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덤프버전 : (♥ 0)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ملعب خليفة الدولي
영문명Khalifa International Stadium
위치카타르 알라이얀
소유카타르 축구 협회
수용인원45,857석
개장1976년 3월 3일
보수2005년, 2014년 ~ 2017년
잔디천연잔디
1. 개요
2. 역사
3. 주요 대회
4. 교통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국립 경기장이라고도 불리며, 카타르 알라이얀 도하 스포츠 시티의 스포츠 단지 내 애스파이어 아카데미[1], 하마드 아쿠아틱 센터[2], 애스파이어 타워[3]와 함께 들어서 있다. 명칭의 유래는 칼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 카타르의 옛 국왕의 이름을 딴 것이다. 2011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이 열렸고 2022 FIFA 월드컵의 일부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카타르 월드컵 경기장 가운데 처음으로 완공된 구장이기도 하다. 2017년에는 세계 최초로 GSAS (Global Sustainability Assessment System)에서 4등급을 받았다.


2. 역사[편집]


1976년에 개장하였으며 2006년 아시안 게임 개최를 위해 확장 공사를 실시하였다. 그에 따라 2005년 2만명 규모에서 4만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증축되었고 2006년 아시안 게임 개막식에서 불꽃 놀이를 할 수 있게 플랫폼으로 사용된 동쪽의 큰 아치와 경기장 서쪽 지붕이 추가되었다.

육상 경기장으로도 활용돼 1997년부터 매년 카타르 육상 슈퍼 그랑프리를 개최하고 2019년 가을엔 제17회 IAAF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현재의 모습은 2022 FIFA 월드컵에 맞춰 새단장한 것으로, 2017년 5월 재개장하였다. 2022 FIFA 월드컵을 준비하며 68,000명으로 증축하려고 했으나 그러지 못하고 약 5천 석만 더 늘어나게 되었다.


3. 주요 대회[편집]




3.1. 친선경기[편집]


일시(한국시각)팀1결과팀2
2009년 11월 15일 01:15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1:0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2010년 11월 18일 01:15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0: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010년 11월 19일 00:00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1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2010년 12월 17일 00:00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2:1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2010년 12월 22일 22:00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2:0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2010년 12월 29일 01:15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0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12년 2월 7일 03:00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3:1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2018년 9월 8일 01:00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1:0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18년 9월 12일 01:00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3:0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2019년 1월 1일 02:00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1:2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3.2.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편집]


일시(한국시각)팀1결과팀2라운드관중
2011년 1월 8일 01:15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2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A조 1차전
2011년 1월 13일 01:15파일:중국 국기.svg 중국0:2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A조 2차전
2011년 1월 17일 01:15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3:0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A조 3차전
2011년 1월 22일 01:25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2:1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8강
2011년 1월 26일 01:25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0:6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준결승
2011년 1월 30일 00:00파일:호주 국기.svg 호주0:1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결승


3.3. 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19[편집]


일시(한국시각)팀1결과팀2라운드관중
2019년 12월 17일 23:30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사드0:2파일:튀니지 국기.svg 에스페랑스5위 결정전15,037
2019년 12월 18일 02:30파일:브라질 국기.svg 플라멩구0:2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준결승21,588
2019년 12월 19일 02:30파일:멕시코 국기.svg 몬테레이1:2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45,416
2019년 12월 21일 23:30파일:멕시코 국기.svg 몬테레이2:2(PSO 4:3)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3위 결정전19,318
2019년 12월 22일 02:30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1:0파일:브라질 국기.svg 플라멩구결승45,416

3.4. 2020 AFC 챔피언스 리그[편집]


일시(한국시각)팀1결과팀2라운드
2020년 9월 15일 00:00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아흘리1:0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A조 3차전
2020년 9월 18일 00:00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2:1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아흘리A조 4차전
2020년 9월 21일 03:00파일:이란 국기.svg 에스테그랄1:1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A조 5차전
2020년 11월 22일 19:0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0:0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G조 2차전
2020년 11월 25일 19:00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1:3파일:일본 국기.svg 고베
2020년 12월 1일 19:00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G조 3차전
2020년 12월 4일 19:00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 상강0:2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H조 6차전
2020년 12월 4일 22:00파일:일본 국기.svg 고베0:2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G조 4차전
2020년 12월 7일 19:00파일:일본 국기.svg 고베2:0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 상강동아시아 16강
2020년 12월 7일 23:00파일:일본 국기.svg 요코하마2:3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


3.5. 2021 FIFA 아랍컵 카타르 예선 라운드[편집]


일시(한국시각)팀1결과팀2관중
2021년 6월 20일 02:00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0:1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3,523
2021년 6월 24일 02:00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1:0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739
2021년 6월 26일 02:00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2:0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354


3.6.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편집]


일시(한국시각)팀1결과팀2라운드관중
2022년 11월 21일 22:00파일:2022 FIFA 월드컵 잉글랜드 아이콘.svg 잉글랜드6:2파일:2022 FIFA 월드컵 이란 아이콘.svg 이란B조 1차전45,334
2022년 11월 23일 22:00파일:2022 FIFA 월드컵 독일 아이콘.svg 독일1:2파일:2022 FIFA 월드컵 일본 아이콘.svg 일본E조 1차전42,608
2022년 11월 26일 01:00파일:2022 FIFA 월드컵 네덜란드 아이콘.svg 네덜란드1:1파일:2022 FIFA 월드컵 에콰도르 아이콘.svg 에콰도르A조 2차전44,833
2022년 11월 28일 01:00파일:2022 FIFA 월드컵 크로아티아 아이콘.svg 크로아티아4:1파일:2022 FIFA 월드컵 캐나다 아이콘.svg 캐나다F조 2차전44,374
2022년 11월 30일 01:00파일:2022 FIFA 월드컵 에콰도르 아이콘.svg 에콰도르1:2파일:2022 FIFA 월드컵 세네갈 아이콘.svg 세네갈A조 3차전44,569
2022년 12월 2일 04:00파일:2022 FIFA 월드컵 일본 아이콘.svg 일본2:1파일:2022 FIFA 월드컵 스페인 아이콘.svg 스페인E조 3차전44,851
2022년 12월 4일 00:00파일: 2022 FIFA 월드컵 네덜란드 아이콘.svg 네덜란드3:1파일:2022 FIFA 월드컵 미국 아이콘.svg 미국16강44,846
2022년 12월 18일 00:00파일: 2022 FIFA 월드컵 크로아티아 아이콘.svg 크로아티아2:1파일: 2022 FIFA 월드컵 모로코 아이콘.svg 모로코3위 결정전44,137


4. 교통[편집]


기름이 넘치는 국가답게 매우 거대한 야외주차장을 자랑한다. 대중교통으로는 도하 지하철 골드라인 스포트 시티(Sport City)역을 이용하면 되는데, 2번 출구에서 내려서 그 거대한 주차장을 지나야 경기장에 도착할 수 있다. 약 15분 소요된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로고.svg 역대 FIFA 클럽 월드컵 결승전 개최 경기장
2017~201820192020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6:44:36에 나무위키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청소년 스포츠 육성 기관이다.[2] 2014 FINA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를 주최한 수중 경기장이다.[3] 도하의 마천루를 장식하는 호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