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개인전/16강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개인전




1. 개요
2. 7월 1일 (토) 16강 1경기
3. 7월 2일 (일) 16강 2경기
4. 7월 8일 (토) 16강 승자전
5. 7월 9일 (일) 16강 패자전
6. 7월 16일 (일) 16강 최종전
7. 16강 정리표


1. 개요[편집]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의 개인전 16강 경기를 기록해 둔 문서다.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하며 진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
16강 1, 2경기승자전 진출패자전 진출
승자전결승전 진출최종전 진출
패자전최종전 진출탈락
최종전결승전 진출탈락
모든 경기는 50pt 선취 방식으로 1위가 50pt를 획득하면 종료된다. 각 트랙 별 포인트 배분은 다음과 같다. 경기 종료 시 동점자가 발생할 경우, 진출/탈락 여부가 갈리는 등수일 경우 1라운드가 진행된 트랙에서 1대1 재경기를 실시한다. 그 외의 경우 마지막 라운드 순위에 따라 처리한다.

순위1st2nd3rd4th5th6th7th8thRetire
포인트10754310-1-5
첫 트랙은 개인전에 사용되는 트랙 중 추첨으로 결정되며, 다음 트랙은 직전 라운드의 1위가 남은 트랙들 중 선택한다. 직전 라운드에서 공동 순위가 나온 경우 해단 선수 중 누적 pt가 가장 높은 선수가 트랙을 선택하고, 누적 포인트도 동률일 경우 남은 트랙중 하나를 추첨한다. 한 번 사용되었던 트랙은 다시 선택할 수 없으며, 모든 트랙이 1번씩 사용된 후에는 리셋되어 다시 12개의 트랙에서 선택을 이어나간다.[참고]
팀별 본선진출자(32강→16강)
팀명참가 인원출전 선수 명단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KDF4명 / 4명SPEAR, Cool, World, SUNGBIN
전원 생존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SB3명 / 4명HyunSu, JiMin, NEAL, ByungSu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ROX4명 / 5명JJONG, VEGA, Spell, Duzzi, DDING
파일:KDL_Aura_white_logo.png AR2명 / 3명Knock, Hero, Luning
파일:KDL_Sensation.png SST2명 / 3명HoJun, Percent, Joker
파일:KDL_ShowTime.png ST0명 / 1명Feiz
파일:KDL_Potential.png PO0명 / 1명Wave
파일:KDL_Seraphic.png SRP0명 / 2명MINSIK, Scarlet
무소속1명 / 9명vaNilla, Hong, UMaRu, Most, Curren, Skald, Navi, Load, Cosu
1. 취소선은 탈락을 의미함.[1]
2. 참가 인원은 '16강 진출자 / 본선 진출자'로 표기함.
3. 팀 프로젝트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팀전에 출전하지 않은 선수들은 무소속으로 취급함.


2. 7월 1일 (토) 16강 1경기[편집]


16강 1경기 선수소개
선수이재혁
Cool
배성빈
SUNGBIN
박현수
HyunSu
노준현
World
이명재
DDING
리우창헝
NEAL
김주영
Joker
김지환
Duzzi
32강
평균 점수
7.86점
(55/7)
6.38점
(51/8)
5.75점
(46/8)
5.14점
(36/7)
4.50점
(36/8)
4.14점
(29/7)
3.75점
(30/8)
3.43점
(24/7)
32강 결과A조 1위C조 1위C조 2위A조 2위C조 3위A조 3위C조 4위A조 4위

사용 카트바디
선수이재혁
Cool
배성빈
SUNGBIN
박현수
HyunSu
노준현
World
카트바디버스트 (Burst)
선수이명재
DDING
리우창헝
NEAL
김주영
Joker
김지환
Duzzi
카트바디버스트 (Burst)

경기트랙이재혁
Cool
배성빈
SUNGBIN
박현수
HyunSu
노준현
World
이명재
DDING
리우창헝
NEAL
김주영
Joker
김지환
Duzzi
01빌리지 붐힐 터널6th 11st 103rd 54th 48th -12nd 77th 05th 3
02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1st 113rd 158th 44th 82nd 67th 75th 36th 4
03월드 리우 다운힐3rd 165th 187th 42nd 151st 166th 88th 24th 8
04광산 3개의 지름길4th 207th 182nd 116th 161st 263rd 138th 15th 11
05월드 뉴욕 대질주4th 247th 182nd 188th 155th 291st 236th 23rd 16
06광산 꼬불꼬불 다운힐1st 346th 195th 214th 193rd 342nd 307th 28th 15
07포레스트 지그재그6th 357th 198th 201st 295th 374th 343rd 72nd 22
08사막 빙글빙글 공사장2nd 427th 193rd 251st 394th 416th 358th 65th 25
09사막 오래된 송수관2nd 498th 185th 287th 393rd 466th 364th 101st 35
10WKC 코리아 서킷4th 533rd 238th 271st 492nd 537th 365th 136th 36
4위 결정 타이브레이커 NEAL (리우창헝) vs Duzzi (김지환)
TB빌리지 붐힐 터널XX

16강 1경기 결과
순위선수포인트결과
1stDDING53[2위]16강 승자전 진출
R.O. 16 WINNERS' MATCH
2ndCool53[4위]
3rdWorld49
4thNEAL36
[TBW]
5thDuzzi36
[TBL]
16강 패자전 진출
R.O. 16 LOSERS' MATCH
6thHyunSu27
7thSUNGBIN23
8thJoker13

파일:16-A.jpg

  • 자리 배치
HOME SIDEAWAY SIDE
CoolHyunSuDDINGJokerDuzziWorldNEALSUNGBIN

하이라이트 영상
ROUND 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IE-BREAK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ULL 영상

  • 경기 전
미리보는 승자전 라인업이라고 불려도 손색없을 만한 멤버들로 구성된 16강 1경기로 16강 첫 판부터 "죽음의 조" 라인업이 형성되었다. 32강을 압도적으로 통과한 개인전 최강 달인 Cool과 최근 기세가 좋은 SUNGBIN, DDING, 언제나 상수의 기량을 선보이는 HyunSuWorld, NEAL 등 결승 진출 유력후보들이 대거 포진한 조. 여기에 과감한 주행으로 언제나 순위싸움에서 변수를 만드는 Joker와 신인답지 않은 모습으로 팀전에서 맹활약중인 Duzzi까지 있는 만큼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접전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 경기 후
사전 예상대로 미리보는 승자전 라인업이라고 불릴 정도로 8명 선수 모두가 치열한 경쟁을 보여줬으며 정말 오랜만에 10경기라는 장기전 끝에, 심지어 4,5위 타이브레이크가 개막전 이후로도 3경기 연속 치러지는 등 매우 피터지는 경기를 보여주어 팬들의 즐거움을 자아냈다. 이런 와중에 지난 시즌 결승 리거들이 모두 승자전에 갔으며[2] 그 중 1위를 할 거라는 예상이 썩 많지는 않았던 DDING이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3]

