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에어/이전 보유 기종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진에어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진에어/보유 기종

1. 개요
2. 이전 보유 기종


1. 개요[편집]


진에어의 이전 보유 기종을 담아놓은 문서.


2. 이전 보유 기종[편집]



2.1. 보잉 737[편집]


파일:HL7555.jpg
보잉 737-86N HL7555
진에어의 두번째 항공기
[1][2]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제작일자퇴역일자기재반납윙렛비고
HL7555보잉737-86N3023099.12.0921.01.28[3][무윙렛]
HL75562861500.01.1421.02.16[4]
HL75572862200.04.2520.06.06[5]
HL75582862500.05.2722.07.15[6]
HL75592862600.06.2320.07.11[7]
HL75632863601.01.0221.01.21[8]
HL75642863801.01.1321.02.05[9][무윙렛]
HL7798737-8Q82823601.01.1619.04.16[10]
HL7565737-8B52998401.04.2621.05.19[11]
HL7567737-86N2864701.06.0320.10.20[12][무윙렛]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진에어 문서의 r107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진에어 문서의 r107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3:13:59에 나무위키 진에어/이전 보유 기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우연찮게도, 이 항공기는 대한항공의 첫 737기이기도 했다.[2] 진에어의 첫 항공기는 HL7558이 먼저 들어왔다.[3] 2021년 1월 28일 LJ913편으로 기체 반납[무윙렛] A B C 무윙렛 기체[4] 2021년 2월 16일 LJ961편으로 기체 반납[5] 2020년 6월 6일 LJ901편으로 기체 반납[6] 2022년 7월 15일 LJ961편으로 기체 반납 / 참고로 이 기체가 최후의 B738의 무윙릿이자 28열 비상구 좌석 기재었다. 이제 후자는 B739다. 이것도 다 퇴역하면 B737 계열에는 무윙릿이 없다. 덤으로 이 기재가 퇴역하면서 28열은 지니 스트레치 좌석으로 전환되었다.[7] 2020년 7월 11일 LJ981편으로 기체 반납[8] 2021년 1월 21일 LJ961편으로 기체 반납[9] 2021년 2월 5일 LJ961편으로 기체 반납[10] 2019년 4월 8일 LJ981편으로 기체 반납[11] 2021년 5월 19일 LJ961편으로 기체 반납[12] 이스타항공으로 송출 후 2020년 10월 기체 반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