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종환(축구선수)

덤프버전 :

최종환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2e57a6><width=20%> 초대 ||<width=20%> 2대 ||<width=20%> 3대 ||<width=20%> 4대 ||<width=20%> 5대 ||
|| 김현수
(2004) || 임중용
(2005~2008) || 노종건
(2008) || 이준영
(2009) || 전재호
(2010) ||
||<rowbgcolor=#2e57a6>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배효성
(2011) || 정인환
(2012) || 김남일
(2013) || 박태민
(2014) || 유현
(2015) ||
||<rowbgcolor=#2e57a6>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김동석
(2015~2016) || 김도혁
(2017) || 최종환
(2017~2018) || 남준재
(2019) || 정산
(2019) ||
||<rowbgcolor=#2e57a6>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이재성
(2020) || 김호남
(2020) || 김도혁
(2021) ||<bgcolor=#e0ffdb,#073300> 오반석
(2022~ ) || ||




대한민국의 前 축구선수
파일:20170820000025589_1.jpg
이름 최종환
催鍾桓 | Choi Jong-Hoan
출생1987년 8월 12일 (36세)
경기도 부천시
국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신체 조건178cm, 66kg
포지션윙어, 라이트백, 중앙 미드필더
학력계남초 - 역곡중 - 정명고 - 부경대
프로 입단2010년 FC 서울
소속팀울산 현대미포조선 (2007~2009)
FC 서울 (2010~2011)
인천 유나이티드 FC (2012~2018)
상주 상무 (2015~2016 / 군 복무)
서울 이랜드 FC (2019)
수원 FC (2020~2021)
국가대표2경기 (대한민국 U-20 / 2006)

1. 개요
2.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가능성을 인정받던 유망주였으나 부상에 발목을 잡혀 한국 내셔널리그에서 데뷔하였고, 이후 프로로 올라와서 결국 한 구단의 주장을 맡기도 한 선수. 인천에서는 푸른 날개라는 별명으로 주로 불리었다.


2. 경력[편집]



3. 선수 경력[편집]


파일:50434539_2477192135684675_7534566573667778560_n.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최종환/선수 경력#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천 팬들에게는 항상 감사드리는 마음뿐이다.”

- 2018.1.29 인천 UTD 기자단과 인터뷰 中 #



4. 플레이 스타일[편집]


실업 무대인 한국 내셔널리그에서 시작해서 프로까지 올라온 선수인 만큼, 투지가 대단한 선수. 적극적인 모습을 자주 보여줬다. 미드필더로 뛰던 당시에는 다소 부족한 테크닉을 움직임과 활동량으로 메우는 느낌의 선수였고, 2대1 패스와 같은 연계의 측면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풀백으로 전향한 이후에는 윙으로 연습하면서 길러온 자신의 크로스 능력을 살려 공격력이 좋은 풀백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일단 발도 꽤 빠른 편이고 수비수 경험이 아예 없는 선수가 아닌지라 수비적으로도 크게 빈틈을 보이지는 않는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크로스를 얼리 크로스로 처리하고 있는데, 본인의 킥력에 자신감이 붙으면서 자주 시도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노쇠화가 시작된 이후로는 스피드가 죽으면서 수비적으로 아쉬움을 많이 남기고 있다. 원래부터 전문 수비수는 아니어서 손을 쓰는 등 간혹 허점을 드러내곤 했는데, 스피드에서 밀리자 이러한 플레이가 더욱 증가했다. 그리고 스피드와 킥력이 저하되면서 본래의 강점도 많이 퇴색되었다. 간혹 공격 상황에서 패스의 활로를 찾거나 기습적으로 위협적인 크로스를 성공시키는 등 공격 상황에서의 지능적 플레이는 아직 남아있지만, 최종환을 기용하면서 생기는 문제점으로 인해서 결국 서서히 주전에서 밀려나고 말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2:56:43에 나무위키 최종환(축구선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