  • 선수별 평가
DDING (이명재), Cool (이재혁) - 지난 시즌 결승리거답게 공동 1위를 차지하는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줬다. 첫 트랙 하위권 이후 폭발적으로 점수를 쭉 쌓으며 선두로 치고 올라가다가 두 선수 모두 1위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한 끝에 동률로 경기를 종료했다. 물론 둘 다 잠깐의 위기는 있었으나 이를 노련하게 극복해내어 안정감 있는 주행은 그야말로 백미. 여담으로, 마지막 트랙 순위로 최종 등수가 결정되어 DDING이 인터뷰를 가져갔다.
World (노준현) - 살짝 밀린 감이 없진 않았으나 이번에도 승자전 진출에 성공했다. 분명 중반까지는 패자전으로 내려갈 것으로 유력해보였으나 직잭 1위 이후 각성했는지 점수를 무려 20점이나 몰아먹었다. World는 이제 개인전 결승 단골손님이라고 해도 손색없을 만큼, 승자전에서 결승직행도 노리고 있을 것이다.
NEAL (리우창헝) - 승자전에는 가긴 갔으나 과정만 보자면 NEAL의 경기력 치고는 매우 아쉬웠다. 중반까지는 30점을 쌓으며 여유있게 승자전으로 가나 싶었으나 후반 뒷심이 부족하여 6점을 쌓는데 그쳤고 Duzzi에게 발목을 따라잡히며 타이브레이크까지 끌려갔다. 다행히 1vs1 유경험자답게 Duzzi를 잘 따돌려 간신히 승자전에 갔지만 과정만큼은 결코 NEAL답지 못 했다고 할 수 있겠다.
Duzzi (김지환) - 이번 경기에서 가장 아쉬운 선수일 것이다. 초반까지만 해도 별다른 두각을 못 드러냈으나 중반 이후 포디움에 들며 승자전 진출 경쟁에 합류하기 시작했고 최후반에 NEAL과 동률까지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다만 1vs1 경험이 많지 않은게 원인인지, 잔실수가 많았으며 아쉽게도 눈앞에서 NEAL을 쫓아가는 데 실패해 패자전으로 내려가고 말았다.
HyunSu (박현수) - HyunSu답지 않게 기복이 너무 심한게 패인이었다.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컨디션이 좋지 못 했던 것도 한몫 하겠으나 이 네임드급 선수들 속에서 HyunSu가 생존하기에는 너무나도 벅찼다. 패자전에서는 이를 만회하기 위해 더욱 칼을 갈아올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HyunSu가 승자전 진출에 실패한 것은 32강에서 탈락했던 2020년 시즌 1 이후 약 3년 반만이다.
SUNGBIN (배성빈) - 중후반 뒷심 부족이 발목을 잡았다. 첫 세 트랙까지만 해도 점수를 안정적으로 먹으며 승자전으로 가나 싶었으나 이후 7트랙 간 고작 5점을 쌓는데 그치며 이번에도 다시 패자전으로 내려가고 말았다. 원작을 포함하면서 개인전에서 점점 하향세를 타고 있는 것이 보이고 있어 팬들의 걱정을 사고 있다.
Joker (김주영) - 치열한 라인업 속에서 살아남는 데 한계였다. 송수관 스핀턴을 제외하곤 모든 트랙에서 좀처럼 치고 나가질 못 했거나 존재감이 제일 빈약했다. 다가오는 패자전에서는 지금보다 적응을 많이 해올 필요가 있다.

  • 특이사항 - AWAY 사이드 내의 SUNGBINWorld가 같은 팀 소속으로 인해 둘 사이에 NEAL이 앉아야 한다. 또한 개막전 이후로도 3연속 4,5위 타이브레이크가 펼쳐졌다.[4] 마지막으로 지난주 D조처럼 8명 전원이 버스트로 카트바디를 통일했다.

3. 7월 2일 (일) 16강 2경기[편집]


16강 2경기 선수소개
선수홍성민
Luning
한종문
JJONG
김다원
Hero
문호준
HoJun
유창현
SPEAR
이정민
Most
김우준
Spell
김지민
JiMin
32강
평균 점수
6.25점
(50/8)
5.75점
(46/8)
5.56점
(50/9)
5.44점
(49/9)
4.89점
(44/9)
4.44점
(40/9)
4.38점
(35/8)
4.13점
(33/8)
32강 결과D조 1위D조 2위B조 1위B조 2위B조 3위B조 4위D조 3위D조 4위

사용 카트바디
선수홍성민
Luning
한종문
JJONG
김다원
Hero
문호준
HoJun
카트바디버스트 (Burst)
선수유창현
SPEAR
이정민
Most
김우준
Spell
김지민
JiMin
카트바디버스트 (Burst)

경기트랙홍성민
Luning
한종문
JJONG
김다원
Hero
문호준
HoJun
유창현
SPEAR
이정민
Most
김우준
Spell
김지민
JiMin
01광산 아슬아슬 궤도전차1st 106th 17th 04th 42nd 75th 38th -13rd 5
02포레스트 지그재그1st 206th 23rd 55th 72nd 147th 38th -24th 9
03광산 3개의 지름길7th 203rd 74th 91st 176th 152nd 105th 18th 8
04월드 뉴욕 대질주3rd 257th 72nd 165th 203rd 206th 118th 01st 18
05사막 오래된 송수관1st 354th 115th 197th 202nd 278th 106th 13rd 23
06WKC 브라질 서킷8th 345th 141st 297th 204th 313rd 156th 22nd 30
07광산 꼬불꼬불 다운힐3rd 398th 137th 296th 212nd 384th 191st 125th 33
08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6th 405th 161st 397th 214th 428th 183rd 172nd 40
09빌리지 붐힐 터널4th 447th 165th 423rd 268th 412nd 256th 181st 50

