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징광고속철도

덤프버전 :

[ 300km/h ]
[ 250km/h ]
[ 200km/h ]
[ 건설 ]

고속진웨이옌고속철도(진웨이고속철도 · 웨이옌고속철도) · 선잔철도(선장철도) · 팡둥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 · 징강고속철도(징슝상고속철도) · 지다위안고속철도 · 위완고속철도 · 샹징고속철도 · 슝신고속철도 · 룽쿤고속철도 · 위쿤고속철도 · 시옌고속철도 · 시위고속철도 · 구이난고속철도 · 청닝고속철도 · 바오인고속철도 · 청다완고속철도 · 이싱고속철도 · 후위룽고속철도(청위중셴고속철도 · 위이고속철도 · 한이고속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 · 후닝옌장고속철도 · 후쑤후고속철도 · 위샹고속철도(위첸고속철도 · 첸지고속철도 · 이지고속철도) · 라이룽고속철도 · 항원고속철도 · 항취고속철도 · 진젠철도 · 닝화이고속철도 · 판싱철도 · 지빈고속철도 · 판싱고속철도 · 융저우철도 · 항저우공항고속철도 · 퉁쑤자융고속철도 · 항창고속철도(창징황고속철도) · 푸샤고속철도 · 광산고속철도 · 산산고속철도 · 난선고속철도 · 룽룽고속철도 · 하이고속철도 · 츠황고속철도 · 쉬안지고속철도 · 징징고속철도 · 란장고속철도 · 한바난고속철도 · 선바이고속철도 · 허신고속철도 · 광잔고속철도 · 선산고속철도 · 주자오고속철도 · 핑뤄저우고속철도
도시간베이징도시간철도연결선 · 진싱도시간철도 · 화이쑤벙도시간철도 · 화이쑤푸도시간철도 · 스헝창강도시간철도 · 차오마도시간철도
국철1종청란철도(란허철도) · 취리철도 · 팡둥철도 · 루안징철도

[ 계획 ]



파일:중국국가철로그룹 로고.png
京广高速铁路
Beijing-Guangzhou High-Speed Railway
징광고속철도
||
파일:1200px-CR400AF-2031_at_Shoupakou_(20180506093817).jpg

CR400형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고속철도
기점베이징시역
종점광저우난역
역 수45
개업일2011년 12월 26일
소유자파일:chinagov.png
중국 정부
운영자파일:중국국가철로그룹 로고.png
중국 국철
차량기지베이징동차단
정저우동차단
우한동차단
광저우동차단
스자좡동차운용소
창사난동차운용소
사용차량CRH1형 전동차, CRH2형 전동차
CRH3형 전동차, CRH5형 전동차
CRH380형 전동차, CR400형 전동차
노선 제원
노선연장2,291 km
궤간1435mm
선로구성전구간 복선
사용전류교류 25000V 50Hz 가공전차선
폐색방식준 이동폐색
신호장비CTCS-3[1]
최고속도350km/h

1. 개요
2. 공사와 개통
2.1. 개통연혁
3. 운행
4. 역 일람



1. 개요[편집]


징광고속철도는 수도 베이징(京)과 중국 화남지방의 대표 무역도시 광둥성 광저우시(广)를 잇는, 총 연장 2,291k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길이가 긴 고속철도 전용노선으로 반세기전인 1957년에 개통되어[2] 현재까지 중국대륙을 남북종단하는 간선철도노선인 징광철도[3]의 간선열차 기능을 대체한다.

광저우에서 홍콩을 잇는 연장노선인 광선강 고속철도(广深港高铁)의 경우 CRH 계획이 본격화되기 이전부터 존재하던 계획을 CRH 계획에 통합한 것이라 징광고속철도의 다른 구간과는 다른 노선 취급을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베이징시역-광저우난역 구간과 광저우난역-홍콩사이까우룽역 구간의 경우 설계적으로 다른부분이 많은데, 예를 들면 베이징-광저우 구간은 최고곡선반경 9,000m, 최대경사 12‰을 기준으로 지어졌지만 광저우난역 - 푸톈역 구간은 최고곡선반경 7,000m, 최대경사 12‰을 기준으로 지어졌으며, 중국본토를 벗어나는 푸톈역-홍콩사이까우룽역 구간은 이보다 더 선형이 나쁘다.

