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트릭스터M 마이너 갤러리

덤프버전 :


ta-hash-start=w-8de76941ee6aa8d522094ea8e8d58b4c[[파일:디시인사이드 로고 닷컴포함 흰색.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디시콘 아이콘.svg
관련 문서
역사 · 성향 · 문제점 (이용자의 문제) · 사건·사고 () · 문화 및 유행어 · vs 타 커뮤니티 (vs 루리웹 · 근첩 · 네덕) · 디시질 · 김유식 · 갤러 (목록 · 고정닉 · 꾸준글 · 유동닉 · 통신사 IP) · 정모 관련 괴담 · 디부심 · 갤기장 · 정치 갤러리
파일:디시인사이드 갤로그 아이콘.svg
서비스
갤러리 (문서 有 · 문서 無) · 마이너 갤러리 (문서 有 · 문서 無 · 승격됨) · 미니 갤러리 (목록) · 디시콘 · 디시위키 · 디시게임 · 디시뉴스 · 갤로그 · 보이스 리플 · 댓글돌이 · 소프트웨어 (클리너)
파생 커뮤니티1에펨코리아 · 코프리카 · 일베저장소 · 개드립넷 · 메갈리아 · 헬조선닷컴 · 워마드 · 해연갤 · 아카라이브 · 투디갤 · 어둠의 노사모 재단
파일:디시콘 아이콘.svg
관련 문서
개념글 · 실시간 베스트 (초개념 · 이슈줌 · 실베 라이트 · 실베 나이트) · 힛갤 · 오덕갤 () · 연예갤 ( · 목록) · 드라마갤 · 수험생갤 · 금융갤 · 정치갤 · KBO갤 · 대학갤 · 여행갤
갤러리
파일: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아이콘.svg
대형 갤러리2
리그 오브 레전드 · 만화 · 해외축구 · 국내야구 · 남자 연예인 · 인터넷방송 · NC 다이노스 · 기타 국내 드라마 · 우울증 · 메이플스토리
파일: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아이콘.svg
주요 갤러리3
로스트아크 · 아이돌마스터 · LG 트윈스 · 토토 · 해외야구 · 비트코인 · 대출 · 역학 · 판타지 · kt 위즈 · 방탄소년단 · 롯데 자이언츠 · 걸스플래닛999 · 나는 솔로 · 편의점 · 마비노기 · 부동산 · LGBT · 자동차 · 스트릿 우먼 파이터 2
파일: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아이콘.svg
과거 주요 갤러리1
엽기 · 패션 · 스타크래프트 · 막장 · 코미디 프로그램 · 舊 정치, 사회 · WOW · 북괴도발 · 합성 · 디시 애갤러스 · 태연 · 해외연예 · 겨울왕국 · 무한도전 · 메르스 · 더 지니어스 · 역사 · 프로듀스101 · 舊 주식 · 고전게임 · 수능 · 기타프로그램 · 여자 연예인 · 스트리머
마이너 갤러리
파일: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 아이콘.svg
주요 마이너 갤러리4
블루 아카이브 · 원신 project · 치지직 · 겐지 · 키즈나 아이 · 우왁굳 · 퓨처스 리그 · 한석원 · 아스날
미니 갤러리
파일:미니갤러리 공식 아이콘.png
주요 미니 갤러리5
타비 통나무단 · 이세계아이돌 · 버츄얼 비제이 · 하꼬 비제이 · 연인
1 폐쇄되었거나 글쓰기가 제한된 파생 커뮤니티와 갤러리는 취소선 처리.
2 문서가 있는 갤러리 중 주간 흥한 갤러리 상위 10개
3 문서가 있는 갤러리 중 주간 흥한 갤러리 11~30위
4 문서가 있는 마이너 갤러리 중 흥한 마이너 갤러리 상위 10개
5 문서가 있는 미니 갤러리 중 흥한 미니 갤러리 상위 5개
갤러리 목록 정렬 기준은 기준일 당시 흥한 갤러리 순위.
기준일: 2023년 11월 6일



링크

1. 개요
2. 성향
3. 드립과 패러디



1. 개요[편집]


모바일 게임 트릭스터M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는 갤러리다.


2. 성향[편집]


첫 게시물은 2020년 7월 20일에 올라왔다. 원래는 트릭스터M에 대해 이런저런 예측을 하며 소위 말하는 행복회로를 불태우던 갤러리였다. 하지만 이런 기대와는 무관하게 2021년 5월 20일 게임이 출시된 뒤 온갖 갤러리에서 자신이 하는 게임이 더 낫다는 글과 조롱이 잇따르자 순식간에 분위기가 개판이 되었다.

