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2024년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

타일러 글래스나우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3년2024년2025년

1. 개요
2. 시즌 전
3. 정규시즌
3.1. 3~4월
3.1.1. 3월 20일: SD전 (서울 시리즈) [ND]
3.1.2. 3월 28일: STL전 () [승리]
3.1.3. 4월 3일: SF전 () [승리]
3.1.4. 4월 9일: MIN전 (원정) [승리]
3.1.5. 4월 15일: WSH전 () [패배]
3.1.6. 4월 21일: NYM전 () [승리]
3.1.7. 4월 27일: TOR전 (원정) [승리]
3.2. 5월
3.2.1. 5월 4일: ATL전 () [승리]
3.2.2. 5월 10일: SD전 (원정) [ND]
3.2.3. 5월 16일: CIN전 () [패배]
3.2.4. 5월 22일: AZ전 () [패배]
3.3. 6월
3.4. 7월
3.5. 8월
3.6. 9~10월
3.7. 정규시즌 성적
4. 총평
5. 시즌 후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 우완 투수 타일러 글래스나우의 2024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시즌 전[편집]


2월 첫 라이브 피칭부터 약 100마일에 육박하는 강속구를 던졌다고 한다.

2월 16일에는 라이브 피칭에서 무키 베츠, 프레디 프리먼, 제이슨 헤이워드, 윌 스미스를 상대했고, 베츠를 상대로 삼진을 기록했으며 이날도 패스트볼 구속은 대부분 97마일을 넘겼다고 한다.

2월 20일 데이브 로버츠 감독이 인터뷰로 순서는 정하지 않았으나, 글래스노우와 야마모토 요시노부가 3월 20-21일 한국에서 열리는 개막 시리즈 2연전에 선발 투수로 나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언급하며 사실상 한국에서의 등판이 확정되었다.

2월 24일 에인절스와의 시범경기에 선발등판하여 다저스에서의 첫 선을 보였다. 1⅔이닝 4피안타 1볼넷 1실점 1K를 기록했다.

3월 1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전에서 3이닝 47구 1볼넷 5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좋은 컨디션을 보였다.

3월 6일에는 B게임[1]에 나와 4이닝 8탈삼진 2실점을 기록했다. 같은날 캑터스 리그에는 야마모토 요시노부가 등판했는데, 데이브 로버츠 감독이 야마모토는 6-8일 간격으로 등판할 것임을 언급했고, 그에 따라 글래스노우가 다음 등판에서는 야마모토보다 먼저 투구하게 되는 것으로 보아 3월 20일 서울 시리즈 1차전 선발이 유력하다.

서울 시리즈 개막전을 앞두고 3월 12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상대로 최고 98마일의 패스트볼을 앞세워 5⅓이닝 8탈삼진 1볼넷 노히트로 쾌조의 컨디션을 보였다. #


3. 정규시즌[편집]



3.1. 3~4월[편집]



3.1.1. 3월 20일: SD전 (서울 시리즈) [ND][편집]


3월 11일 다저스 구단 공식 발표로 20일 서울 시리즈 개막전에 선발 투수로 나서게 되며 다르빗슈 유와 맞붙게 되었다.
승/패이닝탈삼진피안타피홈런사사구실점자책점투구수
ND532042277
5이닝 77구 2피안타 4볼넷 3K 2실점을 기록하며 다저스 데뷔전에서 무난한 투구를 선보였다. 2회까지 언터쳐블한 모습을 보이다가 이후 제구 난조를 보이며 3회와 4회 연속해서 실점을 헌납했지만, 5회말 다시 삼자범퇴로 마무리하면서 이날 투구를 마쳤다. 패전 위기에서 마운드를 내려갔지만 이후 팀 타선이 8회초 역전을 만들어내 패전을 지웠다.


3.1.2. 3월 28일: STL전 () [승리][편집]


승/패이닝탈삼진피안타피홈런사사구실점자책점투구수
652111181
3월 28일 다저 스타디움에서 열린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의 미국 개막전에 선발로 나와 6이닝 5탈삼진 1실점으로 호투하며 다저스 소속 첫 승을 챙겼다.


3.1.3. 4월 3일: SF전 () [승리][편집]


승/패이닝탈삼진피안타피홈런사사구실점자책점투구수
6741233100
4월 3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홈 3차전에 선발 등판했다. 3회초 1사 이후 패트릭 베일리에게 동점 홈런을 맞았고 6회초에는 1사 이후 3연속 출루를 허용해 3실점을 기록했지만 6이닝을 버텨주며 퀄리티스타트 피칭을 했고 시즌 2승을 챙겼다.


3.1.4. 4월 9일: MIN전 (원정) [승리][편집]


승/패이닝탈삼진피안타피홈런사사구실점자책점투구수
7143000088
24명의 타자를 상대로 개인 한경기 최다 14탈삼진을 잡아내는 무시무시한 투구로 미네소타 타선을 떡실신시키며 7이닝 무실점으로 시즌 3승을 챙겼다. 또한 오늘 88구만에 14탈삼진을 잡아낸 글래스노우는 역대 투구 추적 시스템 도입 이후 최초로 투구수 90개 미만을 기록하고 14탈삼진을 잡아낸 투수가 되었다.


