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크리스 테일러/선수 경력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크리스 테일러

1. 개요
2. 아마추어 시절
3.1. 2014 시즌
3.2. 2015 시즌
3.3. 2016 시즌
5. 정규 시즌 기록
6. 포스트시즌 기록


1. 개요[편집]


크리스 테일러의 선수 경력을 담은 문서.


2. 아마추어 시절[편집]


버지니아 주 버지니아 비치에 있는 그레이트넥 중학교에 다닌 테일러는 당시 레슬링 선수였고, 시티 레슬링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이후 버지니아 비치에 있는 프랭크 W. 콕스 고등학교에 진학한 이후 야구에 집중하기 위해 레슬링을 그만뒀다. 그는 2009년 올 타이드워터 지역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테일러는 버지니아 대학과 윌리엄 앤 메리 대학에서 스카웃 제의를 받았고, 버지니아 대학교를 다니기로 선택했다. 이후 애틀랜틱 코스트 콘퍼런스(ACC)에 출전하는 버지니아 캐벌리어스 야구팀에서 대학 야구를 했다. 1학년에는 당시 ACC 유격수였던 타일러 캐논에 가로막혀 출전수가 부족했던 테일러는 2010년 여름, NECBL의 뉴포트 걸스에서 우익수를 맡으며 1년을 보냈다. 이후 테일러는 팀의 주전 유격수였던 스티븐 브루노가 햄스트링 부상을 당하면서 주전 유격수가 됐고, 브루노가 복귀한 후에도 유격수 자리를 지켰다.

2011년에는 샬럿빌 수퍼 리저널의 UC 어바인과의 결정적인 경기에서 2사 2루에서의 3루타로 동점타와 결승 득점을 기록했고, 캐벌리어스를 대학 월드 시리즈에 내보냈다. 2011년, 그는 케이프 코드 야구 리그 팀인 야머스-데니스 레드삭스에서 대학 여름 야구 리그를 했다. 그리고 2012년 드래프트 5라운드에서 시애틀 매리너스에 지명되어 프로생활을 시작했다.

3. 시애틀 매리너스[편집]


테일러는 입단 후 루키 리그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지만, 얼마 뒤 싱글 A로 승격하여 주로 유격수로 뛰었다. 2013년에는 싱글 A와 더블 A를 거쳤고 .314의 타율과 165안타 8홈런 108득점 38도루로 시즌을 마쳤다. 시즌 후에 시애틀은 테일러를 트리플 A로 승격시켰고, 올해의 마이너 리그 선수로 선정했다.

3.1. 2014 시즌[편집]


2014년 테일러는 스프링 캠프에 초청됐고, 시즌이 시작되자 트리플 A에 배정됐다. 이후 유격수와 2루수로 뛰며 75경기에 출전해 타율 0.328 5홈런 37타점 63득점을 올리며 마이너 리그 올스타전에도 출전했고, PCL의 톱 스타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2014년 7월 24일. 시애틀의 유틸리티 자원이던 윌리 블룸퀴스트가 부상을 당하자 빅리그로 콜업되었고, 볼티모어 오리올스를 상대로 메이저리그 첫 안타를 기록했으며 그해 37경기 타율 .287로 가능성을 보였다.

3.2. 2015 시즌[편집]


2015년 스프링 캠프 도중 사구로 인해 손목이 골절됐고, 부상에서 회복한 후 2015년 시즌 대부분을 트리플 A에서 보냈다. 빅리그에서는 유격수, 2루수, 3루수를 오가며 37경기에서 타율 .170 0홈런 1타점으로 부진했다.

3.3. 2016 시즌[편집]


2016년에도 시즌 초반을 트리플 A에서 시즌을 보내던 도중 케텔 마르테가 부상을 당하자 5월 21일에 콜업되었고, 6월 19일에 시애틀은 유망주 투수인 잭 리를 받아오며 테일러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트레이드 시켰다.

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편집]


파일:dodgers_20211007_172303_0.jpg

4.1. 2016 시즌[편집]


트레이드로 건너온 이후 7월 15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전에서 빅리그 통산 첫 홈런을 만루 홈런을 때려내는 기염을 토했고, 이날 사이클링 히트에 단타 하나가 빠진 대활약을 했다. 이날 테일러는 구단 역사에 2가지 기록을 남겼는데, 이날 2루수로 출전했던 테일러는 다저스 역사상 한 경기에 6타점 이상을 기록한 3번째 2루수가 되었고[1], 데뷔 첫 홈런을 그랜드 슬램으로 때려낸 다저스 역대 3번째 선수가 되었다.[2]

2016년에도 주로 유틸리티 자원으로 나온 테일러는 다저스 이적 후 34경기에 출전해 타율 0.207/.258/362에 1홈런 7타점을 기록했다.

다만 이때까지만 해도 다저스 팬들은 이 선수를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고 또 이렇게 트레이드 칩으로 쓰일 자원 하나가 왔구나 하는 생각이였지만 2017년에 대폭발하게 된다.

4.2. 2017 시즌[편집]


파일:diamondbacks_dodgers_baseball_24128299.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크리스 테일러/선수 경력/2017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2018 시즌[편집]


파일:20211008_021207.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크리스 테일러/선수 경력/2018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2019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크리스 테일러/선수 경력/2019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2020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크리스 테일러/선수 경력/2020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 2021 시즌[편집]


파일:551010.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크리스 테일러/선수 경력/2021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A를 앞두고 리그 최고의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군림했으며, 올스타에 선정되는 등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4.7. 2022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크리스 테일러/선수 경력/2022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 2023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크리스 테일러/선수 경력/2023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9. 2024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크리스 테일러/선수 경력/2024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정규 시즌 기록[편집]


파일:MLB 로고.svg 크리스 테일러의 역대 MLB 기록
연도GPAH2B3BHRRRBISBBBSOAVGOBPSLGOPSfWARbWAR
2014SEA471513980016951139.287.347.346.6921.01.2
20153710216310913631.170.220.223.443-0.5-0.8
연도GPAH2B3BHRRRBISBBBSOAVGOBPSLGOPSfWARbWAR
2016SEA/LAD366513221870415.213.262.361.6220.00.0
2017LAD1405681483452185721750142.288.354.496.8504.64.4
2018155604136358178563955178.254.331.444.7753.74.3
201912441496294125252837115.262.333.462.7951.91.5
202056214501028303232655.270.366.476.8421.61.9
20211485821292542092731363167.254.344.438.7823.02.6
2022118454892531045431044160.221.304.373.6771.90.5
2023117384801511551561641125.237.326.420.7461.91.3
MLB 통산
(10시즌)
978353879618630104473408843371027.254.331.431.76319.116.8

6. 포스트시즌 기록[편집]


파일:MLB 로고.svg 크리스 테일러의 역대 MLB 포스트시즌 기록
연도GPAH2B3BHRRRBISBBBSOAVGOBPSLGOPS결과
2017LAD15591541312701110.254.380.508.889CS MVP
WS 탈락
2018153911111631913.282.417.436.853WS 탈락
201958100010034.125.364.125.489DS 탈락
20201658124018310524.207.270.328.597WS 우승
2021113713404912593.351.419.7841.203CS 탈락
202227000000005.000.000.000.000DS 탈락
MLB 통산
(6시즌)
64208521329362543365.250.354.462.816WS 1승 2패
1CS MVP
1CS
2DS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나머지 2명은 1943년 빌리 허먼과 1949년 재키 로빈슨.[2] 나머지 2명은 1948년 프리스턴 워드와 1956년 치코 페르난데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3:23:36에 나무위키 크리스 테일러/선수 경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