결국 트릭스터M 갤러리는 게임을 이야기하는 갤러리가 아니라 트릭스터M에 대해 드립을 치는 곳이 되었다. 출시 직전까지 열심히 관련 소식을 올리던 갤러리의 주딱도 출시 당일에 관리를 포기하고 앞장서서 게임을 버렸다.#

오히려 게임을 멸시하고 드립 치기를 권장한다. 심지어 인게임에서 나오는 일러 캐릭터마저도 게임을 버리고 욕을 퍼부으며 떠나는 패러디가 나오기도 한다(...)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은 위 주딱도 원래는 극한의 갓겜충으로 트릭스터M을 까는 글은 삭제, 차단했었다는 것. 이런 충성 유저조차 뒤돌아서게 만든 트릭스터M이 여러모로 레전드 게임이다(...)

일반적으로는 게임 이름을 가진 메인 갤러리가 정작 게임에 부정적이고 분위기가 좋지 않으면, 그 게임을 좋아하는 유저들이 마이너 갤러리 대피소를 파 이주하여 따로 관리함이 보통이다. 그런데 트릭스터M은 대놓고 린저씨 대상으로 나왔고, 중년층 유저들은 원래 이런 커뮤니티를 잘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커뮤니티를 할 만한 트릭스터M 유저층이 전멸하다시피하여 그런 대피소가 따로 없다.

게임 출시 이후 모두 자포자기하고 제2의 나라를 기대했지만#, 제2의 나라의 과금방식이 리니지의 악랄한 방식과 판박이라 출시 이후 '지브리니지'라는 멸칭으로 불리자 제2의 나라를 기대하는 글도 거의 사라졌다.

이후엔 NC 및 3N 까는글, 리니지 까는 글, 트릭스터M의 단물빨기용 패키지 출시 까는 글, 린저씨와 꼰대들 까는 글, 가챠녀 짤방[1]들이 주로 올라온다. 트릭스터M 게임플레이 이야기는 절대 하지 않는다. 오히려 트릭스터M 플레이 이야기는 분탕으로 간주하며, 분탕 말머리까지 따로 마련되어 있다.

제2의 나라가 폭망하자 이제는 오딘: 발할라 라이징으로 목표를 바꾼 상태다. 트M갤의 주딱은 심지어 오딘 마갤의 파딱도 신청했다고 한다(...). 이제는 아예 마이 리틀 포레스트 갤러리까지 넘보고 있다. 손대는 것마다 다 리니지화 시키고 말아먹어서 망조의 완장이란 별명도 생겼다. 놀랍게도 오딘도 저씨겜이었다

결국 유저 적대적 운영과 아이템 확률 조작 의혹이 겹쳐 트M갤을 중심으로 NC에게 성명문을 보내고 불매 운동에 진행 중에 있다. # 물론 게임 망해서 항의하러 간다는건 핵과금 린저씨들의 영역이고 대부분의 게이머들과 갤럼들은 오히려 이런 게임은 망해야 한다고 생각해 오히려 조롱과 비추를 받고있다.

블레이드 & 소울 2가 출시되고 역시나 리니지라이크로 판명되며 폭망하면서 그야말로 NC안티갤러리, NC주식갤러리가 되었다.

2021년 9월 11일 기준 트릭스터M의 이용자 수가 갤럭시 게임런쳐 기준 380명대, 11월 8일 290명대, 12월 20일 240명대까지 곤두박질쳤고 심지어 다음 해인 2022년 1월 24일에 급기야 200명대 선마저 붕괴(190명), 4월 11일에는 100명대 선마저 붕괴(96명)해버린 매우 심각한 상황인지라 트릭스터M에 현질을 한 과금전사들과 꾸준글을 올리는 갤럼들만 남은 상황이다. 트릭스터M의 사전예약자가 총 500만 명을 돌파했다고 하는데, 그렇게 생각하면 4월 20일 유저수(86명) 기준 사전예약자 대비 현재 게임을 실제로 플레이 중인 사람들의 비율은 고작 0.00172%에 지나지 않는다. 서비스한지 1년도 채 안 됐는데도 말이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갤럼들은 이 게임이 도대체 언제쯤 망할라나 학수고대하고 있다.

그런데 1년이 지난 2022년 5월 21일, 뜬금없이 신서버가 오픈하면서 뽑기권을 300개씩 퍼주는 이벤트를 하더니 갑자기 트릭스터m 동접자가 88명에서 2012명까지 폭증하는 역대급 사태가 터졌다! 이 때문인지 쌀먹충들이 우르르 몰려와서 트릭스터m 관련 글을 쓰면서 분탕 아닌 분탕을 쳤다.

그러나 신섭 역시 통제 탓에 유저수가 우르르 빠질 테니 오래가진 못하리라 예상되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다음날이 되자 곧바로 2012명에서 792명으로 엄청나게 빨리 유저 수가 떨어졌다.

2022년 6월 22일 기준으로는 동접 150명~170선을 왔다갔다 하는중.

2022년 8월 다시 동접 100 밑으로 내려갔다.

3. 드립과 패러디[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3:09:54에 나무위키 트릭스터M 마이너 갤러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코이카츠!의 커스터마이징 기능으로 구성한 상황극 놀이글이 심심하면 개념글로 올라가는 인기 컨텐츠가 되었다.[가챠녀] A B C 코이카츠!의 커스터마이징 기능으로 구성한 상황극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