16강 2경기 결과
순위선수포인트결과
1stJiMin5016강 승자전 진출
R.O. 16 WINNERS' MATCH
2ndLuning44
3rdHero42
4thSPEAR41
5thHoJun2616강 패자전 진출
R.O. 16 LOSERS' MATCH
6thMost25
7thSpell18
8thJJONG16

파일:16-B.jpg

  • 자리 배치
HOME SIDEAWAY SIDE
LuningSPEARHeroSpellJiMinMostHoJunJJONG

하이라이트 영상
ROUND 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ULL 영상

  • 경기 전
1경기에 네임드 선수들이 대거 몰리면서 비교적 무게감이 떨어져보이나, 이쪽도 만만찮은 선수들이 결승 진출을 노린다. 예선에 이어 32강에서도 1위를 차지하며 빠른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Luning과 로열로더의 부활을 알리고 있는 Hero, 32강에서도 팀전에서의 임팩트를 이어간 JJONG과 지난 시즌의 아쉬움을 딛고 16강행에 성공한 SPEAR가 포진해있다. 여기에 16강에서 조 2위를 차지하며 부활을 노리는 돌아온 황제 HoJun과 예선의 기세를 이어온 괴물 신인 Most가 있으며, 8인전에서 언제나 안정적인 득점력을 보여주는 JiMin에 원작 리그 이후 32강에서 기대치를 웃도는 활약을 보여준 Spell까지. 사실 1경기에 비해 무게감이 낮아보여서 그렇지 2경기 역시 선수들 간의 기량차가 크지 않다는 평이라 치열한 접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 경기 후
반전이 매우 많은 결과였다. 강력한 승자전 유력 후보로 꼽혔던 HoJun이 패자전으로 강등당하는 충격적인 일이 일어났고 오히려 그 반대로 승자전까지는 가기 힘들 것으로 우려되었던 Luning이 승자전으로 진출하는 대이변이 일어났다. 초반에는 Most, Spell, JJONG을 제외한 나머지 5인이 승자전 자리를 두고 다투다가 중후반 이후로 사실상 상위 4인이 이변없이 승자전 티켓을 거머쥐었다.

  • 선수별 평가
JiMin (김지민) - 선수 생활 첫 승자전 탑 시드를 획득해냈다. 3트랙 8등을 제외하면 한번도 6등 이하 없이 완주해 꾸준히 점수를 잘 쌓으며 상위 4등 내를 계속 유지하다가, 마지막 트랙 Most와의 경합에서 이기며 1등으로 완주, 그대로 경기를 마무리하였다. D조에서는 타이브레이크까지 경험하여 힘겹게 올라온 것에 비해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16강 1,2경기 평균 점수가 가장 높기 때문에 선수생활 첫 승자전 옐로우 레이서가 되었다.
Luning (홍성민) - 슈퍼루키의 연속 승승장구 대행진. 초반에 2연속 1등, 7등 후 2연 포디움으로 일찌감치 진출권에 가까운 포인트를 쌓아두면서 안정적으로 진출에 성공하였다. 후반에 다소 힘이 빠지면서 경기 종합 1등까지 노려볼 수 있던 것을 놓친 것이 아쉬울 수는 있겠으나 팀전에서의 아쉬운 결과를 충분히 떨쳐내는 데에 성공하였다.
Hero (김다원) - 계속 발전해나가는 전작 로열로더. 첫 트랙에서 Spell과 동반 낙하하며 불안한 출발을 했으나 이후 광꼬 7위 한번을 제외하면 전부 중위권 이상의 순위로 완주하면서 안정적인 진출에 성공하였다.
SPEAR (유창현) - 전작에서 보여준 우리가 생각하는 그 SPEAR가 돌아왔다. 1등은 한번도 하지 못했으나, 7~8등도 거의 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진출권에 들었다. 마지막 트랙에서 무리하게 사고를 내어 8등을 해서 종합 순위가 4위로 밀리긴 했으나, 이미 5위 HoJun과의 점수 격차가 멀어 큰 상관은 없었다.
HoJun (문호준) - 후반 뒷심 부족으로 인한 카트리그 황제의 첫 패자조 강등. 어떻게 보면 지난 프리시즌 32강 때와 비슷한 느낌이었다. 초반까지는 상위권으로 완주하며 4위 싸움이 가능했으나, 점수를 챙기기 위해 무리를 하다가 하위권으로 크게 처지는 경우가 자주 보였고, 결국 잦은 7위로 순위가 하락하여 6트랙 동안 6점을 쌓는데 그쳤다. 때문에 4위와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며 마지막 트랙 3위로는 그 격차를 좁힐 수 없었다.
Most (이정민) - 8명 중 존재감이 가장 없었고 후반에 살았지만 너무 늦었다. 초반부에는 존재감이 다소 부족하였으나, 후반에 약간 탄력을 받으며 추격을 시도했다. 다만 8경기에서 상위권으로 잘 가다가 완주 직전에 떨어지며 8등을 하며 추격 가능성은 희미해졌고, 마지막 트랙 1등을 노리며 경기를 길게 가보려 했으나 이 역시 드립이 밀리면서 JiMin에게 내주고 말았다.
Spell (김우준) - 쟁쟁한 라인업 속 생존은 한계가 있었다. 특히 트랙 완주 직전의 경기력이 좋은 모습은 아니었다. 상위권 싸움에서는 자주 보였으나 1트랙의 동반 낙하와 더불어 무리를 하다가 떨어지면서 6트랙까지 도합 2점밖에 먹지 못하며 크게 부진하다가 마지막 세 트랙에서 1등, 3등, 6등을 기록하며 16점을 몰아먹어 총 18점으로 7위에 랭크되어 꼴등에서 벗어났다는 것에만 만족해야 했다.
JJONG (한종문) - 팀전과는 너무 다른 개인전 세상. Most와 마찬가지로 이번 시즌 주목받는 개인전 신인이었으나, 주행 중 순위싸움은 좋아도 어느 순간 아래로 내려가서 결국 최하위로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여담으로 각오에서 ROX 소속 두 선수가 발 맞춰 승자전에 같이 가겠다고 언급했으나 정작 두 명 모두 패자전으로 내려가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했다.

