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최근 편집일시 : (♥ 0)

||



파일:KDL logo.png파일:KDL logo light.png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KartRider: Drift League Preseason 2
대회 기간2023년 6월 17일 ~ 2023년 7월 23일
주최파일:넥슨 로고.svg[[파일:넥슨 로고 다크.svg
주관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
경기장비타500 아프리카 콜로세움
중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ta-hash-start=w-fb103f2de9a87211848c1521263b9744[[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1]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ta-hash-start=w-1f4477bad7af3616c1f933a02bfabe4e[[파일:미국 영국 국기.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중계진캐스터
ta-hash-start=w-fb103f2de9a87211848c1521263b974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성승헌
ta-hash-start=w-1f4477bad7af3616c1f933a02bfabe4e[[파일:미국 영국 국기.svg-
해설자
ta-hash-start=w-fb103f2de9a87211848c1521263b9744[[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대겸, 정준
ta-hash-start=w-1f4477bad7af3616c1f933a02bfabe4e[[파일:미국 영국 국기.svgWolf, State, Chobra, Peter
분석 데스크 / 인터뷰어
박인재, 최시은
[1] 하지만 트위치의 동시 송출 정책이 변경됨에 따라서 이번 시즌부터는 생방송 송출이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정
[ 펼치기 · 접기 ]

팀전
8강 풀리그6월 17일 ~ 7월 12일
포스트시즌7월 15일 ~ 7월 16일
결승전7월 23일
개인전
32강6월 17일 ~ 6월 25일
16강7월 1일 ~ 7월 16일
결승전7월 22일

결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팀전개인전
미정미정
준우승팀전개인전
미정미정


1. 개요
3. 참가 팀
4. 상금
5. 경기 일정
8. 출전 선수
8.1. 팀전
8.2. 개인전
9. 대회 진행
10. 결과
11. 트랙별 베스트 레코드
12. 여담
12.1. 세대 교체




1. 개요[편집]


KDL Preseason 2 Title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넥슨 코리아가 주최하고, 아프리카 TV가 주관하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2번째 프리시즌 리그.


2. 시즌 전 스토브리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스토브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참가 팀[편집]


||



4. 상금[편집]


파일:Kart_Team_Icon.png팀전순위파일:Kart_Individual_Icon.png개인전
₩ 40,000,000
우승
₩ 10,000,000
₩ 20,000,000준우승₩ 5,000,000
₩ 10,000,0003위₩ 3,000,000
₩ 5,000,0004위각 ₩ 1,000,000
각 ₩ 2,000,0005~8위
₩ 83,000,000합계₩ 23,000,000

5. 경기 일정[편집]


파일:Kart_Team_Icon.png팀전날짜파일:Kart_Individual_Icon.png개인전
오프라인 예선 선발 그랑프리5월 11일(목)
~5월 21일(수)
오프라인 예선 선발 그랑프리
-6월 3일(토)오프라인 예선
오프라인 예선6월 4일(일)-
8강 1, 2경기6월 17일(토)32강 A조
8강 3, 4경기6월 18일(일)32강 B조
8강 5, 6, 7경기6월 21일(수)
8강 8, 9경기6월 24일(토)32강 C조
8강 10, 11경기6월 25일(일)32강 D조
8강 12, 13, 14경기6월 28일(수)
8강 15, 16경기7월 1일(토)16강 1경기
8강 17, 18경기7월 2일(일)16강 2경기
8강 19, 20, 21경기7월 5일(수)
8강 22, 23경기7월 8일(토)16강 승자전
8강 24, 25경기7월 9일(일)16강 패자전
8강 26, 27, 28경기7월 12일(수)
준플레이오프, 결승진출전
7월 15일(토)
플레이오프
7월 16일(일)
16강 최종전
7월 22일(토)
결승전
결승전
7월 23일(일)

6. 오프라인 예선[편집]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오프라인 예선 문서에서 전국 단위 오프라인 예선전 진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일정표는 다음과 같다.

2023.05.15 ~ 2023.05.21예선 참가 신청
2023.06.03 ~ 2023.06.04오프라인 예선

프리시즌 2 대회의 경우에는 5월 11일부터 5월 21일까지 열리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시즌 2 그랑프리 모드에서 기록한 점수를 기반으로 한다.


