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탑블레이드(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탑블레이드(만화)/애니메이션
,
,
,
,
,



베이블레이드 애니메이션 시리즈
[ 펼치기 · 접기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2001)
탑블레이드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2002 (2002)
탑블레이드 V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G 레볼루션 (2003)
팽이대전 G블레이드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THE MOVIE
격투!! 타카오 VS 다이치 (2002)
탑블레이드 더 무비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2009)
메탈 베이블레이드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폭 (2010)
메탈 베이블레이드 2
극장판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VS 태양
작열의 침략자 솔블레이즈 (2010)
극장판 메탈 베이블레이드 VS 태양 작열의 침략자 솔블레이즈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ZERO-G (2012)
메탈 베이블레이드 제로G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시리즈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2016)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갓 (2017)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 (2018)
극장판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갓
갓 발키리의 탄생 (2017)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가치 (2019)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진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슈퍼킹 (2020)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다이너마이트 배틀 (2022)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쿼드 스트라이크 (2023)
베이블레이드X 시리즈
베이블레이드X (2023)
기타 작품
베이휠즈 (2012)베이레이더즈 (2014)베이워리어즈 사이보그 (2014)
주인공 · 라이벌 · 히로인 · 최종보스



탑블레이드
爆転シュートベイブレード[br]Beyblade
파일:bakuten_s1.jpg
작품 정보 ▼

장르액션, 소년만화
원작아오키 타카오(青木たかお)
원안
캐릭터 원안미즈노 쇼지(水野祥司)
아오키 타카오
감독카와세 토시후미
애니메이션 감독심상일
시리즈 구성우치하타 타츠히코(浦畑達彦)
이은미
캐릭터 디자인우메하라 타카히로(梅原隆弘)
박기덕
메카닉 디자인야마다 타카히로(やまだたかひろ)
미술 감독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임용일
색채 설계코다마 나오코(児玉尚子)
촬영 감독사카모토 료마(坂本竜馬)
이석범
편집세야마 타케시(瀬山武司)
음향 감독혼다 야스노리(本田保則)
음악히라노 요시히사
애니메이션 제작매드하우스
애니메이션 제작협력스튜디오 매트릭스(スタジオマトリックス)
서울애니메이션
디알무비
제작테레비 도쿄
요미우리 광고사
d-rights
방영 기간파일:일본 국기.svg 2001.01.08. - 2001.12.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10.09. ~ 2002.04.09.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월) 18: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BS, 투니버스, 재능TV
국내 정식 발매에스씨엠 (VHS, DVD)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51화
국내 심의 등급파일:모든 연령 시청가 아이콘.svg 모든 연령 시청가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ADK 이모션즈)


1. 개요
2. 특징
4. 주제가
4.1. 일본판 오프닝 - Fighting Spirits ~Song for Beyblade~
4.2. 일본판 엔딩 - Cheer Song
4.3. 한국판 오프닝 - 고! 고! 탑블레이드
4.4. 한국판 엔딩
4.5. 영문판 오프닝 & 엔딩 - Let's Beyblade!
4.6. 홍공판 오프닝 - 폭렬선풍
5. 회차 목록
6. DVD / 비디오
7. 기타



1. 개요[편집]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최초의 TV 애니메이션이자, 폭전슛 베이블레이드의 애니메이션 첫 번째 시리즈로, 이후의 애니 시리즈와는 작화가 많이 구별되면서, 동시에 원작 코믹스 작화에 가장 가까운 시리즈이기도 하다.


2. 특징[편집]


탑블레이드를 매우 좋아하지만 평범한 소년인 강민이 탑블레이드 세계대회 우승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많은 인연을 가지게 되며 성장하는 과정이 주 스토리.

판타지적 요소와 파워 인플레, 등장인물간 비중 불균등 현상이 심해지는 후속 시리즈에 비해 밸런스가 훨씬 잘 잡혀있고, 선을 지켰으며 특히 등장인물간 비중분배가 정말 환상적인 균형 감각을 보여준다. 완구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소년 만화 전체를 통틀어도 이정도로 비중분배 잘 된 애니메이션은 별로 없었다.