3.1.5. 4월 15일: WSH전 () [패배][편집]


승/패이닝탈삼진피안타피홈런사사구실점자책점투구수
558226694
지난 경기들의 호투가 무색하게 워싱턴의 타격이 터지며 투구를 시종일관 공략당했고 홈런 2방을 포함 6실점으로 크게 무너졌다. 그렇게 내준 점수를 경기가 종료되는 순간까지 따라잡지 못한 채 시즌 첫 패를 떠안았으며 개막 후 순항 중이던 평균자책점도 3점대로 상승.

경기 종료 후 당일 성적 부진은 요 며칠간 컨디션 난조로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한 탓이라고 구단 측에서 발표했다. 비록 부상 소식은 아니나 트레이드 이전부터 연례행사 수준으로 부상자 명단을 들락거린 선수이기에 한편으로는 불안한 시선도 소수나마 모이는 중.

후에 밝혀진 바로는 당시 독감에 걸렸었다고 한다. 다저스 선발진 상황 상 어쩔 수 없이 등판한 것.


3.1.6. 4월 21일: NYM전 () [승리][편집]


승/패이닝탈삼진피안타피홈런사사구실점자책점투구수
81070000101
5일 쉬고 21일 뉴욕 메츠전에 나와 8회까지 10탈삼진 무사사구 무실점의 어마어마한 피칭으로 최근 침체기에 빠져있는 팀을 구원하는 호투를 펼쳤다. 팀도 모처럼 타선 폭발로 10:0의 대승을 거두며 글래스노우도 시즌 4승을 챙길 수 있었다. 다저스 선발 투수가 8이닝을 소화한 것은 지난 2022년 7월 16일 클레이튼 커쇼 이후 처음이며 한경기 7이닝 이상 10탈삼진 이상 무사사구 무실점 피칭을 한시즌에 두 번 달성한 역대 5번째 다저스 투수가 되었다.[2]


3.1.7. 4월 27일: TOR전 (원정) [승리][편집]


승/패이닝탈삼진피안타피홈런사사구실점자책점투구수
692031195
이날 기록한 95구의 투구수 가운데 패스트볼만 무려 66구를 던질 정도로 힘으로 토론토 타선을 압도했고, 6회까지 9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를 위력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하지만 7회 첫 두 타자에게 볼넷과 2루타를 내주며 실점을 하더니 팔 경련을 호소하며 강판당했다. 그래도 뒤에 올라온 조 켈리가 승계주자 실점을 막아내며 6이닝 1실점으로 경기를 마쳤고, ERA를 2.72까지 낮출 수 있었다. 경기 후 로버츠 감독은 팔 경련이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하며 경기 역시 다저스의 4:2 승리로 끝나면서 글래스노우도 시즌 5승을 챙겼다.


3.2. 5월[편집]



3.2.1. 5월 4일: ATL전 () [승리][편집]


승/패이닝탈삼진피안타피홈런사사구실점자책점투구수
7105012296
역시 글래스노우는 글래스노우였다. 애틀랜타 강타선을 상대로 7이닝 5피안타 2실점 10탈삼진을 기록하며 퀄리티스타트 플러스를 완성했고 팀 타선도 크게 터지면서 가볍게 시즌 6승을 챙겼다.


3.2.2. 5월 10일: SD전 (원정) [ND][편집]


승/패이닝탈삼진피안타피홈런사사구실점자책점투구수
ND7101121199
7이닝동안 10탈삼진 경기를 펼치며 3회말에 루이스 캄푸사노에게 맞은 홈런을 제외하면 압도적인 투구를 펼쳤으나 상대 선발 마이클 킹이 7이닝 11K 무실점으로 다저스 타선을 떡실신시키는 바람에 승리를 챙기지 못했다.[3] 한편 팀은 문제의 마이클 그로브루이스 아라에즈에게 끝내기 적시타를 맞으며 1:2로 패했다.


3.2.3. 5월 16일: CIN전 () [패배][편집]


승/패이닝탈삼진피안타피홈런사사구실점자책점투구수
586114492


3.2.4. 5월 22일: AZ전 () [패배][편집]


승/패이닝탈삼진피안타피홈런사사구실점자책점투구수
564013395


3.3. 6월[편집]




3.4. 7월[편집]




3.5. 8월[편집]




3.6. 9~10월[편집]




3.7. 정규시즌 성적[편집]


일자상대승/패이닝탈삼진피안타피홈런사사구실점자책점
3/20샌디에이고 파드리스ND5320422
3/28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6521111
4/3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6741233
4/9미네소타 트윈스71430000
4/15워싱턴 내셔널스5582266
4/21뉴욕 메츠81070000
4/27토론토 블루제이스6920311
3~4월 전체 - 7G 43이닝 5승 1패 ERA 2.72 53K WHIP 0.93
5/4애틀랜타 브레이브스71050122
5/10샌디에이고 파드리스ND71011211
5/16신시내티 레즈5861144
5/22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5640133
5월 전체 - 4G 24이닝 1승 2패 ERA 3.75 34K WHIP 0.88
시즌 전체 - 11G 67이닝 6승 3패 ERA 3.09 87K WHIP 0.91


4. 총평[편집]




5. 시즌 후[편집]




6. 관련 문서[편집]



[1] 비공식 연습경기[2] 앞서 2015년 클레이튼 커쇼가 4번, 1965년 샌디 코팩스가 3번, 1988년 팀 리어리와 2019년 워커 뷸러가 기록한 두 번이 있었다.[3] 양팀의 선발 투수가 모두 7이닝 이상 10탈삼진 이상 2피안타 이하 무실점을 달성한 경기는 이날이 최초라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5 04:06:42에 나무위키 타일러 글래스나우/선수 경력/2024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