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플릿:ROBOCRAFT/부품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템플릿:ROBOCRAFT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템플릿:로보크래프트 문서의 r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템플릿:로보크래프트 문서의 r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개요
1.1. 용어 설명
1.2. 차대 (Chassic)
1.3. 기동 (Movement)
1.4.1. 전자 방어판
1.5. 특수 (Special)
1.5.1. 특수/모듈



1. 개요[편집]


개선 사항이 있다면 수정 해 주시고, 부품별로 틀을 달아주시면 되겠습니다. 해당 사항이 없는 부품은 칸에 해당 없음으로 채워주시길 바랍니다. 부품별 추가 사항이 있을 경우 각주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1.1. 용어 설명[편집]


  • 공통
    • 체력: 부품의 체력을 나타낸다.
    • CPU 소모: 해당 부품을 장착 하는데 필요한 CPU의 양을 나타낸다.
    • 힐 속도: 해당 부품을 힐 할때 힐이 되는 속도를 나타냅니다[1]
    • 질량: 해당 부품의 질량을 나타낸다.
    • 제작 비용: 부품을 제작할 때 드는 Robits를 나타낸다.
    • 희귀도: 부품의 등급으로, Common, Uncommon, Rare, Epic, Legendary로 나뉜다.

  • 이동수단
    • 속도: 이동수단의 최대 속력을 나타낸다.
    • 점프 높이/최대 고도: 점프 가능한 최대 높이/이동수단으로 띄을 수 있는 최대 높이를 나타냅니다. 관절형 다리,로봇다리,호버등에 적용됩니다.
    • 적재량: 이동수단이 적재 가능한 질량을 나타냅니다. 로보의 무게가 적재 질량을 넘어갈 경우 기동성이 저하되거나 움직일 수 없습니다. 무한궤도와 메크 다리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무장
    • 대미지: 공격력 부스트가 0%일 때의 탄환 1발당 데미지를 나타낸다. 플라스마 런쳐 등의 범위 피해를 주는 무기는 최대 데미지를 나타낸다.[2]
    • 회복량: 나노 디스럽터에만 적용된다. 공격력 부스트가 0%일 때의 1발당 회복량을 나타낸다.
    • 공격 속도: 해당 부품의 최대 연사 속도를 나타 냅니다.
    • Max Fire Rate Count: 부품의 최적 화력 개수를 나타냅니다. Max Fire Rate Count 이상으로 무기를 달 경우 연사력 증가랑이 급격하게 감소합니다.
    • 폭발 범위: 플라스마 런쳐류의 폭발 범위를 나타 냅니다. 플라스마 런쳐, 대공포, 미사일 런쳐에 적용됩니다.
    • 프로토늄도: 배틀 아레나 모드에 있는 퓨전 타워/프로토늄 리엑터에 적용되는 데미지 보정을 말합니다. ex)프로토늄도가 1.5일경우 퓨전 타워/프로토늄 리엑터에 150%의 피해를 줍니다.
    • 발당 에너지 소모: 무기를 1회 발사하는데 소모하는 에너지를 나타 냅니다
    • 초당 에너지 소모: 무기를 연사할 때 1초동안 소모하는 에너지를 나타 냅니다.

  • 특수
    • 범위: 레이더의 탐지 범위/리시버의 수신 범위를 나타냅니다. 재머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출력: 레이더/재머의 출력을 나타냅니다. 리시버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쿨타임: 모듈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나타냅니다.


1.2. 차대 (Chassic)[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이름)
부품 이름 체력 CPU 소모 질량 제작 비용 티어
kg Robits
kg Robits
kg Robits
kg Robits
kg Robits


1.3. 기동 (Movement)[편집]



파일:이미지 파일.png
부품 종류 (영어 명칭)
부품 이름로봇 CPU로봇 랭킹체력질량속도적재량최대 고도
pFlopkgMPHkg미터
pFlopkgkg
pFlopkgkg
pFlopkgkg
pFlopkgkg
pFlopkgkg


ex) 호버(Hover)
파일:RC_Hover.jpg
호버 (Hover)
부품 이름로봇 CPU로봇 랭킹체력질량속도적재량최대 고도
T0 Hover20 pFlop2010,39550 kg185 MPH675kg21.9미터
T1 Hover22 pFlop2211,43555 kg742.5kg
T2 Hover24 pFlop24012,47460 kg810kg
T3 Hover26 pFlop2,60013,51465 kg877.5kg
T4 Hover28 pFlop14,00014,55370 kg945kg
T5 Hover100 pFlop250,00083,160500 kg3625kg


1.4. 무장 (Hardware)[편집]




1.4.1. 전자 방어판[편집]


파일:이미지 파일.png
부품 이름체력실드CPU 소모질량제작 비용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1.5. 특수 (Special)[편집]


파일:이미지 파일.png
부품 이름체력CPU 소모질량범위출력제작 비용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color 희귀도


1.5.1. 특수/모듈[편집]


파일:이미지 파일.png
부품 이름체력CPU 소모질량에너지 소모쿨타임제작 비용희귀도
#color 희귀도

ex) 점멸 모듈(Blink Module)
파일:20160515174049_1.jpg
부품 이름체력CPU 소모질량에너지 소모쿨타임제작 비용희귀도
Blink Module47,880285135.0kg6525초142,500RobotsLegendary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13:37:55에 나무위키 템플릿:ROBOCRAFT/부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모든 부품의 힐 속도가 1.0이 되면서 의미가 없어졌다.[2] 나노 디스럽터는 Maximum Loadout 업데이트 이후로 대미지를 줄 수 없게 돼 적용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