7. 규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규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출전 선수[편집]



8.1. 팀전[편집]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프리시즌 2 참가팀의 순서를 프리시즌 1의 최종 순위대로 나열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2023_KDL_Preseason 2_Team_KDF.jpg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KWANGDONG FREECS KDF
RUNNERSPEED ACE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성빈
SUNGBIN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혁
Cool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창현
SPEAR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준현
World

[KL]
드디어 창단 이후 5년만에 KDL Preseason 1에서 첫 우승을 달성했다. 비정규 리그 우승이기는 하지만, 광동 프릭스가 정규 리그에서도 우승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굉장히 긍정적인 부분이다. 물론 지난 시즌 디펜딩 챔피언으로써 방심하지 말고 리그 대비를 해야 할 것이다.

프리시즌 1의 멤버들이 모두 잔류했고, 샌드박스와 아우라가 멤버 교체를 겪었기에 팀합 면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 다만 프리시즌 1에서도 아이템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는데, 아이템 확률 패치로 아이템전 메타 변화가 예고된 상황에서 추가 멤버 영입 없이 이를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iiv SANDBOX LSB
HYBRIDSWEEPER 파일:crwn.pngSPEED ACEITEM ACERUNN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민
JiMin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현수
HyunSu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병수
ByungSu

5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승민
Daldda

[KL]
파일:대만 국기.svg 리우창헝
NEAL

[KL]
지난 프리시즌 1에서 광동 프릭스에 밀려 준우승을 한데다, 박인수정승하의 군입대로 인해 전력이 상당히 약화되었다. 에이스 결정전이 불안한 상황도 여전하다. 아직 비정규리그라는 것이 그나마 위안거리이며, 고병수와 홍승민이라는 어느정도 실력이 알려진 선수들을 영입하며 공백도 최대한 메웠다. 다만 고병수가 프리시즌 1에서 아직 원석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줬고, 홍승민은 2021년 이후 군 입대로 인한 공백기가 있어서 실력이 미지수다.[1] 결국 프리시즌 2를 통해 고병수의 성장, 홍승민의 재적응으로 전력을 재정비하고, 박현수나 NEAL이 에이스 결정전 카드로 좀 더 확실한 모습을 보여줌으로서 다가올 정규시즌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

파일:2023_KDL_Preseason 2_Team_ROX.jpg
파일:RoxEsports.png
Seongnam ROX ROX
MIDDLEITEM ACESPEED ACE 파일:crwn.pngSWEEPERHYBR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준
Spell

5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석주엽
PLANZY

4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종문
JJONG

[KRP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진건
VEGA

[KRP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환
Duzzi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명재
DDING

5위[KL]
지난 시즌 ReBoot 소속이었던 이명재가 입단하며 사상 최초로 6인 로스터를 구성했다. 이명재의 경우 개인전에서도 좋은 폼을 보였고 팀전에서도 기복이 적은 편이었기에 팀원들의 부진 및 큰 기복이라는 문제점을 가졌던 ROX의 뒷바라지를 해줄 수 있을 듯 하다.

파일:KDL_Aura_white_logo.png
Aura AR
SWEEPER파일:crwn.pngMIDDLEITEM ACEHYBRIDRUNN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재원
Seize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홍성민
Luning

4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택
Taek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송용준
Knock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다원
Hero

[KL]
지난 시즌 아마추어팀인데도 불구하고 그에 맞지 않은 선수들의 네임드에 맞게 입상을 거머쥐었다. 팀의 약점으로 꼽힌 에이스결정전을 보강하기 위해 프리시즌1 ReBoot의 홍성민을 영입하여 새로운 에결카드를 확보했으며 스피드전에서의 견고함도 더해졌다. 두 시즌 연속 같은 팀원을 유지하고 있고 홍성민의 영입으로 다시 한번 결승진출을 노리게 된 AURA이다.

