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큐 1500형 전동차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케이큐전철 로고.svg
케이큐 1500형 전동차
京急 1500形 電車
Keikyu 1500 series
||
파일:Keikyu-1572.jpg
외부
차량 정보
열차 형식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대수8량 1편성[1], 6량 1편성, 4량 1편성
도입 시기1985년 ~ 1993년
제작사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
파일:tokyucar.svg
소유기관파일:케이큐전철 로고.svg
운영기관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18,000㎜
전폭2,830㎜
전고4,050㎜
궤간1,435㎜
급전 방식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신호 장비1호형 ATS, C-ATS
제어 방식1500번대: 계자 쵸퍼제어, 도요전기제 VVVF-IGBT, 미쓰비시제 VVVF-IGBT
1700번대 도요전기제 VVVF-GTO, 미쓰비시제 VVVF-GTO
구돈 장치TD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제동 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전자직통 공기제동
편성 출력불명
최고속도영업120㎞/h
설계130㎞/h
기동 가속도3.5㎞/h/s
감속도상용4.0 ㎞/h/s
비상4.5 ㎞/h/s


1. 개요
2. 분류
2.1. 1500번대, 1600번대
2.2. 1700번대
3. 사고
4. 구성 정보
4.1. 재량
4.2. 편성
4.2.1. 1500형 1500번대
4.2.2. 1500형 1700번대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케이큐 전철의 통근형 전동차로 1000형 1800번대가 도입 되기 전까지는 케이큐에 중문이 도입된 마지막 전동차였다.


2. 분류[편집]



2.1. 1500번대, 1600번대[편집]


1985년부터 도입된 차량으로 기존 케이큐 차량들과 같이 관통문이 적용되어 도입되었다. 다만 이 관통문은 여닫이 방식이 아닌 옆으로 열리는 구조라 중련편성으로 운용시 관통문 연결이 불가능하다. 이 열리는 방식은 지하철 차량에 적용되어있는 비상탈출문과 같은 방식이다.

8량 편성, 6량 편성, 4량 편성 등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었으며, 1500번대와 1600번대의 접수번대가 있었다. 기술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2013년 이후 1600번대를 모두 1500번대로 변경하였다. 특이사항은 도입 당시 전동차 출입문 수납부분에 쪽창이 적용되었다는 것이며, 후에 모두 개조되어 쪽창이 제거되었다.[2] 8량 편성의 경우 6M2T 조성으로 되어 있었으며 지하철 아사쿠사선을 통해 케이세이선까지 직통했었다. 이후 1700번대, 600형, 2대 1000형 차량 등이 도입되고, 1대 1000형의 퇴역이 임박한 2008년 경에 1500번대 8량편성이 각각 6량 편성와 4량 편성으로 조성되어 1500번대 8량 편성은 사라졌다.

초기에는 전두부 연결기쪽에 하부스커트가 아예 없었으며 이후 일부 차량에만 적용되다가 2000년대 후반에 모든 차량에 적용되었다.

도입 당시는 쵸퍼제어 였지만 지금은 모든 6량 편성들이 2레벨 IGBT-VVVF로 갱신되었다.[3]다만, 4량 편성은 아직도 쵸퍼를 사용한다. 그리고 모든 케이큐 VVVF 차량들이 줄줄이 행선 표시기를 LED를 바꾸기 시작하면서 1500형도 모든 편성의 행선 표시기를 롤지에서 풀컬러 LED로 바꿨다. 도입된지 40년이 도래하는 2023년 현재, 4량 편성은 게이큐 1000형 전동차 1890번대 차량으로 대차가 진행중이며, 6량 편성도 1500번대 전동차로 대차되기 시작했다.


2.2. 1700번대[편집]


1700번대는 본 차량의 마이너 체인지 버전이자, 직통을 위해서 만든 편성으로 오직 8량 편성만 존재한다. 과거에는 1500형도 8량 편성이 존재했으며, 케이세이선까지 직통 운용에 들어가기도 했었다. 2008년 이후 1500번대 8량편성은 각각 6량 편성과 4량 편성으로 재조성되어 사라졌다. 1500형 8량 편성과는 다르게 1700번대는 등장 당시부터 GTO-VVVF 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도입되었다.[4] 이 기술은 후계 차량인 600형으로 이어진다.

