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터 타이탄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원작 Skibidi Toilet의 타이탄 TV맨에 대한 내용은 타이탄 TV맨 문서
타이탄 TV맨번 문단을
타이탄 TV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카운터 타이탄
Counter Titan
진영알파
첫 등장29-1편
1. 개요
2. 특징
3. 작중 행적
4. 장비
5. 능력
6. 전투력
7. 여담



1. 개요[편집]


Skibidi Toilet Multiverse의 등장인물이자 알파 진영의 타이탄.


2. 특징[편집]


타이탄 중에서 가장 크던 타이탄 드릴맨보다 더 큰 타이탄으로, 이 시리즈의 오리지널 타이탄들처럼 갑옷 형식의 타이탄이다.[1] 추측상 미래의 대형 클락맨이 말한 타이탄들을 학살했다는 괴물이 이 타이탄을 지칭하는 말로 보인다.


3. 작중 행적[편집]


  • 29-1편 : 알파의 부름을 받고 모습을 드러낸다.

  • 29-2편: 본격적으로 타이탄 카메라맨과 타이탄 TV맨과 전투한다. 초반에는 어느정도 밀렸지만 스캔을 끝내고 타이탄 카메라맨의 부스트 해머와 타이탄 TV맨의 블레이드를 복사하며 서서히 압도하고 끝내 타이탄 TV맨의 순간이동 능력을 저지하고 드릴을 타이탄 TV맨의 코어에 꽂아 넣어 죽기 직전까지 몰아붙였다.

4. 장비[편집]




5. 능력[편집]


인지한 상대의 능력이나 장비를 복사하여 사용하는 능력. 사용시 코어에 "Scan Completed"라는 문구가 뜬다.

6. 전투력[편집]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그에 걸맞게 세계관 최상위급의 전투력을 지닌 것으로 추정되었고, 29-2편에서 제대로 된 전투력이 공개되며 상당한 강자임이 드러났다. 타이탄 카메라맨의 숄더 머신건과 부스터 해머엔 전혀 피해를 입지 않고 타이탄 TV맨이 암 블레이드로 수 차례 내려치거나 서포터 TV들이 레이저 집중 포화를 해야 겨우 부분 파손되는 엄청난 내구력을 보였으며, 아예 타이탄 TV맨을 죽기 직전까지 끌고 가는 모습까지 보였다.


7.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Skibidi Toilet Multiverse/등장인물 문서의 r10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Skibidi Toilet Multiverse/등장인물 문서의 r10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3 23:18:45에 나무위키 카운터 타이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체적인 모습은 프레데터와 상당히 유사하며 가슴쪽 코어는 포탈2의 코어 모델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29편 파트 2에서 전신이 공개되었는데, 복부쪽을 포탈2 시리즈에 피-보디 (p-body) 모델을 사용한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