메인 주인공은 강민이지만 중국편에선 레이, 미국편에선 맥스, 러시아편에선 카이에게 확실한 포커스가 주어져 그들의 성장과 활약이 스토리 전개의 핵심으로 다뤄지며[1] 특히 중국편과 미국편에선 아예 강민이 뒤로 물러서고 레이와 맥스가 마지막 대결에 나서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2] 스토리상 메인이 아니라고 공기가 되지도 않는다. 예선부터 결승까지 가면서 조언을 하든, 대결을 하든 어떤 식으로든 존재감을 어필한다.

이건 상대팀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서 비중 차이는 있으나 이른바 '공기'가 되는 캐릭터는 없다. 소수민족 출신으로 레이와 애증으로 얽힌 중국팀, 스포츠 컨셉에 철저하게 고도의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한 대전을 추구하는 미국팀, 개인주의적 성향에 귀족티가 물씬 나는 유럽팀, 기괴한 성수와 그와 일치하는 외모를 가진 괴물팀, 혹한의 환경에서 길러져 세계정복이란 알기쉬운 목표를 가진 최종보스 러시아팀까지 각 팀의 개성과 콘셉트도 확실하게 잡혀있다.

대다수 에피소드가 1화 기승전, 혹은 기승전결로 구성되어있으며 무조건 필살기나 기합에 의존하거나 질질 끄는 대신 팀원들이 머리를 맞대고 조언하고 격려하며 함께 해결책을 찾아내서 극복하는 흥미진진한 전개를 보여준다. 10년이 지난 지금도 완구 애니메이션이 해당 애니에 배울게 많은 수작이다.

여담으로 애니메이션 세계대회에서는 만리장성등 세계에서 유명한 건물과 그곳 지형을 모형으로 재현한 필드에서 배틀을 하게되는 데, 맨날 팽이 덕분에 부셔진다. 오죽하면 일부 팬들은 돈을 물쓰듯하는 대회라고 했을까...[3] 하지만 후속작처럼 팽이와 동일화되어 팽이가 입는 데미지를 주인도 같이 입는다거나 하는 테니스의 왕자식 막장전개가 없기에 그나마 나은 편, 유아용 애니답게 과장된 면이 많으면서도 어느정도의 선은 지킨 편이다.

각국 문화를 팽이, 팀 스타일에 적용하는 특징은 팀원 전원 성수가 있는 미국, 중국, 러시아, 유럽팀에선 두드러지지 않고 태국팀, 몽골팀,[4] 같이 예선에서 맞붙는 팀에서 자주 나타나는 등 나라당 팀에 선수들의 팽이나 차림이 문화를 따라서 나라의 대표적 문화도 간접적으로 만날 수 있고, 성수가 없어 시청자가 흥미가 식을수 있다는 점을 각국의 특색과 문화를 팽이대결에 끌어오는 방법으로 보완한 것이다. 또한 세계대회가 무대인 만큼 전 국가까진 아니지만 어느정도 이름이 있는 나라는 거의 모습을 비추기에 나라 이름 외우기도 그만이고, 예사로 멕시코 팀의 경우 배틀 도중 멕시코 혁명[5]까지 언급되기도 해 알게 모르게 세계지리나 세계사 공부에도 좋았다는 반응이 나오는 등 아동 교육에도 나쁘지 않았다.

탑블레이드의 대성공 이후 남아용 배틀 완구애니들이 자주 참고하는 지침서 같은 역할이 되었다.[6]


3.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탑블레이드/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편집]



4.1. 일본판 오프닝 - Fighting Spirits ~Song for Beyblade~[편집]


OP
Fighting Spirits ~Song for Beyblade~
TV ver.
Full ver.
노래system-B
작사야마다 마사토(山田正人)
작곡
편곡system-B
TV ver. 가사 ▼

ゆめおいかけて たたかいつづけろ
あいとゆうきとゆうじょう
このブレードは おれのぶんしん
ちからのかぎり もえろまわれ バーニング ソウル
WOW WOW WOW WOW YEAH YEAH
WOW WOW WOW WOW YEAH YEAH
ひとりぼっちじゃできないことも
おまえがいればやれる
このせかいのはてまでもおれといっしょにいこう
しせいじゅうは あいのアスリート
かがやけ めをさませ
(ドラグーン ドランザー ドラシエル ドライガー)
よみがえれ!
そら かけてこい おれのエネルギー
いまたちあがれ せいじゅう
すべてのてきおうちたおすため
みんなのきぼう だいてかけろ シャイニング ソウル

