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유기 RELOAD

덤프버전 : (♥ 0)

최유기 RELOAD (2003~2004)
最遊記 RELOAD
파일:최유기리로드_TVA.jpg
작품 정보 ▼
장르다크 판타지, 모험, 액션
원작미네쿠라 카즈야
감독엔도 테츠야(えんどうてつや)
시리즈 구성
음향 감독
캐릭터 디자인오오타케 노리코(大竹紀子)
미술 감독잇시키 미오(一色美緒)
색채 설계이와미 미카(いわみみか。)
촬영 감독시라이 히사오(白井久男)
편집마츠무라 마사히로(松村正宏)
음악DIMENSION
이케다 다이스케(池田大介)
녹음 연출타카쿠와 하지메(高桑 一)
애니메이션 제작피에로
제작TV 도쿄
덴츠
피에로
방영 기간2003. 10. 02. ~ 2004. 03. 25.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TV 도쿄 / (목) 18: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투니버스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25화
국내 심의 등급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2세 이상 시청가

1. 개요
2. 특징
4. 주제가
4.1. 오프닝
4.2. 엔딩
5. 회차 목록
6. 국내 방영



1. 개요[편집]


스튜디오 피에로가 참여한 두번째 최유기 애니메이션 시리즈. 2003년 10월에 방영되었다.


2. 특징[편집]


처음 이 리로드의 TV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었을 당시만 해도 원작 팬들 사이에서는 환영하는 분위기가 대세였지만, 정작 뚜껑을 열고 보니 몇몇 에피소드를 제외한 스토리가 전부 원작과는 전혀 관계없는 쌩뚱맞은 오리지널 스토리여서 원작과의 연관성 논란이 빚어진데다가, 설상가상으로 작화마저 심각하게 들쑥날쑥하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팬들 사이에서 가장 욕을 얻어먹고 만 TV 시리즈.

환상마전에서 다룬 원작 스토리가 무인편 6권까지였기 때문에, 원작에서 무인편 최종보스였던 이 여기와서야 끝판왕으로 등장한다. 그래서 17화부터 최종화인 25화까지는 무인편 7~9권을 베이스로 했다.[1]

그나마 스토리 정체성 논란과 작화의 질을 보완이라도 하듯 매화(최종화 제외) 차회예고 후에 나오는 짤막한 보너스 코너 '우라사이(うら最, 국내판에서는 최유기 PS)'가 볼만한데, 본편 스토리와는 전혀 동떨어진 개그가 만재한다(...).[2]


3.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최유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편집]



4.1. 오프닝[편집]


RELOAD 오프닝
RELOAD 오프닝 한국어


4.2. 엔딩[편집]