베이징-우한 구간은 설계최고속도가 350km/h이지만 우한-광저우 구간의 영업최고속도는 310km/h이며, 광저우-선전 구간은 300km/h, 선전-홍콩 구간은 200km/h이다.[4]


2. 공사와 개통[편집]


2000 km가 넘는 초 장거리 구간이기 때문에 베이징-스자좡, 스자좡-우한, 우한-광저우[5] 구간이 제각기 다른 시기에 공사에 들어갔다.

이 중에서 우한역-광저우난역 구간이 가장 먼저 공사에 들어갔고, 나머지 구간도 차차 착공에 들어가 2010년부터 모든 구간에서 공사가 시작되었다. 대부분의 구간은 2~3년 정도의 공사기간을 가지고 공사를 완료했지만 시가지가 많아 지하 및 대심도 터널을 파야 하는 선전베이역-푸톈역 구간이나 푸톈역-싸이까우룽역 구간은 난공사와 지역 민원으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었다. 더불어 홍콩 구간은 고속철도가 홍콩 경제의 중국 의존도를 높여 중국으로의 경제 종속을 가속할 것이라는 일부 홍콩인들의 우려로 인해 강한 정치적 반대에 직면하였다.[6]


2.1. 개통연혁[편집]




3. 운행[편집]


운행체계는 크게 해당 구간을 완주하는 소수의 장거리 열차와 일부 구간만을 운행하는 열차로 이루어진 G편성 및 그보다 느리면서 일부 구간만을 운행하는 D편성이 있다. G편성 중 일부는 해당 노선의 주요 거점에서 시작하여 다른 노선으로 뻗어나가기도 한다.[7]

대체로 특정숫자 이하대의 G열차가 속달을 맡고, 나머지 G열차가 중간 등급의 역할을 맡는 징후고속철도와는 달리 징광고속철도는 그런 패턴이 전혀 없다. 같은 G등급내에서도 정차패턴이 징후고속철도보다 훨씬 뒤죽박죽이며, 장거리 편성이 거의 없고, 구간운행 편성과 타노선 합류 편성이 대부분이다.

베이징시역-정저우동역 간에도 구간편성 일부가 장거리 최속달이라는 베이징-홍콩간 G79/G80 편성보다 정차역이 적은 경우가 있으며, 베이징-광저우를 경유하는 장거리 왕복 5개중 3개는 타다가 피를 볼수 있을정도로 정차역이 많다.

징광고속철도를 넘어 광선강고속철도를 이용해 홍콩까지 다니는 열차도 있는데 너무 노선이 길어서 2023년 현재 베이징시역에서 홍콩사이까우룽역까지 완주하는 열차는 1왕복(G79/G80)뿐이다. G79열차는 베이징시역에서 오전 10시에 출발하며, 홍콩사이까우룽역까지 8시간 31분이 걸린다. 복편인 G80열차는 홍콩사이까우룽역에서 오전 11시에 출발하며, 베이징시역까지 8시간 30분이 소요된다.

광저우-홍콩 구간이야 다른 구간과 특성이 크게 다르니 제외하고 본다고 해도 베이징-광저우를 왕복하는 열차 역시 앞서 언급한 G79/G80 열차를 포함해 5왕복뿐이며, 8시간정도 걸리는 G66편성을 뺀 나머지 3왕복은 장거리 열차임에도 2,3역에 한번꼴로 더럽게 많이 정차해서(...) 9시간에서 10시간정도 걸린다.

그 외의 열차는 일부 구간만을 운행하는 열차로 일부 구간에서 혼잡시간대에는 배차간격이 5-10분 정도일 정도로 열차가 많다. 특히 또 하나의 주요간선인 상하이-광저우 구간도 우한 이남을 공유하여 우한 이남은 배차간격이 조밀하다.