Full ver. 가사 ▼

ゆめおいかけて たたかいつづけろ
あいとゆうきとゆうじょう
このブレードは おれのぶんしん
ちからのかぎり もえろまわれ バーニング ソウル
WOW WOW WOW WOW YEAH YEAH
WOW WOW WOW WOW YEAH YEAH
ひとりぼっちじゃできないことも
おまえがいればやれる
このせかいのはてまでもおれといっしょにいこう
しせいじゅうは あいのアスリート
かがやけ めをさませ
(ドラグーン ドランザー ドラシエル ドライガー)
よみがえれ!
そら かけてこい おれのエネルギー
いまたちあがれ せいじゅう
すべてのてきおうちたおすため
みんなのきぼう だいてかけろ シャイニング ソウル
WOW WOW WOW WOW YEAH YEAH
WOW WOW WOW WOW YEAH YEAH
きずついたこのからだ
やすめるときもばしょもない
だけどたたかうもちべーしょがみなぎるこのたましい
ビットチップにひみつのキャラクタ
ひびけフェーズしかけろ
(タカオ カイ マックス レイ)
BELIEVE YOUR DREAM
みちのちからをしんじていきる
すんだこころのファイター
ちちとあにとのみえないきずな
いつかかならずかなえてやるぜ
このけっせんはともとのやくそく
せかいをあいてにバトルする
もえろブレードパワーぜんかい
なぞのちからをゆめのちからを パワー ソウル
ゆめおいかけて たたかいつずけろ
あいとゆうきとゆうじょう
このブレードは おれのぶんしん
ちからのかぎり もえろまわれ
そら かけてこい おれのエネルギー
いまたちあがれ せいじゅう
すべてのてきおうちたおすため
みんなのきぼう だいてかけろ シャイニング ソウル
ちからのかぎり もえろまわれ バーニング ソウル


해당 노래는 유리 이바노프의 성우가 불렀다.

4.2. 일본판 엔딩 - Cheer Song[편집]


ED
Cheer Song
TV ver.
Full ver.
노래system-B
작사야마다 마사토(山田正人)
작곡
편곡system-B
TV ver. 가사 ▼

はるはてをふりほほえんで
なつはじょうねつをふりまいて
きせつはうつりかわって
あきはふゆともだち
かいけつできないことって
しんらいゆうじょうあいじょうかんじょう?
どんなときでもくもはながれてる
いつだっておなじそらはない
るいせんたかまっておちるしずくだって
かなしいわけだけじゃない
ゆうきをだしてことばにしてみる
「さあたびだとうきぼうのまちえ」
やくそくだってかならずかなうさ
(It's) gonna be a clear day

Full ver. 가사 ▼

はるはてをふりほほえんで
なつはじょうねつをふりまいて
きせつはうつりかわって
あきはふゆともだち
かいけつできないことって
しんらいゆうじょうあいじょうかんじょう?
どんなときでもくもはながれてる
いつだっておなじそらはない
るいせんたかまっておちるしずくだって
かなしいわけだけじゃない
はしれこころのおもうままに
そらとだいちのあいだまいあがれ
そしてこたえはかぜのなか
くもがきみにおしえる
じつげんかんおうなことって?
じぶんのきもちにすなおにこたえる
せんそうだっていつかなくなるさ
そうおもえばきっとそうなる
ぐうぜんかさなっておきるできごとも
それはいみあること
かいけつできないことって
しんらいゆうじょうあいじょうかんじょう?
どんなときでもくもはながれてる
いつだっておなじそらはない
るいせんたかまっておちるしずくだって
かなしいわけだけじゃない
ゆうきをだしてことばにしてみる
"さあたびだとうきぼうのまちえ"
やくそくだってかならずかなうさ
Gonna be a clear day
せんそうだっていつかなくなるさ
そうおもえばきっとそうなる
ぐうぜんかさなっておきるできごとも
それはいみあること
ゆうきをだして...
やくそくだって...
(It's) gonna be a clear day


4.3. 한국판 오프닝 - 고! 고! 탑블레이드[편집]


OP
고! 고! 탑블레이드
TV ver.
Full ver.
노래서문탁
작사김연정
작곡김상훈
편곡-
TV ver. 가사 ▼

Forever the Power Top Blade
앞질러 솟구쳐 지금 부딪혀
강한 용기로 이겨 낼 꺼야~~
난 언제나 너의 힘을 느껴~~
난 항상 너를~ 믿고 있어
고! 고! 탑블레이드 (Go! Go! Topblade)
고! 고! 탑블레이드 (Go! Go! Topblade)