  • 특이사항 - HOME SIDE 내의 Hero, Luning이 같은 팀이기 때문에 SPEARHero와 자리를 바꿔야 한다. 그리고 1경기처럼 모든 선수들이 버스트로 카트바디를 동일하게 탑승했다. 또한 지난 32강에 이어 HoJun, Hero, SPEAR, JiMin사제대결이 성사되었으며 원작 최강자 HoJun평행 세계 최강자 JJONG이 맞붙은 결과 4,5위 타이브레이크 없이 상위권에 안착한 HoJun의 제자 JiMin, SPEAR가 승자전으로 올라가는 이변을 만들어냈다. 마지막으로 16강 2경기 인터뷰가 끝난 후, 특별히 7월 2일 경기에서 인터뷰어로 등장한 Perfect에게 유버스 V1을 실물모형으로 만들어 선물 증정식을 진행했다.

유영혁 선수가 보여준 그동안의 노고에 깊은 감사드립니다. 건강한 모습으로 전역하시어 유버스를 다시 만나길 바라겠습니다.

2023. 07. 02 넥슨 E-Sports팀


4. 7월 8일 (토) 16강 승자전[편집]


16강 승자전 선수소개
선수김지민
JiMin
이명재
DDING
이재혁
Cool
노준현
World
홍성민
Luning
김다원
Hero
유창현
SPEAR
리우창헝
NEAL
16강
순위
2경기 1위1경기 1위[2위]1경기 2위[4위]1경기 3위2경기 2위2경기 3위2경기 4위1경기 4위
16강
평균 점수
5.56점
(50/9)
5.30점
(53/10)
5.30점
(53/10)
4.90점
(49/10)
4.89점
(44/9)
4.67점
(42/9)
4.56점
(41/9)
3.60점
(36/10)

사용 카트바디
선수김지민
JiMin
이명재
DDING
이재혁
Cool
노준현
World
카트바디버스트 (Burst)
선수홍성민
Luning
김다원
Hero
유창현
SPEAR
리우창헝
NEAL
카트바디버스트 (Burst)
광산 수레 (Mine Cart)

경기트랙김지민
JiMin
이명재
DDING
이재혁
Cool
노준현
World
홍성민
Luning
김다원
Hero
유창현
SPEAR
리우창헝
NEAL
01WKC 브라질 서킷4th 46th 11st 105th 37th 02nd 73rd 58th -1
02빌리지 붐힐 터널3rd 91st 115th 136th 44th 47th 78th 42nd 6
03광산 3개의 지름길6th 102nd 187th 135th 73rd 98th 61st 144th 10
04포레스트 지그재그4th 141st 287th 133rd 128th 85th 92nd 216th 11
05광산 아슬아슬 궤도전차8th 136th 297th 134th 163rd 131st 192nd 285th 14
06월드 리우 다운힐2nd 201st 398th 125th 194th 176th 203rd 337th 14
07월드 뉴욕 대질주1st 307th 398th 113rd 242nd 244th 246th 345th 17
08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7th 304th 431st 218th 233rd 296th 252nd 415th 20
09사막 오래된 송수관8th 293rd 481st 316th 244th 332nd 327th 415th 23
10사막 빙글빙글 공사장3rd 344th 527th 311st 348th 326th 335th 442nd 30

16강 승자전 결과
순위선수포인트결과
1stDDING52결승전 진출
Finals
2ndSPEAR44
3rdWorld34[1위]
4thJiMin34[3위]
5thHero3316강 최종전 진출
R.O. 16 Final Match
6thLuning32
7thCool31
8thNEAL30

파일:16-Win.jpg

  • 자리 배치
HOME SIDEAWAY SIDE
JiMinCoolLuningSPEARNEALHeroWorldDDING

하이라이트 영상
ROUND 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ULL 영상

  • 경기 전
16강에서 이변을 몰고 온 선수들이 대거 포진되어 있는 승자조 라인업으로 사실상 기존 강자 vs 슈퍼루키 구도가 성립되었다.
우선, 기존 강자 JiMin, Cool, World, Hero, SPEAR, NEAL 이렇게 총 6명으로 이변 없는 한 이들 중 4명이 생존할 것으로 보이며 결승 진출을 위해 모두가 피터지는 싸움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변수라면 원작부터 JiMin이 곡예사 메타를 타며 최종전으로 강등당하거나 최근 개인전 폼이 좋은 편은 아닌 SPEAR, NEAL이 최종전으로 강등당할 수도 있다는 점.
반면, 신흥 강자들인 DDING, Luning은 개인전에서 의외로 놀라운 모습을 보여주며 꾸역꾸역 생존에 성공했다. 하지만 다른 6명이 이미 "개인전의 달인"들인 만큼, 2명의 선수들도 지금보다 그 이상의 기량을 발휘해야 결승 직행 티켓을 손에 거머쥘 수 있을 것이다.

  • 경기 후
1경기처럼 10트랙을 돌고서야 경기가 끝났다. 심지어 점수 분포도 1,2위로 치고 나가기 시작한 DDING, SPEAR를 제외하고 3위부터 8위까지 1점씩 차이가 나 촘촘히 붙어있을 정도로 점수가 비슷했다. 더 압권인 것은 8위를 차지한 NEAL마저 점수가 30점이었을 만큼 치열했던 것. 원작 카트리그 개인전에서 8위가 평균점수 3점을 획득한 것은 다른 점수제[5]를 사용한 1차리그 때의 최대섭(3라운드 파이널)과 서우석(와일드카드 파이널) 뿐이다. 8명 모두가 수준급 이상의 경기를 보여줬다는 말이며 이중에서도 인지도가 낮은 편이라 아무도 예상 못 했던 DDING이 깜짝 1등을 차지하는 대이변이 일어나고 말았다.