파일:KDL_Sensation_white_logo.png
Sensation SST
RUNNERSWEEPERSPEED ACE 파일:crwn.pngMIDD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주영
Joker

4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응태
Percent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호준
HoJun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영훈
Guard

[KL]
호기롭게 도전한 드리프트 리그지만 지난 시즌 6위로 탈락의 고배를 마신 문호준이다. 분명 스피드에서는 경쟁력이 있는 팀이지만 아이템전에서는 매우 약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에결에서의 승률도 좋지 않았던 것이 8강 탈락의 원인이었다. 이번 시즌은 고병수의 빈 자리를 메꾸기 위해 김주영이 새로 영입되었다. 김주영 역시 원작리그에서 좋은 활약을 펼쳤고 새로운 에결카드로 활용할 수 있는 만큼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다. 하지만 계속해서 지적되는 아이템전을 보강해야 포스트시즌 진출에 파란불이 켜질 전망이다.


파일:2023_KDL_Preseason 2_Team_ST.jpg
파일:KDL_ShowTime.png
ShowTime ST
----ITEM ACE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기연
Ghost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훈
Feiz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우정윤
Flare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현진
Monster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태웅
Frawn

8위[KL]
윤태웅을 중심으로 신인 선수 네 명이 가세한 팀. 선수들의 면면은 가장 떨어지는 만큼 좋은 성적을 예상하기는 어렵지만, 오프라인 예선에서는 3단계에서 빠르게 통과하며 나름 힘이 있음을 보여줬다. 신인 선수들의 의외성과 잠재성이 얼마나 발현될지가 관건.

파일:2023_KDL_Preseason 2_Team_PO.jpg
파일:KDL_Potential.png
Potential PO
----ITEM A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주호
Best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태민
Taemin

5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해원
Wave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건하
Summer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승민
Banana

★★[KL]
이번에 새롭게 합류한 아마추어팀 가운데는 가장 선수들의 네임밸류가 높은 팀이다. 지난 시즌 FINALE에서 뛰었던 박태민과 정승민과 함께, 본선 경력이 있는 이해원, 황건하와 신인 이주호가 참전한다. 지난 시즌 박태민과 정승민은 팀전에서 경쟁력을 보여줬지만, 이해원과 황건하가 팀전 본선은 처음 나선다는 것은 변수.

파일:KDL_Seraphic.png
Seraphic SRP
----ITEM ACE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태경
Mari

5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재훈
Scarlet

5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식
MINSIK

5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욱
Promise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권순우
Snoopy

6위[KL]

지난 시즌 Planet의 멤버였던 이태경, 김재훈, 신민식과 ReBoot의 아이템 에이스였던 권순우, 그리고 신인 선수 김진욱[2]으로 꾸린 팀이다.


8.2. 개인전[편집]


A조
파일:KDL PRE 2 vaNilla.png
파일:KDL PRE 2 Hong.png
파일:KDL PRE 2 NEAL.png
파일:KDL PRE 2 UmaRu.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현중
vaNilla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홍일
Hong

N/A
파일:대만 국기.svg 리우창헝
NEAL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준호
UMaRu

N/A
파일:KDL PRE 2 Cool.png
파일:KDL_PRE2_ROX_VEGA.png
파일:KDL_PRE2_ROX_Duzzi.png
파일:KDL PRE 2 World.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혁
Cool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진건
VEGA

[KRP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환
Duzzi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준현
World

4위[KL]

B조
파일:KDL PRE 2 SPEAR.png
파일:KDL PRE 2 Most.png
파일:KDL PRE 2 ByungSu.png
파일:KDL PRE 2 MINSIK.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창현
SPEAR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민
Most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병수
ByungSu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식
MINSIK

19위[KL]
파일:KDL PRE 2 Curren.png
파일:KDL PRE 2 HoJun.png
파일:KDL PRE 2 Hero.png
파일:KDL PRE 2 Scarlet.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세준
Curren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호준
HoJun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다원
Hero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재훈
Scarlet

?

C조
파일:KDL PRE 2 Skald.png
파일:KDL_PRE2_ROX_dding.png
파일:KDL PRE 2 SUNGBIN.png
파일:KDL PRE 2 Feiz.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지혁
Skald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명재
DDING

8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성빈
SUNGBIN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훈
Feiz

N/A
파일:KDL PRE 2 Navi.png
파일:KDL PRE 2 Load.png
파일:KDL PRE 2 Joker.png
파일:KDL PRE 2 HyunSu.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승현
Navi

11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정현
Load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주영
Joker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현수
HyunSu

★★[KL]

