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프리카(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 0)

곤 사토시 감독 애니메이션 작품
[ 펼치기 · 접기 ]



역대 애니메이션 고베
파일:external/i1.wp.com/kobe-2.png
작품상 - 극장 부문
제11회
(2006년)
제12회
(2007년)
제13회
(2008년)
시간을 달리는 소녀파프리카에반게리온: 서

파프리카 (2006)
パプリカ
Paprika
파일:attachment/Paprika.jpg
장르SF, 미스터리
감독곤 사토시
각본곤 사토시
미나카미 세이시
원작츠츠이 야스타카 《파프리카》
제작하라 후미노리
마루타 준고
모리시마 타로
미노카타 유키코
타키야마 마사오
기획마루타 준고
마루야마 마사오
제작 프로듀서토요타 토모노리
출연하야시바라 메구미
에모리 토오루
호리 카츠노스케
후루야 토오루
촬영카토우 미치야
작화안도 마사시
편집세야마 타케시
음악히라사와 스스무
미술이케 노부타카
음향미마 마사후미
제작사파일:일본 국기.svg 매드하우스,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수입사파일:미국 국기.svg GKID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소니픽쳐스릴리징브에나비스타영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필마우로
배급사파일:일본 국기.svg 렉스엔터테인먼트
파일:미국 국기.svg 소니 픽처스 클래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소니픽쳐스릴리징브에나비스타영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필마우로
개봉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06년 9월 2일 (베니스 영화제)
파일:일본 국기.svg 2006년 11월 25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6년 11월 2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년 11월 3일
화면비1.85 : 1
상영 시간90분
제작비3억 엔(26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946,590
북미 박스오피스$882,267
대한민국 총 관객 수1070명
스트리밍파일:왓챠 로고.svg
파일:네이버 시리즈온 로고.svg[[파일:네이버 시리즈온 로고 화이트.svg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상영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1. 개요
2. 예고편
3. 스태프
4. 시놉시스
5. 특징
7. 사운드트랙
8. 평가
9. 흥행
10. 수상 및 후보 이력
11. 기타
12.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1993년에 출판한 츠츠이 야스타카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한 일본 애니메이션.[1]

원작자 츠츠이 야스타카가 감독 콘 사토시와의 대담에서 영화화해주기를 바란다고 해서 실현되었다. 츠츠이는 이 소설은 본인이 생각하기에 가장 엔터테인먼트성이 강한 작품으로, 감독이 원작을 어떻게 주물러 바꾸더라도 전혀 개의치 않는다고 밝혔다고 한다. 메이킹 영상 원작 소설보다 영역과 상상력을 더 확장시킨 콘 사토시의 독창적인 연출력과 음악 감독 히라사와 스스무와의 협업이 돋보이는 작품. 베테랑 성우들의 연기 또한 완성도를 한층 높이는데 일조한 작품이다. 작화감독과 캐릭터 디자인은 안도 마사시가 맡았다.

이 작품을 제작한 이후 콘 사토시는 췌장암이 발병해 투병 생활을 하다 2010년에 사망해 유작이 됐다.

한국에는 2006년 부산국제영화제로 최초 공개했고, 2007년에 개봉했는데 스폰지하우스 중앙극장 딱 1곳에서만 상영, 관객은 1천 명 정도다. 2007년 시카프에서도 상영한 바 있다. 미국에도 개봉해 약 87만 불(당시 일본 환율로 1억 엔)의 수익으로 2005년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이어 1억 엔을 넘은 기록으로(통상 12번째 작품) 흥행에 성공했다. 특히 R등급 성인 대상 영화로 1억 엔 수익은 카우보이 비밥 극장판: 천국의 문과 이 작품으로 단 2작품 뿐이다.

난해한 작품으로 이 작품의 테마는 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데 정말 곤란한 질문이라며, 테마가 뭔지는 영화를 본 관객들이 스스로 찾아보라고 하면서, 나도 이 작품을 만들기는 했지만 그 자신도 내가 뭘 만들었는지를 이해하지 못 했다고 콘 사토시는 고백했다.


