이 낮은 점을 이용해 틱이 있는 곳에서만 밟는 경우가 있으며, 발판이 좋지 못해도 4노트 밟는데 문제가 없다면 가능하다. 저 노트수는 제네시스 SP 1과 같다.[4] 롱노트 비중이 높은 곡일수록 A랭크 컷트라인이 짠 이유는 따로 있다. 참고 퍼펙은 정확도 1.2를 제공한다. (롱놋퍼펙은 사실상 정확도 1.0이다.)[5] 배속 6~6.5 추천. 어차피 틱이 있는 타이밍만 외우면 의미는 없겠지만.[6] 거의 D18(PRIME 2까지의 15)에서 RS 플레이를 한다. 스릴이 넘치기 때문.[7] 배속 4~4.5 추천[8] 계속 누르고 있어도 롱노트가 퍼펙트가 나오는 편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사람의 발은 10개가 아니고, 일정량의 무게중심이 필요하기 때문에 2리터짜리 물병을 쓰는 것이다. 만약 따라해 보고 싶다면 오락실 분포 문서에 들어가서 근처 오락실의 발판 상태를 확인해 본다음, 3세대의 A급 이상 발판이면 쓸수있다. -그래도 너무 오락실 아저씨의 어그로를 끌진 말자.-[9] 심지어 대부분이 겹롱노트라 미리 밟으면 미스가 나온다.[10] 다행히 롱노트의 처음과 끝에만 틱이 있는 2콤보짜리 노트라 게이지가 심하게 깎이는 일은 없다. 롱노트 끝부분은 엎드려서 어떻게든 처리가 가능하지만 앞부분 10노트는 대처할 시간이 없기 때문에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올콤보가 불가능했다.[11] Exceed 크레이지 난이도들은 최대 15였다. 그래서 디그니티가 15인 것이다.[12] 당시 13레벨 이였는데, 도저히 레벨에 맞다고 절대 볼 수가 없다. 정확한 표기는 'CO-OP x2' 인피니티 버전이라면 R 13[13] AM4는 개발팀인 프리볼트의 이전 이름인 AM4팀을, XII는 Exceed 2를 뜻한다.[14] 순서대로 YAHPP, MSGOON, BPM, JKD, EHNE, AHGOO, KANG2, WING, CH, RUNE, DEATH.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