D조
파일:KDL_PRE2_ROX_JJONG.png
파일:KDL PRE 2 Luning.png
파일:KDL PRE 2 Percent.png
파일:KDL PRE 2 JiMi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종문
JJONG

[*KRPL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성민
Luning

22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응태
Percent

5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민
JiMin

5위[KL]
파일:KDL PRE 2 Cosu.png
파일:KDL PRE 2 Knock.png
파일:KDL_PRE2_ROX_spell.png
파일:KDL PRE 2 Wave.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승래
Cosu

7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용준
Knock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준
Spell

8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해원
Wave

23위[KL]

9. 대회 진행[편집]





9.1. 팀전[편집]



9.1.1. 8강 풀리그[편집]


파일:logo_kartriderleague_w_KDL.png KartRider: Drift League Preseason 2
8강 풀리그 순위표
순위세트
득실
라운드
득실
연속비고
1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ROX61+7+131승
2파일:Liiv SANDBOX 로고.svgLSB61+7+112승준우승
3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KDF43+3+72패[라운드패]
우승
4파일:KDL_Sensation_logo.pngSST43+2+91패
5파일:KDL_Aura_logo.pngAR43-1+42승
6파일:KDL_Seraphic.pngSRP25-3-122승
7파일:KDL_Potential.pngPO16-7-133패
8파일:KDL_ShowTime.pngST16-8-213패[라운드패]
파란색: 결승진출전 진출 | 초록색: 준플레이오프 진출 | 노란색: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팀전/8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1.2. 포스트시즌[편집]


경기일정
결승진출전2023. 7. 15.
준플레이오프2023. 7. 15.
플레이오프2023. 7. 16.
결승전2023. 7. 23.

||
결승진출전 | 준플레이오프플레이오프결승
ROX
1위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0
LSB
2위
파일:Liiv SANDBOX 로고.svg2
07.15 19:00
||<height=45> → ||<|2>

UF
(승자
1
LF
(승자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2
07.23 18:00
||
KDF
3위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2
SST
4위
파일:KDL_Sensation_logo.png1
07.15 18:00
||

UF
(패자
0
LB
(승자
2
07.16 18:00
||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팀전/포스트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1.3. 결승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팀전/결승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2. 개인전[편집]



9.2.1. 32강[편집]


파일:logo_kartriderleague_w_KDL.png KartRider: Drift League Preseason 2
32강 순위표
경기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A조CoolWorldNEALDuzzi
[TBW]
vaNilla
[TBL]
HongUMaRuVEGA
B조HeroHoJunSPEARMostMINSIKByungSuCurrenScarlet
C조SUNGBINHyunSuDDINGJoker
[TBW]
Navi
[TBL]
FeizLoadSkald
D조LuningJJONGSpellJiMin
[TBW]
Knock
[TBL]
CosuPercentWave
파란색: 16강 진출 | 빨간색: 탈락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개인전/32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2.2. 16강[편집]


파일:logo_kartriderleague_w_KDL.png KartRider: Drift League Preseason 2
16강 순위표
경기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1경기DDINGCoolWorldNEAL[TBW]Duzzi[TBL]HyunSuSUNGBINJoker
2경기JiMinLuningHeroSPEARHoJunMostSpellJJONG
승자전DDINGSPEARWorld[1위]JiMin[3위]HeroLuningCoolNEAL
패자전DuzziSUNGBINHoJunJJONGMostJokerSpellHyunSu
최종전SUNGBINCoolNEAL[TB1]Luning[TB2]Hero[TB3]DuzziJJONGHoJun
보라색: 결승 진출 | 파란색: 승자전 진출 | 초록색: 패자전 진출 | 연두색: 최종전 진출 | 빨간색: 탈락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개인전/16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2.3. 결승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개인전/결승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결과[편집]


팀전 순위
최종
순위
풀리그
순위
세트
득실
트랙
득실
상금비고
우승??????₩ 40,000,000결승전 승
준우승??????₩ 20,000,000결승전 패
3위??????₩ 10,000,000플레이오프 패
4위??????₩ 5,000,000준플레이오프 패
5위?????₩ 2,000,000-
6위?????-
7위?????-
8위?????-
파란색: 결승진출전 진출 | 녹색: 준플레이오프 진출 | 분홍색: 진출 실패
5 ~ 8위는 승률 → 세트득실 → 트랙득실 순서대로 나열함.

