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하 183계 동차

최근 편집일시 : (♥ 0)




1. 개요
2.1. 차량 규격
2.2. 개요
3. JR 큐슈 사양
3.1. 차량 규격



1. 개요[편집]


1980년대 출시되어 운용중인 특급형 디젤동차로, 일본국유철도 시절에 홋카이도 전용으로 생산된 형식과 JR 큐슈 발족 후에 아소보이! 전용으로 제조된 4량짜리 1개 편성으로 나뉘어진다. 큐슈 생산 버전도 홋카이도 버전을 기반으로 만든 건 맞으나, 다른 점이 많아서 일본어 위키백과에선 별도 항목으로 구분하는 중이나, 여기서는 둘을 통합하되 문서 하나에 구별하여 서술한다.


2. JR 홋카이도 사양[편집]


파일:kiha183.jpg
0번대 (기본번대) 특급 오호츠크


2.1. 차량 규격[편집]


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
JR 홋카이도 키하 183계 기동차
{{{-1 JR hokkaido KiHa 183
JR北海道 キハ183系 気動車}}}
파일:키하 183계 동차.jpg
500번대 (N183계) 특급 타이세츠
차량 정보
열차형식간선철도 입선용 특급형 디젤동차
구동방식디젤 동력분산식 열차
운행노선 (과거)JR 홋카이도 오호츠크, 타이세츠, 호쿠토, 오오조라, 토카치, 사로베츠, 리시리, 마리모, 리조트 트레인[1]
소속JR 홋카이도
제작회사900, 0, 500, 1500번대: 후지 중공업, 니가타 철공소
550, 1550번대: 후지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도입연도900, 0번대: 1979년~1981년
500, 1500번대: 1986년
550, 1550번대: 1988년~1992년
차량 제원
영업최고속도100km/h(900번대)
110km/h(0번대)
120km/h[2][3]
설계최고속도120km/h
130km/h[4]
제조대수900번대 12량
0번대 89량
500, 1500번대 36량
550, 1550번대 32량
신호장비ATS-SN, ATS-DN
길이21,300mm
전폭2,903mm
높이4,090mm
차체철강
대차DT47A형, 공기스프링[5]
동력전달방식액체식
변속기DW10형(900, 0번대)
DW12형(500, 1500번대)
DW12A형(550, 1550번대)
동력장치DMF15HSA형 (900, 0번대)
DML30HSJ형 (500번대)
DML30HS형 (1500번대)
DMF13HZ(1550형)





2.2. 개요[편집]


홋카이도 지역의 수송체계 변경에 맞추어[6] 일본국유철도가 제조한 특급형 기동차. 회사 사정이 좋지 못하여 국철민영화 직후 생산된 형식이 2023년까지도 타이세츠오호츠크 등에서 운용되고 있었다. 노후화가 심하고 동력 효율성이 떨어지는 0번대는 일찌감치 다 처분되어 태국으로 무상 양도되었고, 500번대 이후 버전은 2023년 다이아 개정[7]으로 정기운용에서 이탈하였다[8].
태국으로의 무상 양도관련 보도 (아사히TV)

3. JR 큐슈 사양[편집]


아소보이! 전용으로 제작된 4량 1개 편성만 존재한다. 기술적인 기반은 위의 홋카이도 버전이 맞으나, 큐슈답게 여러 부분에서 차이가 난다. 아소보이로만 뛰지는 않고 JR 큐슈 내 여러 관광열차로도 뛴 적이 있으며 485계 전동차복합열차[9]를 구성해 운전할 수도 있다.


3.1. 차량 규격[편집]


파일:JR 큐슈 로고.svg
JR 큐슈 키하 183계 기동차
JR九州キハ183系気動車
JR Kyushu KiHa series 183 (DMU)
||
파일:JRQ_183Asoboy.jpg
호히 본선 아소보이!로 운행 중
차량 정보
열차 형식간선철도 입선용 특급형 기동차, 관광열차
구동방식디젤동차
량 수4량
운행 노선호히 본선 특급 아소보이!
도입년도1988년~1989년
제작회사후지중공업, JR 큐슈 가고시마 차량소
소유자파일:JR 큐슈 로고.svg
운영자
차량기지구마모토 차량센터
차량 제원
전장21,300㎜[10]
전폭2,903㎜
전고4,090㎜
궤간1,067㎜
최고속도120km/h
신호장비ATS-S →ATS-SK→ATS-DK
동력장치DMF13HZA, SA6D140HE-2
엔진 출력331Kw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21:32:35에 나무위키 키하 183계 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레인보우 익스프레스, 니세코 익스프레스 등이 있다. 삿포로-하코다테를 하코다테 본선 산선으로 운행한다.[2] 500, 550, 1500, 1550번대[3] 일부 차량은 130km/h 대응 개조를 받았다.[4] 500번대 혹은 550번대 일부[5] 500번대 이후[6] 세이칸 연락선 중심축을 삿포로역 중심으로 바꾸었다.[7] 마지막 정기운전열차는 3월 17일의 삿포로행 특급 오호츠크 4호[8] 은퇴한 일부 차량은 시에라리온으로 수출되었다.[9] 특급 하우스텐보스와 병결한 적이 있다.[10] 선두차는 21,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