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성공회대학교/역대 총장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성공회대학교

[ 펼치기 · 접기 ]

성 미카엘 신학원장성 미카엘 신학원장[조선성공회신학원장]
초대
세실 H. N. 허지스
서리
헨리 J. 드레이크
초대
세실 H. N. 허지스
초대
세실 H. N. 허지스
서리
헨리 J. 드레이크
성 미카엘 신학원장[조선성공회신학원장]성 미카엘 신학원장성 미카엘 신학원장[청주]성 미카엘 신학원장
제2대
마크 N. 트롤로프
제3대
E. H. 아놀드
제4대
알버트 W. 리
제5대
윌리암 H. C. 퍼셋
제6대
루번 A. 토리 III
성 미카엘 신학원장
제7대
세실 R. 럿트
제8대
김은태
서리
최철희
제9대
최철희
제10대
이천환
성 미카엘 신학원장천신신학교 학장
서리
이근홍
제11대
이근홍
제12대
이천환
제13대
윤환
초대
이제민[평]
천신신학교 학장성공회 신학교 학장성공회 신학대학장
제2대
배두환
제3·4대
정철범
제5대
이재정
초대
이재정
초대
이재정
성공회대학교 총장
초대·2대
이재정
제3·4대
김성수
제5대
양권석
제6·7대
이정구
제8대
김기석
제9대
김경문
윗첨자 [조선성공회신학원장]: 1921~1940?, '성 미카엘 신학교'와 '조선성공회신학교'라는 명칭이 병용됨.
윗첨자 [청주]: 1952~1954, 6.25 전쟁으로 인한 신학원의 임시 이전.



'''{{{#white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 총장}}}'''
聖公會大學校 總長
President of Sungkonghoe University
파일:김경문 이삭 신부.jpg
현임김경문 이사악 총장신부[1] (9대)
취임일2022년 8월 1일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역대 성공회대학교 총장
8대9대현직
김기석 아모스 신부김경문 이사악 신부재직 중
1. 개요
2. 역대 총장
2.1. 성 미카엘 신학원장[2]
2.1.1. 강화도 시대
2.1.2. 인천 시대
2.1.3. 청주시대
2.1.4. 항동캠퍼스 시대
2.2. 천신신학교 학장
2.3. 성공회신학교 학장
2.4. 성공회신학대학장
2.5. 성공회대학교 총장
3. 같이보기



1. 개요[편집]


성공회대학교 총장(聖公會大學校 總長, President of Sungkonghoe University).

2. 역대 총장[편집]



2.1. 성 미카엘 신학원장[3][편집]



2.1.1. 강화도 시대[편집]


  • 세실 헨리 노블 허지스 신부 (허세실, Cecil Henry Noble Hodges) (초대, 1914~1915. 12[4]/1921. 5[5] ~ 1921. 10. 23)
당시 조선교구장이었던 마크 트롤로프 주교에 의해 전도사 교육 및 성직후보자 훈련 담당을 목적으로 초빙되어 1911년 조선으로 오게 된다. 신학원 개원 전까지 교구 업무[6]를 맡기도 하였다. 이후 1915년 안식년으로 본국으로 잠시 귀국한다.

  • 헨리 존 드레이크 신부 (민재은, Henry John Drake) (원장서리, 1918. ~ 1921. 5)[7]
허세실 신부의 원장직을 대리해 예과교육만을 1918년 3차에 걸쳐 3개월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그러나 1차대전의 여파로 허지스 신부의 귀환이 늦어지며 신학원은 사실상 운영이 불가능했다.


2.1.2. 인천 시대[편집]


  • 세실 헨리 노블 허지스 신부 (Cecil Henry Noble Hodges, 허세실) (초대, 1921. 10. 23 ~ 1924. 5)
'조선성공회신학원'이란 명칭으로 재개원한다. 다만, 기존의 '성 미카엘 신학원'이란 명칭도 혼용된다. 그러던 1925년 허지스 신부는 다시 안식년을 위해 본국으로 귀국하였다.[8]

  • 헨리 존 드레이크 신부 (민재은, Henry John Drake) (원장서리, 1924. 5 ~ 1925)


  • 에너스트 아놀드 신부 (안을도, Ernest Henry Arnold) (3대, 1928. 11 ~ 1933. 1. 1)
이 시기부터는 서울과 인천을 오가며 단기교육만을 실시하였다.

  • 성직후보자 양성 단기 교육[9] (1934. 2. 2 ~ 1940. 3. 13[10])

  • 알버트 윌리암 리 신부 (이도암, Albert William Lee) (4대, 1948. 4. 20 ~ 1950. 7. 25)


2.1.3. 청주시대[편집]


  • 윌리암 퍼셋트 신부 (오해리, William Henry Carr Fawcett) (5대, 1952. 4. 19 ~ 1954.)


