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초계함/국가별 생산 동향

덤프버전 :

분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초계함

세계의 군함 생산 동향
초계함/국가별 생산 동향호위함/국가별 생산 동향구축함/국가별 생산 동향

1. 개요
2. 아시아의 초계함 생산[1]
2.1. 동아시아 3국의 초계함 생산
2.3. 남아시아 3국의 초계함 생산
3. 유럽의 초계함 생산
3.1. 서유럽, 남유럽 5국의 초계함 생산
3.2. 북유럽, 중부유럽, 동유럽 5국의 초계함 생산
4.1.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8국의 초계함 생산
5.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2014년 기준으로 초계함을 가잔 많이 생산하고 있는 국가는 중국이다. 초계함은 군함 중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생산하는 국가도 보유한 국가도 가장 많은 함급이다.


2. 아시아의 초계함 생산[2][편집]



2.1. 동아시아 3국의 초계함 생산[편집]


2008년 이후, 한중일 3국의 초계함 진수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대한민국일본중국
2012년 5월蚌埠/Bengbu(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2년 6월惠州/Huizhou(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2년 7월梅州/Meizhou(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2년 8월大同/Datong(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上饶/Shangrao(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钦州/Qinzhou(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2년 10월百色/Baise(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2년 11월营口/Yingkou(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1월揭阳/Jieyang(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2월吉安/Ji'an(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5월清远/Qingyuan(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6월泉州/Quanzhou(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7월泸州/Luzhou(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8월威海/Weihai(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抚顺/Fushun(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11월미정(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宿迁/Suqian(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미정/(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4년 5월미정(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4년 6월미정(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미정(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4년 7월미정(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2. 동남아시아 5국의 초계함 생산: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베트남[편집]


2008년 이후, 동남아시아 5국의 초계함 진수/인수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인도네시아태국말레이시아필리핀베트남
2008년 6월Frans Kaisiepo(시그마급 9113; 1,692 톤)
2011년 12월Krabi(리버급 원양초계함[3]; 1,700 톤)
2014년 7월John Lie(붕 또모급 초계함[4]; 1,940 톤)
Bung Tomo(붕 또모급 초계함; 1,940 톤)


2.3. 남아시아 3국의 초계함 생산[편집]


2008년 이후, 남아시아 5국의 초계함 진수/인수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2009년 3월Saryu(사리우급 원양초계함[5]; 2,300 톤)
2009년 11월Sunayna(사리우급 원양초계함; 2,300 톤)
2010년 4월Kamorta(카몰타급 초계함; 3,400 톤)
2010년 12월Sumitra(사리우급 원양초계함; 2,300 톤)
2011년 5월Sumedha(사리우급 원양초계함; 2,300 톤)
2011년 10월Kamorta(카몰타급 초계함; 3,400 톤)
2012년 8월Durjoy(Durjoy급 초계함; 650 톤)[6]
2012년 9월Nirmul(Durjoy급 초계함; 650 톤)
2012년 10월Padma(파드마급 원양초계함[7]; 350 톤)
2013년 1월Surma(파드마급 원양초계함; 350 톤)
2013년 3월Kamorta(카몰타급 초계함; 3,400 톤)
2013년 12월 인도받음Aparajeya(파드마급 원양초계함; 350 톤)
2013년 12월 인도받음Adamya(파드마급 원양초계함; 350 톤)
2013년 12월 인도받음Atandra(파드마급 원양초계함; 350 톤)


3. 유럽의 초계함 생산[편집]



3.1. 서유럽, 남유럽 5국의 초계함 생산[편집]


2008년 이후, 서유럽, 남유럽, 5국의 초계함 진수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영국프랑스네덜란드스페인이탈리아
2009년 10월Meteoro(메테오로급; 2,500 톤)
2010년 2월Holland(홀란트급 원양초계함[8]; 3,750 톤)
2010년 5월Rayo(메테오로급; 2,500 톤)
2010년 10월Relámpago(메테오로급; 2,500 톤)
2010년 11월Zeeland(홀란트급 원양초계함; 3,750 톤)
Friesland(홀란트급 원양초계함; 3,750 톤)
2011년 3월Tornado(메테오로급; 2,500 톤)
2011년 4월Groningen(홀란트급 원양초계함; 3,750 톤)
2011년 6월L'Adroit(고윈드급; 1,450 톤)


3.2. 북유럽, 중부유럽, 동유럽 5국의 초계함 생산[편집]


2008년 이후, 북유럽, 중부유럽, 동유럽 5국의 초계함 진수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노르웨이덴마크스웨덴독일러시아
2010년 3월Soobrazitelnyy(스테레구시급; 2,220 톤)
2011년 4월Boikiy(스테레구시급; 2,220 톤)
2011년 5월Volgodonsk(부얀급; 기준 550 톤)
2012년 4월Mahachkala(부얀급; 기준 550 톤)
2012년 5월Stoikiy(스테레구시급; 2,220 톤)
2013년 3월Grad Sviyazhsk(부얀-M급; 949 톤)
2013년 4월Uglich(부얀-M급; 949 톤)
2014년 5월Veliki Ustyug(부얀-M급; 949 톤)


4. 중동[편집]



4.1.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8국의 초계함 생산[편집]


2008년 이후,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8국의 초계함 진수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모로코알제리이집트이스라엘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이란터키
2008년 9월Heybeliada(아다급[9]; 2,400톤)
2010년 7월Tarik Ben Ziyad(시그마급 9813; 2,075톤)
2010년 8월Bir Anzaran(OPV-70[10]; 800톤)
2011년 2월Sultan Moulay Ismail(시그마급 9813; 2,075톤)
2011년 9월Büyükada(아다급; 2,400톤)
2011년 10월Allal Ben Abdellah(시그마급 10513; 2,335톤)


5.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3:50:40에 나무위키 초계함/국가별 생산 동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서아시아 제외[2] 서아시아 제외[3] http://en.wikipedia.org/wiki/River-class_patrol_vessel[4] http://en.wikipedia.org/wiki/Nakhoda_Ragam_class_corvette[5] http://en.wikipedia.org/wiki/Saryu-class_patrol_vessel[6] http://en.wikipedia.org/wiki/Durjoy-class_corvette[7] http://en.wikipedia.org/wiki/Padma-class_patrol_vessel[8] https://en.wikipedia.org/wiki/Holland-class_offshore_patrol_vessels[9] http://en.wikipedia.org/wiki/MILGEM_project[10] http://en.wikipedia.org/wiki/OPV-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