  • 선수별 평가
DDING (이명재) - 전 시즌 결승 블루 레이서가 아닌 이제는 옐로우 레이서가 되었다. 초반 6트랙까지 6-1-2-1-6-1이라는 점수 몰아치기를 하며 일찌감치 생존권 싸움에서 벗어나 옐로우를 다느냐 마느냐의 점수권으로 진입했고, SPEAR와 점수가 가까워지나 했으나 안정적인 포인트 획득으로 1위 수성에 성공, 결승전 탑 시드의 주인이 되었다. 전반적으로 오늘 경기 좋은 모습을 보여준 선수였다.
SPEAR (유창현) - 다시 돌아온 결승리거의 폼. 저번 시즌의 32강 탈락은 대진의 문제였다는 듯 무리 없이 결승 직행을 확정지었다. 중반부의 4연속 포디움으로 다른 선수와 점수 격차를 크게 벌리며 빠르게 결승 진출을 확정지었고 8트랙 2위로 2021-2처럼 옐로우까지 노려볼만 했으나 아쉽게도 뒤 두트랙에서 DDING이 더 포인트를 잘 쌓으며 탑 시드를 획득하는 데 실패했다. 그래도 모처럼 결승 직행에 성공한 것만으로 팬들에게 위안이 되었다.
World (노준현), JiMin (김지민) - 소리 소문 없어보였으나 중후반 뒷심으로 공동 3위에 안착했다. World의 경우 중반부까지는 중하위권에서 4위권 싸움을 하고 있다가 후반에 잠깐 주춤하며 진출에 실패하나 했는데, 오늘 경기 특성상 종합 포인트 최하위도 그리 점수가 멀지 않을 정도로 점수 격차가 촘촘했고 결국 마지막 트랙에서 1위를 하며 극적으로 결승 직행 열차에 탑승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JiMin의 경우 중반부까지 중하위권 선수들에 비해 계속 점수상 우위에 있으며 결승 진출을 일찌감치 확정짓나 싶다가 8-7로 갑자기 무너지며 경쟁권에 합류했는데, 마지막 트랙에서 3위를 하며 앞에서 쌓아둔 포인트가 무색하지 않은 상황을 만들며 결승에 합류했다. 마지막 트랙에서 1위로 골인한 World가 최종 3위를 확정지었다.
Hero (김다원) - 정말 아쉽게도 최종전으로 떨어지며 곡예사 기질이 다시 한 번 더 발휘되었다. 전반적으로 기복이 너무 심했으며 점수를 잘 쌓을 땐 잘 쌓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하위권에 너무 쳐져 있었다. 마지막 트랙에서 5위 안에만 들었다면 결승 직행 성공 가능성이 있었으나 실수를 범하면서 아쉽게 1점 차이로 최종전 탑 시드를 받아야 했다. 여담으로 "그린 시드로 개인전에 임하면 한번도 낙마하는 모습을 보여준 적이 없다"는 Hero그린의 축복이 처음으로 깨졌다.[6]
Luning (홍성민) - 슈퍼루키에게도 죽음의 조는 한계였다. 나름대로 기대하는 시선도 꽤 있었으나, 아쉽게도 늘 가능한 완주 순위보다 조금씩 아래로 완주하며 4위 가시권에서 포인트 우위를 점하는 상황이 잘 오지 않았고, 결국 3위로 잠깐 진출권에 들었다가 4등과 마지막 트랙 8위 완주로 2포인트 차이로 탈락하고 말았다. 그래도 전 시즌 1,2위인 Cool, NEAL을 제 발 밑에 두는 고춧가루를 뿌렸다.
Cool (이재혁) - 2019 시즌 2 승자전의 데자뷰. 첫 두 트랙에서 13점을 먹은 이후 내리 다섯 트랙 동안 7위와 8위만 반복하며 11점으로 뒷걸음질 쳐버렸다. 이후 두 트랙에서 연속 1위를 하며 마지막 한 자리를 극적으로 가져가나 했으나, 자신이 고른 사빙공에서 7위로 완주하며 결국 진출에 실패, 2020-1 이후로 최종전으로 낙마했으며 최종전에서도 똑같이 레드 시드를 받아야 했다.
NEAL (리우창헝) - NEAL답지 않게 존재감이 희미했고 후반에 분발했지만 이미 늦었다. 실제로 이렇게까지 해설진이 NEAL을 부르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나 싶을 정도로 좀처럼 상위권에 올라오지 못하면서 이번 경기에서 가장 적은 횟수로 포디움에 들었고, 나머지 경기에서도 좀처럼 점수를 쌓지 못하며 결승 진출권에는 닿아보지도 못하고 경기를 마무리짓고 말았다. 2022-2 이후 4연속 최종전행인데 혹시 결승전 퍼플을 노리는게 아닌가 싶다는 우스갯소리가 있기도.
  • 특이사항 - 전 경기들처럼 8인 모두 버스트로 통일했지만 NEAL만은 몇몇 트랙에서 광산 수레도 탄 모습이 포착되었다. 16강 경기에서 버스트 이외의 카트바디가 나온 것은 처음이다. 또한 이번 경기가 10트랙 장기전으로 끝내면서 이번 시즌 개인전 10트랙 장기전 2번째로 등극했다. 마지막으로 NEAL, Luning을 제외한 나머지 6인은 최소 1번씩 1위를 가져가는 데 성공했다.그중 제일 재수없는 케이스는 Cool

5. 7월 9일 (일) 16강 패자전[편집]


16강 패자전 선수소개
선수김지환
Duzzi
문호준
HoJun
이정민
Most
박현수
HyunSu
배성빈
SUNGBIN
김우준
Spell
한종문
JJONG
김주영
Joker
16강
순위
1경기 5위2경기 5위2경기 6위1경기 6위1경기 7위2경기 7위2경기 8위1경기 8위
16강
평균 점수
3.60점
(36/10)
2.89점
(26/9)
2.78점
(25/9)
2.70점
(27/10)
2.30점
(23/10)
2.00점
(18/9)
1.78점
(16/9)
1.30점
(13/10)

사용 카트바디
선수김지환
Duzzi
문호준
HoJun
이정민
Most
박현수
HyunSu
카트바디버스트 (Burst)
선수배성빈
SUNGBIN
김우준
Spell
한종문
JJONG
김주영
Joker
카트바디버스트 (Burst)

경기트랙김지환
Duzzi
문호준
HoJun
이정민
Most
박현수
HyunSu
배성빈
SUNGBIN
김우준
Spell
한종문
JJONG
김주영
Joker
01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6th 12nd 73rd 57th 01st 108th -15th 34th 4
02사막 빙글빙글 공사장4th 56th 82nd 128th -17th 103rd 41st 135th 7
03사막 오래된 송수관1st 153rd 132nd 198th -25th 134th 86th 147th 7
04포레스트 지그재그5th 181st 232nd 268th -33rd 187th 86th 154th 11
05월드 뉴욕 대질주4th 222nd 307th 268th -41st 286th 93rd 205th 14
06빌리지 붐힐 터널1st 328th 293rd 315th -12nd 354th 136th 217th 14
07광산 꼬불꼬불 다운힐4th 361st 398th 306th 03rd 407th 132nd 285th 17
08WKC 코리아 서킷2nd 438th 387th 306th 15th 431st 234th 323rd 22
09월드 리우 다운힐1st 533rd 438th 296th 25th 467th 232nd 394th 26