원래는 정차역 예고장치가 없어 케이세이 나리타 공항선에는 임시로 투입되지 않는 이상 가지 않았으나, 현재는 모든 편성에 설치되어 문제없이 투입된다.[5] 다만 이 차량은 LCD도 크로스시트도 없어서 지뢰다(...) 나리타 공항선 개업 전에도, 공항선에 잘 안 들어가는 듯 하다가 지금은 6량 편성들이 에어포트 급행 등급으로 하네다공항↔즈시.하야마 구간을 열심히 운행하고 있다. 현재 지금도 신 1000형 알루미늄 차량처럼 요코하마 방면 쾌특이나 특급 운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같은 시기에 도입된 케이세이 전철 3700형과는 도요전기제 GTO 인버터를 사용한다는것이 공통점이며, 최초 도입 3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대차 계획은 없다, 그러나 다른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2024년부터 신 1000형 1700번대로 대체될 예정이다


3. 사고[편집]


  • 1997년 4월 7일 14시 47분경에 케이큐타우라역 ~ 안진즈카역 사이에서 산사태로 인해 1500형 4량 편성 보통열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있었다.

  • 2012년 9월에 1701편성이 옷파마역~케이큐타우라역 구간에서 산사태로 파손되어 폐차당했다. 참고로 1701편성은 케이큐 최초의 VVVF 차량이었다.


4. 구성 정보[편집]



4.1. 재량[편집]


8량 5편성, 6량 15편성, 4량 7편성이 있다.[6]

중간 증결분 무동력차의 경우 19××번대이다.

4.2. 편성[편집]



4.2.1. 1500형 1500번대[편집]


4량우라가 방면 ↔ 센가쿠지 방면
편성Mc1M2M1Mc2
1501편성1501150215031504
1505편성1505150615071508
1509편성[7]1509151015111512
1513편성1513151415151516
1517편성1517151815191520
1521편성1521152215231524
1525편성1525152615271528


6량우라가 방면 ↔ 센가쿠지 방면
◇ ◇
편성M1cM2TuTsM1'M2c
1529편성152915301931(1617)1932(1616)15311532
1533편성153315341933(1635)1934(1634)15351536
1537편성153715381935(1629)1936(1628)15391540
1541편성154115421937(1647)1938(1646)15431544
1545 편성154515461939(1653)1940(1652)15471548
1549편성154915501941(1623)1942(1622)15511552
1561편성1561(1601)1562(1602)1925(1605)1926(1604)1563(1603)1564(1606)
1565편성1565(1607)1566(1608)1927(1611)1928(1610)1567(1609)1568(1612)
1569편성1569(1613)1570(1614)190119021571(1615)1572(1618)
1573편성1573(1619)1574(1620)190319041575(1621)1576(1624)
1577편성1577(1625)1578(1626)190519061579(1627)1580(1630)
1581편성1581(1631)1582(1632)191119121583(1633)1584(1636)
1585편성1585(1637)1586(1638)1929(1641)1930(1640)1587(1639)1588(1642)
1589편성1589(1643)1590(1644)191519161591(1645)1592(1648)
1593편성1593(1649)1594(1650)191719181595(1651)1596(1654)


4.2.2. 1500형 1700번대[편집]



8량우라가 방면 ↔ 센가쿠지 방면
◇ ◇
편성M1cM2TuTsM1'M2'M1M2c
1701편성[8]17011702191919201703170417051706
1707편성17071708192119221709171017111712
1713편성17131714192319241715171617171718
1719편성17191720190719081721172217231724
1725편성17251726190919101727172817291730
1731편성17311732191319141733173417351736


5. 여담[편집]


아래의 사진은 1500형의 운전대이다. 이 운전대 이후로 1500형 이후에 나오는 케이큐 열차들의 운전대가 1500형의 운전대랑 비슷한 운전대를 사용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eikyu_1513_driver_cabin.jpg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2:42:29에 나무위키 케이큐 1500형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700번대[2] #[3] 미쓰비시제 또는 도요전기제 IGBT를 사용한다.[4] 도요전기와 미쓰비시사의 1C8M 인버터가 적용되었다.[5] 2022년 2월 26일부터 케이큐 차량의 액세스 특급 평일 운용이 사라져 휴일에만 운행하는데, 1000형이나 600형이 우선 투입되어 이 차량을 보기는 힘들어질듯 하다.[6] 8량은 주로 쿠리하마선에서 운행하고 아사쿠사선과 직통하며, 6량은 주로 본선공항선에서 운행하며, 4량은 주로 다이시선에서 운행한다.[7] 폐차[8] 사고로 인한 폐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