RELOAD 1st 엔딩 ID
RELOAD 1st 엔딩 ID (한국어)
RELOAD 2nd 엔딩 흩날리는 바람 속에서
RELOAD 2nd 엔딩 흩날리는 바람 속에서 (한국어)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제1화弾は再び込められた 〜Run〜
총알은 다시 장전됐다
아사카와 미야
(浅川美也)
엔도 테츠야
(えんどうてつや)
오오타케 노리코
(大竹紀子)
日: 2003.10.02.
韓:
제2화うごめく罠 ~Wanted Dead or Alive~
꿈틀대는 함정
엔도 테츠야야마토 나오미치
(ヤマトナオミチ)
엔도 테츠야
야마토 나오미치오오쿠보 오사무
(大久保 修)
日: 2003.10.09.
韓:
제3화史上最強の敵 〜Lethal Weapon〜
역사상 최강의 적
마치다 토우코콘 치아키오카지마 쿠니토시
(岡嶋国敏)
타나카 마사키
(田中誠輝)
日: 2003.10.16.
韓:
제4화最後の約束 〜Negative Energy〜
최후의 약속
야마구치 노부아키
(山口伸明)
사토 마사후미
(佐藤昌文)
이노우에 아키라
(井上 哲)
日: 2003.10.23.
韓:
제5화眠る思い出 〜Voice〜
잠드는 추억
아사카와 미야이토 마슈
(伊藤真朱)
엔도 유이치
(遠藤裕一)
日: 2003.10.30.
韓:
제6화奪還 〜Sad Memory〜
강탈
콘 치아키오오니시 타카코
(大西貴子)
日: 2003.11.06.
韓:
제7화小さな相棒 〜Little Will〜
작은 파트너
마치다 토우코이와나가 아키라
(岩永 彰)
미야타 나오미
(宮田奈保美)
日: 2003.11.13.
韓:
제8화おいしい料理 〜Poison〜
맛있는 사람
아사카와 미야엔도 테츠야
야마토 나오미치
야마토 나오미치이노우에 아키라日: 2003.11.20.
韓:
제9화落ちない城 〜Self Defense〜
떨어지지 않는 성
마치다 토우코오카지마 쿠니토시아이우 켄스케
(相羽憲介)
신재익
日: 2003.11.27.
韓:
제10화妖怪・玄奘三蔵 〜Trick or Treat〜
요괴 현장법사
아사카와 미야콘 치아키오오니시 타카코日: 2003.12.04.
韓:
제11화優しい面影 〜Mother〜
아름다운 얼굴 모습
야마구치 노부아키시마즈 히로유키
(しまづ聡行)
마츠모토 마사유키
(松本マサユキ)
日: 2003.12.11.
韓:
제12화神隠しの山 〜Tiny Dream〜
신 죽이기의 산
이케다 히데코
(池田日出子)
사토 마사후미
엔도 테츠야
사토 마사후미이카이 카즈유키日: 2003.12.18.
韓:
제13화ほんの小さなちいさなお話 〜Lovely Baby〜
살짝 작고 작은 이야기
야마구치 노부아키이와나가 아키라미야타 나오미
타케우치 아키라
(竹内 昭)
日: 2003.12.25.
韓:
제14화暗闇のささやき 〜Black Crow〜
암흑의 속삭임
이케다 히데코하타케야마 시게키
(畠山茂樹)
핫토리 마스미
(はっとりますみ)
日: 2004.01.08.
韓:
제15화予感 〜Secret Ambition〜
예감
콘 치아키오오니시 타카코日: 2004.01.15.
韓:
제16화あしあと 〜Opposite〜
발자국
야마구치 노부아키시마즈 히로유키오카지마 쿠니토시타나카 마사키日: 2004.01.22.
韓:
제17화叶えられない願い 〜Wish〜
이루어지지 않는 소원
마치다 토우코와타나베 스미오
(渡辺純央)
야마구치 타케시
(山口武志)
日: 2004.01.29.
韓:
제18화哀しい絆 〜Critical Day〜
슬픈 인연
시마즈 히로유키엔도 테츠야야마모토 사와코
(山本佐和子)
日: 2004.02.05.
韓:
제19화カミサマ 〜Farewell〜
신님
이와나가 아키라미야타 나오미日: 2004.02.12.
韓:
제20화序曲 〜Chase〜
서곡
아사카와 미야하타케야마 시게키이카이 카즈유키日: 2004.02.19.
韓:
제21화戦闘 〜Don't Cry〜
전투
오카지마 쿠니토시아이우 켄스케日: 2004.02.26.
韓:
제22화砕かれたもの 〜Pain〜
부숴진 것
야마구치 노부아키콘 치아키오오니시 타카코日: 2004.03.04.
韓:
제23화オレ達のやり方 〜Dawn〜
우리들의 방식
마치다 토우코와타나베 스미오
엔도 테츠야
와타나베 스미오핫토리 마스미
스기후지 사유리
(杉藤さゆり)
日: 2004.03.11.
韓:
제24화再戦 〜Go Ahead〜
재전
야마구치 노부아키이와나가 아키라미야타 나오미日: 2004.03.18.
韓:
제25화決着 〜Nothing to Give〜
결착
시마즈 히로유키이토 마슈야마모토 사와코日: 2004.03.25.
韓:


6. 국내 방영[편집]


한국에서는 2005년 1월 17일부터 투니버스에서 방영하였고 연출은 신길주다. 사실 투니버스에서 방영되기 1년전에 애니원에서 건담시드 더빙 참관 이벤트를 했을때 김정규 피디가 "리로드 판권 투니버스가 사서 애니원에서 안함."이라고 언질해서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었던 사실이라 대다수 팬들은 성우진의 교체가 이뤄질거 같아 걱정했지만 일부 성우진들이 교체되었지만 대다수가 가끔가다 나오는 조연들이고 주역 4인방과 이린의 성우[3]는 그대로이다. 다만 애초에 성덕의 관심사는 주로 주역 4인방에 치중됐기에, 중복이 환상마전보다 적다는 장점 빼고는 김정규 PD보다 신길주 PD가 일을 더 잘한다는 식의 뚜렷한 PD 비교글은 방영 당시엔 딱히 없었다. 홍해아 역을 맡은 최원형과 건락 10화에서 출연한 이종혁을 제외한 모든 조연은 죄다 자사 성우들로 캐스팅했는데 주연은 전부 유지하고 애니원때보다 티나는 중복도 적고 주제가는 여전히 좋아서 신길주 PD의 동인녀설을 제기하는 음모론이 돌기도 했다. 왜 원피스는 성의있게 연출을 안하는건지 이 여담으로 엔딩 크레딧에서 옥면공주의 성우인 이동은동은으로 오타가 난 황당한 방송사고가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최유기/애니메이션 문서의 r7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최유기/애니메이션 문서의 r7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2:22:22에 나무위키 최유기 RELOAD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목은 리로드면서 정작 원작의 리로드 관련 내용은 1~2권 초반 분량 밖에 애니화되지 않았다(...).[2] 국내에서는 더빙판 저팔계의 담당 성우 김승준의 NG 일화가 유명하다.[3] 홍시호, 김영선, 김환진, 김승준과 이린과 옥면공주를 맡았던 김지혜. 여기서는 이린만 맡았고, 옥면공주는 이동은이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