2.1.4. 항동캠퍼스 시대[편집]




  • 김은태 스테반 신부[11] (8대, 1966. 06. 23. ~ 1968. 07. 10.[12])

  • 최철희 윌리암 신부 (원장서리, 1968. 06. 04. ~ 1969. 10. 02.)

  • 최철희 윌리암 신부 (9대, 1969. 10. 02. ~ 1970. 08. 01.)

  • 이천환 바우로 주교 (10대, 1970. 08. 01. ~ 1971. 11. 11.)

  • 이근홍 누가 신부 (원장서리, 1971. 11. 11. ~ 1972. 02. 08.)

  • 이근홍 누가 신부 (11대, 1972. 02. 08. ~ 1977. 01. 26.)

  • 이천환 바우로 주교 (12대, 1977. 01. 26. ~ 1979. 01. 31.)

  • 윤환 바우로 신부 (13대, 1979. 01. 31. ~ 1982. 03. 11.)


2.2. 천신신학교 학장[편집]


  • 이제민 아브라함 박사[13] (초대, 1982. 03. 11. ~ 1983. 06. 25.)

  • 배두환 마가 주교[14] (2대, 1983. 06. 25. ~ 1984. 04. 27.)

  • 정철범 마태 신부[15] (3~4대, 1984. 04. 27. ~ 1988. 04. 25 / 1988. 04. 25 ~ 1988. 07. 08.)

  • 이재정 요한 신부 (5대, 1988. 10. 27. ~ 1989. 03. 01.)


2.3. 성공회신학교 학장[편집]


  • 이재정 요한 신부(초대, 1989. 03. 01. ~ 1993. 03.)


2.4. 성공회신학대학장[편집]


  • 이재정 요한 신부 (초대, 1993. 03. ~ 1994. 09.)


2.5. 성공회대학교 총장[편집]


  • 이재정 요한 신부 (초대~2대, 1994. 09. ~ 1997. 03. / 1997. 03. ~ 2000.)

  • 김성수 시몬 주교[16] (3~4대, 2000. ~ 2004. / 2004. ~ 2008. 09. 29.)

  • 양권석 예레미야 신부 (5대, 2008. 09. 29. ~ 2012. 09. 26.)

  • 이정구 어거스틴 신부 (6~7대, 2012. 09. 26. ~ 2016. 08. / 2016. 08. ~ 2018. 08. 01.)

  • 김기석 아모스 신부 (8대, 2018. 08. 01. ~ 2022. 08. 01.)

  • 김경문 이사악 신부 (9대, 2022. 08. 01.~)

3. 같이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0:27:22에 나무위키 성공회대학교/역대 총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서울교구 소속 사제.[2] 조선성공회신학원장 포함. 허세실 신부가 안식년을 마치고 본국으로부터 귀환한 후(1921년), 명칭을 '조선성공회신학원'이라고 개칭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성공회신학원'이라는 명칭이 개칭 이후에도 기존의 '성 미카엘 신학원'과 혼용되었다가, 1948년 재 개교때 '조선성공회신학원'이라는 명칭을 폐하고 '성 미카엘 신학원'으로 정식 개칭되었거나, 국내명칭은 '조선성공회신학원'으로 하고, 국외 영문명으로는 계속 'St Michael's Seminary'를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 조선성공회신학원장 포함. 허세실 신부가 안식년을 마치고 본국으로부터 귀환한 후(1921년), 명칭을 '조선성공회신학원'이라고 개칭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성공회신학원'이라는 명칭이 개칭 이후에도 기존의 '성 미카엘 신학원'과 혼용되었다가, 1948년 재 개교때 '조선성공회신학원'이라는 명칭을 폐하고 '성 미카엘 신학원'으로 정식 개칭되었거나, 국내명칭은 '조선성공회신학원'으로 하고, 국외 영문명으로는 계속 'St Michael's Seminary'를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 안식년으로 본국 귀국[5] 조선으로 귀환[6] 수원전도구, 천안전도구 관할사제[7] 신학교의 예과 성격인 전도사 교육 실시[8] 그리곤 다시 돌아오지 않았고, 그는 그의 보고서에서 조선에서의 교육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는 않았다. 다만, 그는 양화진외국인묘원에 묻혔는데, 1926년 서울대성당의 건축과정을 보러 왔다가 폐렴으로 사망했기 때문이다.[9] 아마 신입생들이 있을 때마다 근근이 선교사들이 돌아가며 신학교육을 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0] 신학원 폐원[11] 한국계 미국인이다.[12] 연구 차 도미. 사실상의 임기 종료일이다. 실제 사임일은 '69년 10월 1일.[13] 최초의 평신도 총장[14] 당시 대전교구장[15] 훗날 서울교구장[16] 은퇴 주교 신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