2. 예고편[편집]


예고편

예고편이 거의 스포일러 수준이므로 가능하면 시청하지 않고 바로 작품을 보는 것을 추천한다.


3. 스태프[편집]




4. 시놉시스[편집]


현실과 꿈의 뒤죽박죽 퍼레이드가 펼쳐진다!


{{{#fef294 29세의 정신과 치료사 치바 아츠코에게는 또 하나의 자아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18살의 대담무쌍한 꿈 탐정 파프리카이다.

파프리카는 사람들의 꿈 속에 들어가
그들의 무의식에 동조함으로써
환자의 불안과 신경증의 원인을 밝혀내고 치료한다.

어느 날, 치바의 연구소에서 토키타 연구원이 개발 중이던
혁명적인 정신치료장치[2] DC-MINI(디씨미니)의 프로토타입이 도난당하고 조수마저 실종된다.


디씨미니를 찾아나선 치바는 거대하고 무서운 음모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게 되는데...
(출처: 네이버 영화)}}}


5. 특징[편집]


하야시바라 메구미, 후루야 토오루, 야마데라 코이치 등 유명 성우들이 참여했다.

히라사와 스스무삽입곡(parade), 백호야의 처녀와 음악이 더해지는 오프닝 역시 유명하다.

화려한 색감과 독특한 이야기 전개, 꿈에서나 겪을 수 있는 개연성 없는 대사나 사건의 발생, 초현실적인 전개와 장면들이 매우 인상적이다. 꿈 세계에서 기묘한 퍼레이드 장면은 이 작품의 백미. 다만 파프리카라는 캐릭터나 디씨미니 등의 기반 설정에 대해서는 설명이 다소 부족하다. 감상에 지장이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이 때문에 영화 장르를 SF로 분류하기에는 다소 어려워 보이기도 한다.

작품의 제목 및 작중 인물의 이름인 '파프리카'는 작품 후반부에 등장하는 표현대로 맛을 더해주는 향신료, 양념 정도의 의미로 쓰였다.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먹는 야채 파프리카가 아닌 서구권의 향신료 파프리카에 의한 표현이다.


6. 등장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파프리카(애니메이션)/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사운드트랙[편집]


주제가 백호야의처녀 (白虎野の娘)


8.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63515|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8.40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8.40 / 10
]]
평점 없음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7.7 / 10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별점 4.0 / 5.0





MRQE
평점 없음 / 100





Following its own brand of logic, Paprika is an eye-opening mind trip that is difficult to follow but never fails to dazzle.

파프리카는 눈을 번쩍 뜨게하는, 따라가기는 벅차지만 관객을 반드시 황홀하게 만들 심리 속 여행이다.

- 로튼 토마토 총평


꿈과 현실의 세계를 넘나드는 곤 사토시의 원숙한 작품

- 김봉석 (★★★★)



9.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944,915(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882,267미정


10. 수상 및 후보 이력[편집]




11. 기타[편집]




12. 외부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3:25:12에 나무위키 파프리카(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파프리카》는 같은 작가의 1992년작 《아침의 가스 파드》와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며 《아침의 가스 파드》의 등장인물인 토키타, 치바, 코나카와가 《파프리카》에도 등장한다. 1년 먼저 발간된 《아침의 가스 파드》가 《파프리카》 보다 후의 시간대를 배경으로 한다.[2] 꿈 감응 장치가 맞는 표현이다.[3] 이 짤은 사실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를 지나고 잃어버린 10년의 한 가운데에 있던 당시 일본 사회를 여과없이 보여주는 장면이다. 해당 장면부터 치솟은 중년층 자살률을 상징하는 부분이며, 그 뒤에 나오는 장면들도 각각 성의 상업화, 히키코모리, 정치인들의 권력 중독을 은유하는 등 사회비판적인 요소가 많이 담겨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