베이징역과 베이징시역 사이 베이징 교외철도 도시행정부중심선이 개통된 후 일부 열차는 이 운행 계통이 지나는 베이징 지하직경선과 직통하여 베이징역으로도 가며, 둥싱선을 따라 베이징역으로 연결되는 징하고속철도와도 연계되기 시작했다. 다만 베이징역으로 가는 열차는 징스여객전용선이라는 하위 운행 계통으로 운행하기에 스자좡역에서 타절한다.


4. 역 일람[편집]


한국어중국어영어영업 거리(km)소재지
베이징시역北京西Beijingxi0베이징시펑타이구
줘저우둥역涿州东Zhuozhoudong59허베이성바오딩시
가오베이뎬둥역高碑店东Gaobeidiandong84
바오딩둥역保定东Baodingdong139
딩저우둥역定州东Dingzhoudong200
정딩공항역正定机场Zhengding Airport244스자좡시
스자좡역石家庄Shijiazhuang280
가오이시역高邑西Gaoyixi323
싱타이둥역邢台东Xingtaidong384싱타이시
한단둥역邯郸东Handandong437한단시
안양둥역安阳东Anyangdong496허난성안양시
허비둥역鹤壁东Hebidong542허비시
신샹둥역新乡东Xinxiangdong595신샹시
정저우둥역郑州东Zhengzhoudong663정저우시
쉬창둥역许昌东Xuchangdong744쉬창시
뤄허시역漯河西Luohexi799뤄허시
주마뎬시역驻马店西Zhumadianxi864주마뎬시
밍강둥역明港东Minggangdong917신양시
신양둥역信阳东Xinyangdong960
샤오간베이역孝感北Xiaoganbei1,024후베이성샤오간시
헝뎬둥역横店东Hengdiandong신호장우한시
우한역武汉Wuhan1,136
우룽촨둥역乌龙泉东Wulongquan East공사중
셴닝베이역咸宁北Xianningbei1,221셴닝시
츠비베이역赤壁北Chibibei1,264
웨양둥역岳阳东Yueyangdong1,346후난성웨양시
미뤄둥역汨罗东Miluodong1,416
창사난역长沙南Changshanan1,484창사시
주저우시역株洲西Zhuzhouxi1,524주저우시
헝산시역衡山西Hengshanxi1,591헝양시
헝양둥역衡阳东Hengshandong1,632
레이양시역耒阳西Leiyangxi1,687
천저우시역郴州西Chenzhouxi1,766천저우시
러창둥역乐昌东Lechangdong1,848광둥성사오관시
사오관역韶关Shaoguan1,896
잉더시역英德西Yingdexi1,966칭위안시
칭위안역清远Qingyuan2,023
광저우베이역广州北Guangzhoubei2,060광저우시
광저우난역[Vibrant]广州南Guangzhounan2,105
광선강고속철도 연결 ▼



[1] Chinese Train Control System. ETCS를 중국 철도환경에 맞게 개량한 일종의 신호시스템.[2] 이전까지 징광철도는 창장(长江)을 경계로 남쪽의 웨한철도(粤汉铁路)와 징한철도(京汉铁路) 둘로 나뉘어 있었는데 1957년 10월 15일 소련의 원조로 우한창장대교가 개통되면서 이들 철도는 징광철도(京广铁路)라는 종단철도노선으로 통합되었다.[3] 베이징-광저우 구간[4] 본토 구간은 CR400이 증속할 여지를 남겨뒀다. 그러나 CRH380이 300km/h로 운행중이고, 현재 운행계통이 복잡해서 증속하지 않는 것 같다.[5] 이 구간은 상하이-난징고속철도와도 연계된다. 우한 한커우역에서 베이징 행과 상하이-난징 행 등이 갈린다.[6] 홍콩은 1997년 중국의 특별행정구가 된 후 향토기업들은 부동산 재벌들만 살아남고 대부분 중국계 기업들이 재벌 자리를 차지하며 이미 중국 경제에 종속되다시피했고 대만구(大灣區)라는 경제공동체로 중국 본토 및 마카오와 한데 묶이며 중국 경제에 대부분을 의존하게 되었다.[7] 예를 들면 광저우-창사-상하이 열차 등으로 우한에서 분기한다.[Vibrant] MTR 소속 동감호(動感號. Vibrant Express) 열차 정차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