Full ver. 가사 ▼

Forever the Power Top Blade
앞질러 솟구쳐 지금 부딪혀
강한 용기로 이겨 낼 꺼야~~
난 언제나 너의 힘을 느껴~~
난 항상 너를~ 믿고 있어
고! 고! 탑블레이드 (Go! Go! Topblade)
고! 고! 탑블레이드 (Go! Go! Topblade)
멈추지 않는 미래를 생각해 절대 포기하지 않는
도전의 여행을 떠나가~~
세상을 향해 가야할 길은 멀지만 난 너를 믿어
숨막힐 것 같은 승부의 순간들
때론 두려울 때도 있지만
난 언제나 너와 함께 있어
난 항상 너를 믿고 있어
고! 고! 탑블레이드 (Go! Go! Topblade)
고! 고! 탑블레이드 (Go! Go! Topblade)
멈추지 않는 미래를 생각해 절대 포기하지 않는
도전의 여행을 떠나가~~
세상을 향해 가야할 길은 멀지만 난 너를 믿어
무적의 탑블레이드 고! 고! 슛!! 고! 고! 탑블레이드


4.4. 한국판 엔딩[편집]


영상 링크(네이버 블로그)

4.5. 영문판 오프닝 & 엔딩 - Let's Beyblade! [편집]


OP/ED
Let's Beyblade!
TV ver.
노래Sick Kid featuring Lukas Rossi
작사Arlene Bishop
Blair Packham
작곡Arlene Bishop & Blair Packham
편곡
가사 ▼

Picking up speed
Running out of time
Going head to head
It's the way of life
You gotta fall down
Eat ground
And to get back up again
Let's Beyblade!
Spinning it out
At the speed of sound
Gotta rip it up
Now the bet is down
The team with the bang
Our gang is the one who's gonna win
Let's Beyblade!
Beyblade!
Let's Beyblade!
Let's Beyblade!
Beyblade!
Let it rip


북미판에서는 무인편부터 2기인 V-force(일본판의 2002), 3기인 G-Revolution까지 모두 똑같은 주제가를 썼으며 시즌이 바뀔 때마다 오프닝 장면만 바꿨다.


