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규성)

덤프버전 :

춘추시대 제후
[ 펼치기 · 접기 ]


||<|3><tablewidth=100%><tablebgcolor=#c00><bgcolor=#000> 진(秦) ||<-5><bgcolor=#000080> 진(晉) ||<bgcolor=#6a5acd> 연(燕) ||
||<|2><bgcolor=#da3f3a> 주(周) ||<|2><bgcolor=#f59700><color=#373a3c> 정(鄭) ||<bgcolor=#008080> 위(衛) ||<bgcolor=#db7093> 조(曹) ||<bgcolor=#9acd32><color=#373a3c> 노(魯) ||<|2><bgcolor=#bf2f7b> 제(齊) ||
||<bgcolor=#75a64a> 채(蔡) ||<bgcolor=#808080,#7f7f7f> 진(陳) ||<bgcolor=#0d98ba> 송(宋) ||
||<-5><|2><bgcolor=#008000> 초(楚) ||<-2><bgcolor=#ff0000> 오(吳) ||
||<-2><bgcolor=#8B0000> 월(越) ||
||<-7><#8B0000> 관련 틀: 춘추오패

삼황오제 · · ·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남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1. 개요
2. 상세
2.1. 역사
2.2. 역대 군주


1. 개요[편집]


중국 서주시대부터 존재하던 나라. 수도는 완구였다가 진으로 옮긴다. 국성은 규(嬀), 작위는 공작.

2. 상세[편집]



2.1. 역사[편집]


의 후손 호공 만이 무왕의 맏딸과 결혼해[1] 후작위와 완구 일대를 받았다고 한다.

의 속국이었다. 기원전 599년 찬탈을 이유로 초장왕이 병탄, 신숙시의 설득에 세자였던 오가 진후가 되고 복국된다. 기원전 534년 내란을 틈타 초영왕이 다시 병탄하나 기원전 529년 초영왕을 죽인 초평왕이 애공의 손자 오를 진후로 세워 다시 복국시킨다. 그러나 초가 의 공격과 내전으로 주춤한 사이 진이 배신하자 기원전 479년 초혜왕은 진을 완전히 멸하고 민공을 죽인다.

이후 진의 제후 일족은 친척이 다스리는 제로 망명, 국명을 성으로 삼아 진씨의 시조가 된다.

2.2. 역대 군주[편집]


진(陳) 국군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초대

호공 ||
||<width=20%>
제2대

신공 ||<width=20%>
제3대

상공 ||<width=20%>
제4대

효공 ||<width=20%>
제5대

신공 ||<width=20%>
제6대

유공 ||
||
제7대

희공 ||
제8대

무공 ||
제9대

이공 ||
제10대

평공 ||
제11대

문공 ||
||
제12대

환공 ||
제13대

폐공 ||
제14대

여공 ||
제15대

장공 ||
제16대

선공 ||
||<width=25>
제17대

목공 ||
제18대

공공 ||
제19대

영공 ||
제20대

하징서 ||
제21대

성공 ||
||
제22대

애공 ||
제23대

진군 유 ||
제24대

혜공 ||
제25대

회공 ||
말대

민공 ||
||<-5><bgcolor=#ffffff,#191919> ||
||<-5><bgcolor=#808080,#7f7f7f>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대수시호이름재위기간기타
1호공만(滿)
2신공서후(犀侯)
3상공고양(皋羊)신공의 동생
4효공돌(突)신공의 아들
5신공어융(圉戎)
6유공영(寧)기원전 854-832년
7희공효(孝)기원전 832-796년
8무공영(靈)기원전 796-781년
9이공열(說)기원전 781-778년
10평공섭(燮)기원전 778-755년이공의 동생
11문공어(圉)기원전 755-745년
12환공포(鮑)기원전 745-707년
13[2]기원전 707-706년환공의 동생[3]
14여공[4]약(躍)706-700년환공의 아들[5]
진완의 아버지
15장공임(林)기원전 700-693년여공의 동생
16선공저구(杵臼)기원전 693-648년장공의 동생
17목공관(款)기원전 648-632년
18공공삭(朔)기원전 632-614년
19영공평국(平國)기원전 614-599년[6]
20하징서기원전 599년찬탈[7]
21성공오(午)기원전 598-569년영공의 아들[8]
22애공약(弱)기원전 569-534년[9]
23기원전 534년[10]
24혜공오(吳)기원전 534-506년애공의 손자[11]
25회공유(柳)기원전 506-502년[12]
26민공월(越)기원전 502-479년[13]


[1] 가문이 요임금 이후 대대로 도공으로 일한 것이 백성들의 생활에 큰 도움이 돼 치하의 의미로 딸을 줬다고[2] 폐위되어 시호가 없으나 사마천이 다음 군주와 착각해 여공으로 기록. 현재는 흔히 폐공으로 불린다[3] 세자 면을 죽이고 즉위[4] 폐공과 마찬가지로 기록이 꼬여 이(利)공으로 기록[5] 폐공을 몰아내고 즉위[6] 하징서의 어머니 하희와 간통하는 사이였는데 간신들이 하징서가 영공과 닮았다며 영공의 자식이 아니냐고 해 빡친 하징서에 죽고 태자 오는 에 망명[7] 대부 하어숙과 하희의 아들. 자신을 농락한 영공을 죽이고 찬탈하나 초장왕이 이를 명분으로 진을 멸하고 하징서를 죽인다[8] 신숙시가 장왕을 설득해 복권되나 재위 29년 초를 배신[9] 재위 34년 와병중 동생 초가 태자 사를 죽이고 자신을 포위해 자살[10] 첩의 아들. 공자 초가 세우나 내분을 틈탄 초영왕의 공격에 으로 망명. 진은 다시 멸망한다[11] 초영왕을 죽인 초평왕이 복권[12] 재위 4년 오로 갔다가 예전에 가지 않았다는 이유로 억류되고 사망[13] 재위 23년 초의 내분을 틈타 초를 배신하고 공격하나 다음해 초혜왕은 내분을 진압, 진을 완전히 멸하고 민공을 죽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