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타이슨 밀러

덤프버전 :

타이슨 밀러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시카고 컵스 등번호 72번
로버트 마차도
(2001~2002)
타이슨 밀러
(2020)
하비에르 아사드
(2022~)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76번
일라이 화이트
(2020)
타이슨 밀러
(2022)
결번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50번
맷 부시
(2022)
타이슨 밀러
(2023)
J.B. 부카우스카스
(2023~)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58번
크리스 마틴
(2022)
타이슨 밀러
(2023)
거스 발랜드
(2023~)
뉴욕 메츠 등번호 67번
세스 루고
(2016~2022)
타이슨 밀러
(2023)
결번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61번
테일러 스캇
(2023)
타이슨 밀러
(2023)
결번

파일:메츠타이슨밀러.webp
타이슨 밀러
Tyson Miller
본명타이슨 마커스 밀러
Tyson Marcus Miller
출생1995년 7월 29일 (28세)
캘리포니아 주 페어필드
국적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학력섀도우 힐스 고등학교 - 캘리포니아 밥티스트 대학교
신체193cm / 102kg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16년 드래프트 4라운드 (전체 134번, CHC)
소속팀시카고 컵스 (2020)
텍사스 레인저스 (2022)
밀워키 브루어스 (2023)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3)
뉴욕 메츠 (2023)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3)




1. 개요[편집]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2.1. 시카고 컵스[편집]


파일:Tyson Miller.jpg

2.2. 텍사스 레인저스[편집]


파일:레인저스타이슨밀러.jpg

2.3. 밀워키 브루어스[편집]


파일:브루어스타이슨밀러.jpg

2022 시즌 후 웨이버 클레임을 통해 밀워키로 이적했다.

2023 시즌에는 7경기에 등판해 9⅓이닝 ERA 5.79 WHIP 1.286 fWAR -0.1 bWAR -0.1을 기록한 뒤 7월 8일 지명할당되었다.

2.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편집]


파일:다저스타이슨밀러.webp

이후 웨이버 클레임을 통해 다저스로 이적했다.

1경기에만 등판한 뒤 8월 2일 라이언 페피오가 60일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해 40인 로스터에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DFA되었다.

2.5. 뉴욕 메츠[편집]


다저스에서 DFA된 후, 뉴욕 메츠에 합류하게 되었다.

1경기에만 등판한 뒤 8월 23일 DFA되었다.

2.6.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기[편집]


이후 웨이버 클레임을 통해 다시 다저스로 이적했다.

8월 29일 애리조나전에서 7회부터 나와 2이닝 1피안타 2K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다음날 라이언 페피오의 자리를 위해 또 다시 DFA되었다. 이후 마이너로 권리가 이관되었다.

시즌 후 FA 신분이 되었다.

3. 연도별 성적[편집]


파일:MLB 로고.svg 타이슨 밀러의 역대 MLB 기록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20CHC2000055.40213001.00089-0.10.0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22TEX4120010⅔10.971618282.25037-0.1-0.7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23MIL/NYM/LAD10100015⅓4.7013261101.239980.00.0
MLB 통산
(3시즌)
162200316.97314173181.54864-0.3-0.7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0:19:47에 나무위키 타이슨 밀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