16강 패자전 결과
순위선수포인트결과
1stDuzzi53최종전 진출
R.O. 16 Final Match
2ndSUNGBIN46
3rdHoJun43
4thJJONG39
5thMost29탈락
BE ELIMINATED
6thJoker26
7thSpell23
8thHyunSu2

파일:16-Loser.jpg

  • 자리 배치
HOME SIDEAWAY SIDE
DuzziMostSUNGBINJJONGJokerSpellHyunSuHoJun

하이라이트 영상
ROUND 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ULL 영상

  • 경기 전
이 조도 승자전처럼 기존 강자 vs 신흥 유망주의 대결 구도가 성립되었으며 누가봐도 명성을 봤을 때 패자전과는 제법 거리가 있을 법한 선수들이 의외로 패자전으로 몰려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카트리그 황제 HoJun이나 01년생 선수들인 HyunSu, SUNGBIN은 최근 개인전에서 점점 부진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번 경기의 결과에 따라 커리어나 자존심에 흠집을 제대로 낼 수도 있는 상황이 될 지도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에게는 최종전 진출이 간절한 상황이나 아직은 대부분 여론도 이변없는 한 이 3명이 최종전으로 올라가는 데 문제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 많다.
신흥 유망주 5인이 나머지 최종전 한 자리 티켓을 두고 경합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는데 팀전 에결 종결자로 거듭난 JJONG은 물론 한때 결승리거 Spell, 4-5위 타이브레이크를 2번이나 경험할 정도로 결코 무시 못 할 DuzziHoJun과 같은 센세이션 소속으로 갈수록 성장하고 있는 Joker, 아무도 예상치 못 한 반전을 보여주는 Most까지 있어서 어느 누구가 최종전으로 가는 데 성공할 것이라는 예측을 쉽사리 하기 어렵다.

  • 경기 후
패자전 역시 죽음의 조로 불린 만큼, 승자조 못지 않게 이변의 연속이었다. 전 시즌 옐로우 시드로 결승에 간 HyunSu가 극심하게 부진하여 조 꼴등으로 탈락하였고 아무도 예상 못 했던 Duzzi가 1위를 차지하는 기적이 일어났다.

  • 선수별 평가
Duzzi (김지환) - 아무도 예상 못 한 또 다른 슈퍼루키의 탄생. 첫 2트랙만 해도 두각이 좀처럼 보이지 않다가 송수관부터 각성했다는 듯 점수를 안정적으로 쌓아갔고 마지막 트랙에서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하며 최종전 퍼플 레이서가 되었다. 마치 승자전의 같은 팀 DDING을 보는 듯 한 느낌으로 HyunSu와는 다르게 팀전에서의 패배를 개인전 조 1위로 만회해냈다. 어찌보면 각오에서처럼 타이브레이크 없이 1위를 해보겠다는 약속을 지켜낸 셈.
SUNGBIN (배성빈) - 베테랑 선수다운 포스를 잃지 않고 노련한 주행미를 보여줬다. 잠깐의 위기는 있었으나 꼴등은 단 한번도 하지 않고 점수 그래프에서 보이는 것처럼 Duzzi와 함께 보라색, 노란색의 기울기가 가장 안정적일 정도로 연금메타를 유지하는데 성공, 조 2위로 최종전 그린 레이서가 되었다.
HoJun (문호준) - 돌아온 황제, 그러나 조금은 아쉬운 결말. 조 1위를 노려보긴 했으나 신인 선수들의 미친 활약과 본인 역시 사고에 휘말리는 등 다소 안타까운 장면이 잡혔다. 그럼에도 카트리그 전작 황제의 실력은 여전한지 포디움에 잘 들며 조 3위로 최종전 진출, 9차리그 이후 오랜만에 블루 레이서로 출전하게 되었다.
JJONG (한종문) - 팀전 탑클래스는 개인전에서도 쉽게 죽지 않는다. 하위권으로 쳐지는 기복이 있었으나 7,8위는 적어도 하지 않으며 꾸준히 4위 가시권에 있었고 후반에 2-4-2라는 좋은 순위로 탈락 위기를 간신히 탈출하고 Most를 간신히 밀어내며 4위를 빼앗아 최종전 오렌지 시드를 따냈다.
Most (이정민) - 후반 뒷심 부족이 발목을 잡은 뼈아픈 케이스. 1위를 한 번도 하지 않았음에도 연금메타로 6트랙까지 31점을 쌓았지만 경기가 길어지면서 후반에 힘이 빠졌는지 8-7-8을 찍으며 -2점으로 오히려 DTD를 시전하며 JJONG에게 4위를 내주고 아쉽게도 눈앞에서 최종전행을 놓쳐버렸다.
Joker (김주영) - 존재감, 어느 활약조차 가장 빈약했던 선수. 같은 팀의 HoJun과는 비교가 많이 될 정도였고 해설진 입에서 Joker의 이름이 안 불려질 정도였다. 8트랙 3위 외에는 포디움에 거의 들지도 못 해보고 쓸쓸하게 마무리지었다.
Spell (김우준) - 갈수록 개인전 성적이 부진하고 있으며 2022-1 이후로 모처럼 패자전에서 짐을 싸게 되었다. 초중반까지 Joker처럼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 했으며 상위권 싸움을 하다가도 해설진이 과감하다고 언급할 정도로 무리하는 경우가 유독 많았고 후반 2트랙에서 분발하나 싶었지만 최종전에 가는 데는 턱없이 부족한 포인트였다. 데뷔 당시 최종 16위보다 한 등수 위인 15위로 개인전을 끝내고 말았다. 안타깝지만 팀전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
HyunSu (박현수) - 롯데웅, 정유민, 롯데훈에 뒤이은 788885666 비밀번호를 찍고 말았다. 오 LG의 박현수 COVID-19의 후유증이 아직도 남아있는 것도 핑계라고 불릴 정도로 졸전을 펼쳤고 그나마 양수로 경기를 마친 것에만 만족해야 했다. 개인전 8연속 결승 진출이라는 본인 개인의 기록이 깨졌을 뿐더러, 결승전 6위 징크스는 커녕 1년 전의 개인전 결승에 이어 현 팀전 1위인 LSB 팀 주장의 자존심이 망가지고 말았다. 심지어 각오에서처럼 ByungSu의 곁으로 돌아오게 되는 굴욕까지 겪었다. Duzzi와 다르게 팀전과는 정반대로 대조되는 분위기를 보여준 셈.