4.6. 홍공판 오프닝 - 폭렬선풍[편집]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 일자
한국 (일본) 대회편
제1화爆転バトル、ゴー・シュート!)]
운명의 시작
오오쿠보 토모야스
(大久保智康)
이은미
카와세 토시후미
(川瀬敏文)
야마모토 메구미
(山本恵)
하타노 요시미쇼오
(秦野好紹)
심상일
日: 2001.01.08.
韓: 2001.10.09
제2화ほえろ青龍!ドラグーン誕生!
빛속의 청룡드래곤 탄생!
오오쿠보 토모야스
(大久保智康)
야마모토 메구미
(山本恵)
타카다 아츠시
(高田淳)
노미치 카요
(野道佳代)
노타케 요오코오
(野武洋行)
日: 2001.01.15.
韓: 2001.10.16.
제3화新しき友、その名はマックス
새로운 친구, 그 이름은 맥스
미나카미 세이시(水上清資)타카다 아츠시
(高田淳)
무라타 마사히코
(むらた雅彦)
나카하라 키요타카
(中原清隆)
日: 2001.01.22.
韓: 2001.10.23.
제4화開幕!バトルトーナメント
탑 블레이드 토너먼트 대회 개막!
우라하타 타츠히코
(浦畑達彦)
우에다 히데히코
(うえだひでひと)
카토 시게루
(加藤茂)
타다카즈
(タダカズ)
日: 2001.01.29.
韓: 2009.10.14.
제5화激突!マックスVSカイ
격돌! 맥스 대 카이
후데야스 카즈유키
(ふでやすかずゆき)
요코타 카즈
(横田和)
오세키 미사유키
(大関雅幸)
노구치 키노미
(野口木ノ実)
日: 2001.02.05.
韓: 2009.10.21.
제6화吹き荒れろ!ドラグーンストーム
불어라! 드래곤 회오리!
아라니시 다이스케
(荒西大介)
이시오네 히로시
石踊宏
야마모토 메구미
(山本恵)
하야노 요시아키
(秦野好昭)
日: 2001.02.12.
韓: 2009.10.28.
제7화タカオVSカイ 宿命の対決
숙명의대결 강민 vs 카이
우라하타 타츠히코
(浦畑達彦)
기무라 신이치로
(木村真一郎)
하시모토 나오토
(橋本直人)
사루토 세이카
(猿渡聖加)
日: 2001.02.19.
韓: 2009.11.04.
중국 대회편
제8화結成! BBAチーム世界へ!
세계를 향한 첫걸음
후데야스 카즈유키타카다 아츠시노미치 카요
노타케 히로유키
日: 2001.02.26.
韓: 2009.11.11.
제9화新たなる聖獣、白虎族
새로운 성수 백호족
아라니시 다이스케
김상훈
니시무라 준지오쿠무라 요시아키권유희日: 2001.03.05.
韓: 2009.11.18.
제10화駆け上がれ!アジア大会!
뛰어 올라라! 아시아 대회!
오오쿠보 토모야스코 유무라타 마사히코나카하라 키요타카日: 2001.03.12.
韓: 2009.11.25.
제11화レイ、白虎を失う!
레이 백호를 잃어버리다
후데야스 카즈유키우에다 히데히토타카다 아츠시타다카즈日: 2001.03.19.
韓: 2009.12.02.
제12화さらばBBAチーム!
안녕 한국팀
오오쿠보 토모야스오세키 마사유키노구치 키노미日: 2001.03.26.
韓: 2009.12.09.
제13화さけべレイ!うなれ白虎!
백호의 부활
아라니시 다이스케야마모토 메구미하야노 요시아키日: 2001.04.02.
韓: 2009.12.16.
제14화不戦敗?分断のBBAチーム
준결승! 탈락의 위기!
하나다 줏키코데라 카츠유키
(こでらかつゆき)
나카 토모히토바바 류이치日: 2001.04.09.
韓: 2009.12.23.
제15화決戦!アジアの頂点をかけて!
결전! 아시아의 정상을 향해!
오오쿠보 토모야스타카다 아츠시아이자카 나오키
노타케 히로유키
日: 2001.04.16.
韓: 2009.12.30.
제16화 白虎VS山猫
백호 대 들고양이
후데야스 카즈유키코 유오쿠무라 요시아키)김준오日: 2001.04.23.
韓: 2010.01.06.
제17화ファイナルバトル!漆黒の稲妻!
불꽃 튀는 결승전
미나카미 세이시카와세 토시후미기무라 타카이치
(木村隆一)
도마사조
(苫政三)
日: 2001.04.30.
韓: 2010.01.13.
제18화 負けるな!小さなブレーダー
진정한 탑블레이더
오오쿠보 토모야스
(大久保智康)
우에다 히데히토이시다 히로시에노키즈 레에이치
키바 쇼타로
김준원
日: 2001.05.07.
韓: 2010.01.20.
미국 대회편
제19화上陸、新たな戦場!
도착! 새로운 싸움터에
미나카미 세이시오제키 마사유키스즈키 타쿠오타케우치 아키라日: 2001.05.14.
韓: 2001.12.17.
제20화戦慄のアメリカン・パワー!
공포스러운 미국 팀의 힘
후데야스 카즈유키야마모토 메구미하다노 코소日: 2001.05.21.
韓: 2001.12.18.
제21화特訓!新しき力を求めて