11. 트랙별 베스트 레코드[편집]


KDL 프리시즌 2 팀전 베스트 레코드
트랙기록 경기선수카트바디상대팀
포레스트 지그재그
월드 뉴욕 대질주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사막 빙글빙글 공사장
빌리지 붐힐 터널
광산 3개의 지름길
WKC 브라질 서킷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팩토리 미완성 5구역
월드 시안 병마용
WKC 일본 서킷
WKC 싱가포르 서킷

KDL 프리시즌 2 개인전 베스트 레코드
트랙기록 경기선수카트바디
포레스트 지그재그
월드 뉴욕 대질주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사막 빙글빙글 공사장
빌리지 붐힐 터널
광산 3개의 지름길
WKC 브라질 서킷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광산 아슬아슬 궤도전차
사막 오래된 송수관
월드 리우 다운힐
WKC 코리아 서킷

12. 여담[편집]





12.1. 세대 교체[편집]


지난 리그인 KDL Preseason 1에서 KRPL 출신 선수 및 신예들이 좋은 모습을 보이며 카트라이더 리그에서 세대교체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1세대 최강자[3] 라인에 있는 문호준, 유영혁, 전대웅, 김승태 중 문호준은 카트라이더 리그에서의 폼의 절반도 내지 못하고 안 좋은 폼을 보이는 중이다. 유영혁은 전성기만큼의 압도적인 폼은 더 이상 찾기 힘들며, 프리시즌 1 개인전이 끝난 후 군 입대로 은퇴를 선언하였다. 전대웅은 이미 선수로서의 황혼기는 아득히 넘었으며,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에 흥미를 보이지 않는 모습을 보여 KDL Preaseason 1에 출전하지 않았다. 김승태는 전작의 2022 수퍼컵 시즌이 끝난 후 바로 군입대하였다. 그렇게 구 BIG 3 및 사대천황 라인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중이다.

2세대 최강자 라인에 있는 이재혁, 박인수, 유창현 세 명도 카트라이더 리그에서의 압도적인 폼과 비교하면 아직은 적응이 더 필요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4] 아직은 리그의 구심점으로 활동하고 있으나, 카트라이더 리그의 한 축을 담당했던 박인수KDL Preseason 1이 끝난 후 병역을 이행하게 되어 세대교체의 과도기를 맞게 되었다.

KDL Preseason 1에 데뷔한 KRPL 출신 한종문이 에결에서 5전 전승을 보이는 등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비선수 출신 김지환이 예상 외의 실력을 보여주었으며, 이명재는 커리어 최초로 개인전 결승에 진출하는 등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포착되었다. 이번 리그부터는 KRPL 선수들 및 온라인 고수들도 리그에 도전할 수 있는 만큼 새로운 3세대 최강자들이 등장하며 세대교체가 완전히 이루어질지 주목해볼 부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06:46:53에 나무위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KL]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_ ` a b c d e f g h i j 카트라이더 리그에서 해당 선수가 거둔 최고의 최종 성적.[1] 하지만 전역 후 프리시즌 1 참가 자격이 있음에도 예선 참여조차 하지 않고 프리시즌 1 종료 이후 LSB에 입단해 복귀를 알린 것을 보면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카트: 드리프트 적응 훈련을 했을 수도 있기에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KRPL] A B C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리그에서 거둔 최고 성적.[2] 온라인에서 약속땅이라는 이름으로 유명한 유저이다.[3] 그나마도 팀전 리그 기준으로 1세대 최강자인 것이다. 구 BIG 3의 경우는 팀전 리그보다 한참 전인 2010년부터 자리잡았지만 개인전 시절까지 합치면 그 문호준도 2세대 이후로 평가받고 전대웅은 사실상 3세대 이후이니..[4] 그러나 개인전 최강자 이재혁은 전 시즌에서도 개인전 우승을 이뤄냈다. 게다가 유창현은 개인전은 그다지 두각을 못 드러내고 있지만 팀전에서 훨씬 더 좋은 폼을 보여주며 팀전 우승을 이뤄냈고, 박인수는 에이스결정전을 제외하면 나쁘지 않은 폼을 보여주었다.이게 적응이 덜 된거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