  • 특이사항 - 8인 전원이 버스트로 카트바디를 통일했으며 이번 시즌 개인전에서 유달리 선수들이 버스트를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락스 선수들과 샌드박스 소속 HyunSu가 당일 팀전에서 서로 팀과 맞붙었는데 팀전을 승리한 HyunSu가 개인전 꼴등, 락스 2인방 듀오가 개인전에서 1,4위로 생존하는 등 양 팀의 분위기가 절묘한 쪽으로 대조되었다.

6. 7월 16일 (일) 16강 최종전[편집]


16강 최종전 선수소개
선수김다원
Hero
홍성민
Luning
이재혁
Cool
리우창헝
NEAL
김지환
Duzzi
배성빈
SUNGBIN
문호준
HoJun
한종문
JJONG
16강 순위승자전 5위승자전 6위승자전 7위승자전 8위패자전 1위패자전 2위패자전 3위패자전 4위

사용 카트바디
선수김다원
Hero
홍성민
Luning
이재혁
Cool
리우창헝
NEAL
카트바디버스트 (Burst)
선수김지환
Duzzi
배성빈
SUNGBIN
문호준
HoJun
한종문
JJONG
카트바디버스트 (Burst)

경기트랙김다원
Hero
홍성민
Luning
이재혁
Cool
리우창헝
NEAL
김지환
Duzzi
배성빈
SUNGBIN
문호준
HoJun
한종문
JJONG
01광산 꼬불꼬불 다운힐3rd 51st 107th 04th 48th -12nd 76th 15th 3
02포레스트 지그재그2nd 125th 134th 43rd 98th -21st 177th 16th 4
03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7th 123rd 184th 82nd 166th -11st 275th 48th 3
04사막 빙글빙글 공사장3rd 176th 192nd 158th 157th -11st 375th 74th 7
05월드 뉴욕 대질주5th 203rd 241st 252nd 226th 04th 418th 67th 7
06빌리지 붐힐 터널1st 307th 245th 286th 232nd 78th 404th 103rd 12
07광산 아슬아슬 궤도전차6th 312nd 311st 388th 227th 75th 434th 143rd 17
08월드 리우 다운힐7th 314th 352nd 453rd 271st 175th 468th 136th 18
09WKC 코리아 서킷5th 348th 346th 462nd 341st 273rd 517th 134th 22
5위 결정 타이브레이커 Hero (김다원) vs Luning (홍성민) vs NEAL (리우창헝)
TB광산 꼬불꼬불 다운힐패 (3위)승 (2위)X승 (1위)X

32강 D조 결과
순위선수포인트결과
1stSUNGBIN51결승전 진출
Finals
2ndCool46
3rdNEAL34
[TB1]
4thLuning34
[TB2]
5thHero34
[TB3]
탈락
BE ELIMINATED
6thDuzzi27
7thJJONG22
8thHoJun13

파일:16-최종전.jpg

  • 자리 배치
HOME SIDEAWAY SIDE
HeroCoolDuzziHoJunJJONGSUNGBINNEALLuning

하이라이트 영상
ROUND 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IE-BREAK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ULL 영상

  • 경기 전
Hero, NEAL, Cool, HoJun은 KL에서 개인전 우승 경험이 있던 선수들이고, JJONG은 KRPL에서 개인전 우승 경험이 있을 정도로 생각보다 역대 우승자들을 포함한 결승리거 내지 네임드 선수들로 구성된 최종전이 되었는데 이들 중 4명은 결승전도 못 밟고 짐을 싸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2020 시즌1 최종전을 능가하는 역대급 최종전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7]
KL 결승리거 Hero, Cool, NEAL, SUNGBIN, HoJun 5인방은 예상 외로 고전하며 최종전을 거치게 되었는데 큰 이변이 생기는 순간 커리어에 흠집이 날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에 이들은 무조건 결승 진출이 간절한 선수들이며 이 중 대부분은 Hero, Cool, NEAL의 1위 경쟁을 예상하고 SUNGBIN, HoJun이 4위를 두고 다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나머지 3명 JJONG, Luning, Duzzi도 결코 무시할 수는 없는 데다 이 3명도 팀전, 개인전 가리지 않고 슈퍼루키로 등극했으며 최종전에서 얼마나 칼을 갈아오느냐에 따라 결승전에 진출하는 이변을 만들어낼 가능성도 결코 낮진 않다.[8]