산속에서의 특별 훈련
아라니시 다이스케니시무라 준지오쿠무라 요시아키김준우日: 2001.05.28.
韓: 2001.12.24.
제22화大統領vs世界選抜!
대통령 대 세계 선발팀!
스기하라 켄지타카다 준아이자카 나오키
노타케 히로유키
日: 2001.06.04.
韓:
제23화開幕!アメリカ大会
개막! 미국 대회!
오오쿠보 토모야스노다 사쿠키사루토 세이카이카이 카즈유키日: 2001.06.11.
韓:
제24화アメリカンヒーロー マイケルの力!
미국의 영웅! 마이클의 실력!
미나카미 세이시키무라 류이치토마 마사조日: 2001.06.18.
韓: 2010.03.03.
제25화準決勝 超高速サーキット!
미국 대회 준결승전! 초고속 서킷!
오오쿠보 토모야스오지 히로히토스즈키 타쿠오타케우치 히로시日: 2001.06.25.
韓: 2010.03.10.
제26화激突! アメリカ大会決勝戦
격돌 미국 대회 결승전
오오쿠보 토모야스니시무라 준지오코무라 요시아키권유희
이현호
日: 2001.07.02.
韓: 2010.03.17.
제27화決着! アメリカ大会!!
작열의 스콜피온!
미나카미 세이시하라 히로시야마모토 메구미츠바타 요시아키日: 2001.07.09.
韓: 2010.03.24.
제28화ダークキャンサーのカニカニ大作戦
미국 대회! 마지막 대결!
스기하라 켄지코 유기무라 타카이치하다노 코소日: 2001.07.16.
韓: 2010.03.31.
제29화BBA 熱き戦いの軌跡
한국팀! 숨막히는 열전의 궤도
미나카미 세이시오지 히로히토스즈키 타쿠오타케우치 히로시日: 2001.07.23.
韓:
유럽 대회편
제30화聖獣を従える者
성수를 이끄는 자
미나카미 세이시침상일김진광박기덕日: 2001.07.30.
韓:
제31화ヨーロッパ、波乱の旅立ち
유럽, 파란의 시작!
오오쿠보 토모야스
(大久保智康)
김경관김기두日: 2001.08.06.
韓:
제32화強襲! 闇のブレーダー!
어둠의 블레이더!
미나카미 세이시이지유김경관세이키 야스히로
세키자키 타카아키
日: 2001.08.13.
韓:
제33화黒い影の軍団
검은 그림자의 군단
후데야스 카즈유키침상일박기덕日: 2001.08.20.
韓:
제34화華麗なる聖獣使い
화려한 탑 블레이더
스기하라 켄지김경관김진광日: 2001.08.27.
韓:
제35화コロッセオの決闘!
콜로세움의 결투
아라니시 다이스케이지유김기두日: 2001.09.03.
韓:
제36화倒せ! アンピスバイナ
타도! 안피리온!
오오쿠보 토모야스김기두스즈키 타쿠오타케우치 히로시日: 2001.09.10.
韓:
제37화女王陛下のブレーダー
여왕 폐하의 블레이더
미나카미 세이시이지유오쿠무라 요시아키권유희
이현호
日: 2001.09.17.
韓:
제38화結成! 最強のユーロチーム
결성! 최강의 유럽 팀!
이시오도리 히로시김경관박기덕日: 2001.09.24.
韓:
제39화決めろ! 勝利への力
보여라! 승리에의 힘!
오오쿠보 토모야스침상일김진광김동준日: 2001.10.01.
韓:
러시아 대회편
제40화決勝の地ロシア
결전의 땅 러시아
후데야스 카즈유키타카다 아츠시마즈무라 아스미사와타리 세이카日: 2001.10.08.
韓:
제41화いまわしき記憶の扉
어두운 기억의 문
미나카미 세이시오쿠무라 요시아키권유희日: 2001.10.15.
韓:
제42화最強を望む者
최강을 바라는 자
오오쿠보 토모야스야마모토 메구미츠바타 요시아키日: 2001.10.22.
韓:
제43화悪夢のセレモニーマッチ
악몽의 세레모니
미나카미 세이시키무라 류이치이카이 카즈유키日: 2001.10.29
韓:
제44화さらばカイ!
잘가, 카이!
아라니시 다이스케타카다 아츠시스즈키 타쿠오타케우치 히로시日: 2001.11.05.
韓:
제45화バイカル湖の決闘
바이칼 호수의 결투
오쿠무라 요시아키츠바타 요시아키김동준日: 2001.11.12.
韓:
제46화ボーグ襲来!
보그 습격!
미나카미 세이시오치 히로히토서동주박기덕日: 2001.11.19.
韓:
제47화再会! ユーロチーム
재회! 유럽팀!
오오쿠보 토모야스키무라 류이치츠바타 요시아키日: 2001.11.26.
韓:
제48화カイの選択
카이의 선택
야마모토 메구미나카하라 키요타카日: 2001.12.03.
韓:
제49화白虎の叫び
백호의 외침
미나카미 세이시오쿠무라 요시아키권윤정日: 2001.12.10.
韓:
제50화雪原の黙示録
설원의 묵시록
쿠레나이 유우키무라 류이치박기덕
하다노 코소
日: 2001.12.17.
韓:
제51화ベイブレードよ、永遠に!
탑블레이드여 영원히
오오쿠보 토모야스카와세 토시후미박기덕
나카하라 키요타카
日: 2001.12.24.
韓:

