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아이템 카트

최근 편집일시 : (♥ 0)

||



||

1. 개요
2. 공통 기능
3. 특수 기능 탑재
4. 목록
5. 기타 아이템 카트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아이템 카트는 워낙 다양한 기능들이 섞여 나온다. 그렇기에 시리즈로 분류하기보다는 기능으로 분류한다.

아이템전 카트는 플라즈마 시리즈 및 SR 카트의 출시 전까진 가장 효율이 높았던 카트였다. 당시에는 스피드전의 변신 부스터 등의 전용 기능이 없었던 시절이라 비슷한 성능으로서는 아이템전 기능을 가진 것이 사실상 포괄적으로 즐길 수 있었기 때문. 이후 2006년 3월, 코튼 SR의 등장으로 스피드전의 기능 특화가 이루어지면서 확실히 양분되었다.

스쿠너, 루루, 곰신, 왕문어, 레트로 같은 구형 엔진부터 계보를 이어온 전통 있는 시리즈들은 대부분 Z7, HT 엔진부터 몰락하기 시작했으며, 9, X 엔진에 와서는 일반 등급을 배정받는 굴욕을 당한다. 이유는 간단한데, 엔진의 변화를 거듭해도 시그니처 기능 외에 별 다른 기능이 추가되지 않아 상향평준화된 다른 카트바디들의 성능을 따라가지 못 하기 때문. 다만, 소수를 제외한 R 시리즈와 엘레강스 루루 V1 등의 강화판은 레어 등급을 받았다. V1에서는 스피드 카트의 기본 5대 시리즈를 어떻게든 살려보겠다고 약속한 바 있는데, 이것이 확장되어 아이템 카트바디의 근본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과거 아이템 카트바디의 성능 인플레이션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는 각각 가진 시그니처 기능 하나만으로도 상당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어 개성 있고 강력하다고 평가받았으나, 아이템 카트바디들의 평균 성능이 올라가기 시작하면서 시그니처 기능 외에 마땅한 추가 기능이 없는 이들은 온갖 고성능 능력들을 섞어서 달고 나오는 신규 카트들에 밀려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각각 시리즈들의 고유 기능으로서 존재했던 능력들이 더 이상 고유의 것이 아니게 된 점도 몰락에 크게 일조했다.[1]

이런 점을 의식했는지 일부 시리즈는 최신 엔진에 와서는 나름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하면서 출시됐으나[2][3], 여전히 일반 등급 수준을 벗어나지 않는 성능이어서 주력으로 활약하기엔 크게 무리이다.

블랙 샤크, 저스티스, 마그마 시리즈 또한 위의 카트들만큼은 아니지만 꽤 전통이 있는 편이며, 이들은 레어 등급을 배정받았다.

간혹 스피드전에서도 스타트 부스터 강화가 적용되며 동일 등급의 카트보다 스탯이 높은 카트도 있다. 이를 '하이브리드 카트'라고 하며, 정확한 분류는 아이템 카트이다. 원래 저스티스 시리즈만 속했지만, 라이트닝 X, 롤러 붓 X, 도깨비불 V1이 추가되었다.
하이브리드 카트바디의 실용성의 경우, JIU 엔진까지는 스피드 출발 부스터가 적용되지 않아 딱히 스피드전에서의 메리트가 없었으나 X 엔진 들어서 출발 부스터 강화가 스/템 양쪽 다 적용되게 되며 주가가 급상승했고, V1은 첫 하이브리드인 도깨비불 V1이 아이템 카트바디의 익시드 페널티를 그대로 가지고 나와 주가가 급락했었으나 이후 케라우노스 V1이 스피드 카트바디의 익시드를 따라가서 스피드전 성능이 충분히 좋아졌다. 그것이 아이템전에서도 그대로 메리트가 된 것은 덤.

2. 공통 기능[편집]


대부분의 아이템 카트바디는 이 기능을 대부분 탑재하고 있다. 단, HT부터 해당하며 그 이하 등급에선 없다.



3. 특수 기능 탑재[편집]


최초로 그 아이템 카트바디의 특수 기능을 탑재하고 나온 경우만 아래에 서술. 보통 시간이 흐르며 공통 기능이 되거나, 아니면 특수 기능을 복수로 탑재하여 인플레가 이루어진 케이스가 존재한다.


4.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아이템 카트/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기타 아이템 카트[편집]




파일:슈퍼주니아 T 카트.jpg












6. 둘러보기[편집]



||
주요 카트바디 | 클래식 카트바디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 문서의 r1505
, 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0:32:36에 나무위키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아이템 카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스쿠너 시리즈의 재빨리 탈출 기능은 HT 엔진 이후 성능이 좀만 좋다 싶은 카트바디면 모두 탑재하고 나와 의미가 없어졌으며, 곰신의 대마왕류 방어 기능은 대마왕류를 방어하는 펫이 등장하면서 굳이 곰신을 찾아 탈 이유가 없어졌다. 지뢰를 사용하는 레트로 시리즈 또한 오리폭탄, 물지뢰 등 더 우수한 성능의 바리에이션 아이템들을 사용하는 카트바디들이 나오면서 탈 이유가 전혀 없어졌다.[2] 지뢰 기능을 탑재하고 출시된 곰신 9, 폭탄 물파리를 최초로 탑재하고 출시된 스쿠너 X 등이 그 예.[3]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왕문어 9, 레트로 9, 루루 X 같은 카트바디들은 최신 엔진에 와서도 별 다른 능력들이 추가되지 않아 차고 넘치는 고성능 카트바디들을 제쳐두고 사용할 이유가 전혀 없다.[4] 물폭탄/물파리 뿐만 아니라 물지뢰에도 적용되며, 미사일(특수 미사일) 피격이나 지뢰 류를 밟아서 공중에 붕 떠올라 착지하더라도 순간 부스터 사용이 가능하다. 즉, 공격으로 바퀴가 지면에서 떨어지기만 하면 발동된다는 뜻. 다만 X엔진 이하의 경우 특수 물폭탄/물파리나 시한 물폭탄(자폭)은 탈출 후 순간 부스터 사용이 불가능하며, V1엔진은 특수 물폭탄/특수 물파리에 피격되어도 순간 부스터가 나간다.[5] 아이템전용과 스피드전용 하나씩 2대 지급.[6] 패치 후, 10500루찌로 9000루찌인 루루보다 오히려 비싸졌다. 예전엔 루루보다 3000루찌 저렴했다.[7] 다만 우주선 효과 이펙트가 나타나기전에 전자파로 방어해버리면 실드가 생성되지 않으며 당연히 아이템 슬롯이 꽉 차있을 경우 실드를 얻을 수 없다.[8] 특정 아이템 사용시 확률적으로 획득하는 것이 아닌 가디언 계열처럼 아이템 큐브에서 획득한다.[9] 중국에서는 미사일을 일정확률 황금미사일로 획득하는 카트로서 출시됐다. 브럼비도 같은 기능.[10] 차체는 작아서 막자에 불리하나, 사이렌을 쓰면서 막자를 하면 훌륭한 막자가 된다.[11] 레트로이드 등장 초기 이벤트로 레트로에서 업그레이드시켜주는 아이템을 팔았다. 당시 레트로는 무제한을 팔았고 레트로이드는 기간제만 팔았는데 이 때 레트로이드 무제한을 만든 사람이 있었다.[12] 배틀&챔스에서는 NPC들이 황금미사일을 쏘지 않고 일반 미사일과 1등 미사일만 사용하기때문에 풍선으로 방어하면 그만이다. 물파리에 비하여 미사일은 상대적으로 덜 날라오기도 하고..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