  • 경기 후
2022-2 패자전 이후로 3자 타이브레이커가 오랜만에 돌아왔다. 사실상 일찌감치 탈락을 확정지은 Duzzi, JJONG, HoJun을 제외한 나머지 5인이 결승 진출 싸움을 치열하게 했는데 중후반 들어서 1위 자리를 두고 다툰 Cool, SUNGBIN 외에 다른 3명은 결승전 남은 2자리를 차지하는 경쟁구도와 3자 동률까지 성립하게 되었다. 반면 오늘 경기에서 극심한 부진을 보여준 선수는 HoJun인데 원작 리그에서의 황제가 정말 맞나 의심될 수준으로 너무 못 했다.
  • 선수별 평가
SUNGBIN (배성빈) - 개인전 기량 저하는 이제 없다. 소리소문 없이 탈락할 것이라는 예상도 적지 않았지만 2트랙부터 1위를 사수한 끝에 무난하게 최종 1위와 인터뷰를 가져가는 데 성공하여 2022-1 이후 오랜만에 결승전 퍼플 레이서가 되었다. 또한 결승전 라인업 중 유일한 패자전 출신 멤버로서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Cool (이재혁) - 돌아온 개인전 우승자 포스. 살짝 불안하긴 했으나 단 한번도 꼴찌를 하지 않는 착실한 연금메타로 점수 그래프의 붉은색 기울기처럼 안정적인 순위 유지에 성공, 2020-1 이후 결승전 그린 레이서로 돌아오게 되었다. 상위권에서의 모습은 잘 잡히지 않았으나 결승점 골인 시점에서 어느 틈에 순위를 먹고 있는 모습은 친구이자 전 팀 동료 Knock의 "슈퍼 옵저버"를 연상시킬 정도였다.
NEAL (리우창헝) - 탈락의 위기에서 구사일생했다. 1위 한번도 못 하며 결승권과는 거리가 멀어지는 듯 했으나 대신 안정적인 연금메타의 정석을 보여주면서 포인트 관리에 성공했고 3자 타이브레이커에서 Luning을 컨베이어 벨트 구간 역전승을 이뤄낸 끝에 1위로 골인, 선수 커리어 처음으로 퍼플이 아닌 블루 레이서가 되었다. 말그대로 이날 경기는 구사일생, 전화위복이라는 표현이 어울렸다.
Luning (홍성민) - 그 아무도 예상 못 한 다크호스. 초중반부터 점수를 잘 쌓아 사실상 가시권에 들며 결승 진출을 거의 확정지은 상태에서 후발 주자들에게 따라잡혀 타이브레이크까지 가게 되었다. 그래도 원작 리그부터 보여준 퍼포먼스는 죽지 않고 여기서도 발휘되었는지 2위로 골인하여 커리어 최초 결승전 오렌지 레이서로 달리게 되었다.
Hero (김다원) - 타이브레이커의 아쉬운 피해자. 기복이 다소 있었으나 점수는 꾸역꾸역 잘 쌓았고 마지막에서 동률로 인해 타이브레이크까지 치르게 되었는데 시작부터 크게 밀리더니 1, 2위와는 거리가 멀어지며 사실상 짐을 싸게 되었다. 게다가 본인에게만 유독 일어나는 "옐로우 시드의 저주"까지 떨쳐내는 데 실패했다.
Duzzi (김지환) - 초중반까지 바닥을 긁었으나 후반 뒷심으로 고춧가루를 뿌렸다. 그렇다. 말그대로 3자 타이브레이커 성립의 1등공신이 되었다. 분명 음수로 점수를 시작하여 별다른 주목조차 받지도 못 하고 쓸쓸히 잊혀지는 듯 했으나 후반 연속 1위로 순식간에 20점을 올려버렸고 그 유명한 JJONG, HoJun을 자기 발 밑에 두는 유의미한 성과 또한 거두는 데 성공했다.두춧가루
JJONG (한종문) - 결국 맞이하고 만 개인전의 버거운 현실. 좀처럼 치고 올라가는 장면을 찾아볼 수가 없었으며 팀전 플레이오프의 오심 패배가 멘탈에 큰 충격을 준 것으로 보인다. 3위 2번을 제외하고는 HoJun과 함께 하위권에서 맴돌다가 경기를 끝내고 말았다. 아무래도 멘탈 관리와 보완이 필요해보이는 상황.
HoJun (문호준) - 프리시즌 1 32강의 재림, 되살아난 그때의 악몽. 3위 이내로 들어온 라운드가 단 하나도 없었으며, 결국 커리어 최초 조 8위로 경기를 끝내는 최악의 수모를 겪었다. 물론 상위권에서는 왕왕 보이긴 했으나 후반에 어느샌가 뒤로 쳐지거나 스타트부터 뒤로 처지거나 파편을 맞고 내려가서 하위권에서 올라오기 버거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종전을 준비하던 선수 라인업들이 모두가 주행 스타일이 스피드 에이스급 선수들이었다는 것을 감안해도 신흥 에이스고 뭐고 모조리 다 깨부수던 원작에 비해 개인전에서의 기량 저하가 확실히 보이고 있다.

  • 특이사항 - 버스트 카트바디 통일이 지난 패자전에 이어 이번 경기에서도 이뤄졌으며 상술했듯 4,5위 타이브레이크에서 나아가 3자 동률이 이뤄져 "KDL 최초의 3인 타이브레이크"가 이뤄졌다.

7. 16강 정리표[편집]


파일:logo_kartriderleague_w_KDL.png KartRider: Drift League Preseason 2
16강 순위표
경기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1경기DDINGCoolWorldNEAL[TBW]Duzzi[TBL]HyunSuSUNGBINJoker
2경기JiMinLuningHeroSPEARHoJunMostSpellJJONG
승자전DDINGSPEARWorld[1위]JiMin[3위]HeroLuningCoolNEAL
패자전DuzziSUNGBINHoJunJJONGMostJokerSpellHyunSu
최종전SUNGBINCoolNEAL[TB1]Luning[TB2]Hero[TB3]DuzziJJONGHoJun
보라색: 결승 진출 | 파란색: 승자전 진출 | 초록색: 패자전 진출 | 연두색: 최종전 진출 | 빨간색: 탈락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2:49:18에 나무위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개인전/16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참고] 트랙 목록은 규정 참고.[1] A B 마지막 트랙 1위[2위] A B 마지막 트랙 2위[4위] A B 마지막 트랙 4위[TBW] 타이브레이크 승[TBL] 타이브레이크 패[2] 지난 시즌 결승 옐로우 레이서 HyunSu가 패자전으로 내려가는 이변을 제외하면 승자전 진출 멤버 DDING, World, Cool, NEAL 모두가 전 시즌 결승에 참가했다.[3] A B 마지막 트랙 3위[4] 즉, 5경기 중 4경기가 타이브레이크가 성사되었으며 유일하게 타이브레이크가 없었던 B조는 4, 5위간 격차가 16점이라 타이브레이크가 치러지지 않았다.[5] 1위 8점, 2위 7점, ..., 8위 1점, 리타이어 0점[6] 이전에는 그린 시드로 2022-1 32강 조 3위, 16강 조 1위, 결승전 1위를 따내는 등 그린으로 좋은 성적을 거둬왔다.[TB1] 타이브레이크 1위[TB2] 타이브레이크 2위[TB3] 타이브레이크 3위[7] 당시 라인업은 박인수, 전대웅, SUNGBIN, 신종민, 김기수, 최민석, Cool, 박도현 등 누가 결승에 가거나 떨어져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구도였다. 이 중 박웅밥 4인이 결승전으로 진출하긴 했지만.[8] 특히 JJONG은 KRPL의 명실상부 에이스 출신으로 KDL로 넘어오고 ROX 입단 이후로는 본인의 기량 그 이상급으로 보여주며 많은 화제성을 자아내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