6. DVD / 비디오[편집]


1권2권3권4권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umblr_mpqkzonakW1rja3cwo1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umblr_mpqkzonakW1rja3cwo2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umblr_mpqkzonakW1rja3cwo3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umblr_mpqkzonakW1rja3cwo4_1280.jpg
한국(일본) 대회 상편한국(일본) 대회 하편[7]중국 대회 상편중국 대회 하편[8]
5권6권7권8권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Tumblr_mpqkzonakW1rja3cwo5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Tumblr_mpqkzonakW1rja3cwo6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Tumblr_mpql0bh5QU1rja3cwo1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umblr_mpql0bh5QU1rja3cwo2_1280.jpg
미국 대회 상편[9]미국 대회 중편미국 대회 하편유럽 대회 상편[10]
9권10권11권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Tumblr_mpql0bh5QU1rja3cwo3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umblr_mpql0bh5QU1rja3cwo4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eyblade-Season-1-beyblade-31117213-500-693.jpg
유럽 대회 하편러시아 대회 상편[11]러시아 대회 하편

7. 기타[편집]


파일:탑블레이드 로고.png파일:폭전슛 베이블레이드 로고.png파일:Beyblade original logo.svg
한국판 공식 로고일본판 공식 로고북미판 공식 로고
  • 탑블레이드 V부터는 베이 회전 연출이 3D로 바뀌었기 때문에, 유일하게 연출이 2D로 이루어진 베이블레이드 애니메이션이다.

  • 탑블레이드 시리즈가 여러 방송사에서 숱하게 재방송이 되어 오긴 했지만 이 시리즈만 SBS에서는 재방송을 하지 않았다.[12]

  • 여담으로 어찌된 영문인건지 회차들중 10화는 한국 에서는 아예 금지된 그러니깐 한국에서는 아예 방영한적이 없었던 에피소드 였다.... 하지만 더빙판이 돌아다니는 걸 보면 VOD로라도 나오긴 했던 모양이다.[13]

[1] 다만 러시아편은 최종전이다보니 카이 스토리는 검은 주작과의 완전한 결별로 매조지하고 최종전은 강민이 치뤘으며 유럽팀과 괴물팀까지 등장해 모두의 힘과 의지를 모아 맞선다는 점이 강조된다.[2] 중국대회 결승에선 강민이 라이와의 3차전에선 무승부를 거두고 연장전이 성사되자 강민 대신 레이가 나갔고, 미국대회 결승에선 아예 강민이 선봉으로 빠지고 맥스가 3차전에 나선다.[3] 사실 이 정도는 양반이다. 후속 시리즈로 갈수록 판타지적 요소가 가미되어 탑블레이드 경기 한번에 경기장 천장이 날아가는 건 예사요, 어쩔 대는 마을이 부서지고 전 지구에 기상 이변이 일어나는 등 돈지랄보다도 더한 민폐성 종목으로 전락할 정도.[4] 대표적으로 태국팀은 주장이 무에타이를 콘셉트으로 잡았고, 몽골팀은 양털을 팽이에 두르는 등.[5] 멕시코 주장이 리볼버를 슈터로 쓰는 팽이를 사용하는데, 필살기가 기관포 공격이라는 공격이다. 그 기관포 공격의 유래에 대해 설명할 때 나온다.[6] 남아들의 원동력인 열정에 비례한 능력치, 그리고 완구에 가미된 멋진 설정과 기술, 이를 옆에서 일일이 설명&분석 해주는 주인공 친구 , 승리만을 추구하는 어른들, 그리고 그들에게 키워진 라이벌, 최후엔 이러한 라이벌의 갱생 등등...[7] 1화 ~ 7화[8] 8화 ~ 18화[9] 19화 ~ 29화[10] 30화 ~ 39화[11] 40화 ~ 51화[12] 물론 투니버스, 재능TV 에서는 당연히 재방송 했었다.[13] 폭포로 떨어지며 상하반전으로 회오리 공격을 시전하는 드래곤이나, 열기에 녹아버리는 드래셸, 자기보다 압도적인 공격력을 가진 팽이를 기습 한방으로 쓰러뜨리는 드래이거 등 인상적인 내용이 많은 회차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