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Ⅰ(2015)

덤프버전 : r20170327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7차 교육과정(2006년~2010년 고교 입학생) 지구 과학Ⅰ에 대한 내용은 지구 과학Ⅰ(7차) 문서
지구 과학Ⅰ(7차)번 문단을
지구 과학Ⅰ(7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09 개정 교육과정(2011~2017년 고교 입학생) 지구 과학Ⅰ에 대한 내용은 지구 과학Ⅰ(2009) 문서
지구 과학Ⅰ(2009)번 문단을
지구 과학Ⅰ(2009)#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프로젝트.png
이 문서는 나무위키 교과·수능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문서입니다.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18~'24 高1)
공통 과목
(1학년)
선택 과목
일반 선택진로 선택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ddd;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
{{{#fff [[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통합과학|{{{-1 {{{#000 통합과학}}}}}}]]}}}
{{{#!wiki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cc;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과학탐구실험}}}}}}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ebcfd0;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
{{{#fff [[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Ⅰ|{{{-1 {{{#000 물리학Ⅰ}}}}}}]]}}}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e6e2c2;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화학Ⅰ}}}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be9d2;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
생명과학Ⅰ}}}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bdfe9;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
지구과학Ⅰ}}}}}}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ebcfd0;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
{{{#fff [[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Ⅱ|{{{-1 {{{#000 물리학Ⅱ}}}}}}]]}}}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e6e2c2;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화학Ⅱ}}}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be9d2;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
생명과학Ⅱ}}}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bdfe9;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
지구과학Ⅱ}}}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ddd;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
생활과 과학}}}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cc;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
융합과학}}}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bbb;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5px;"
과학사}}}}}}
※ 고급 물리학,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및 실험 과목은 과학 계열 전문 교과에서 다룬다(해당 둘러보기 틀 참고).
-
■ 이전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 이후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1. 개요
2. 교과 내용
2.1. Ⅰ. 지권의 변동
2.2. Ⅱ. 지구의 역사
2.3. Ⅲ. 대기와 해양의 변화
2.4. Ⅳ.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2.5. Ⅴ. 별과 외계 행성계
2.6. Ⅵ.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 개요[편집]


2009 개정 교육과정보다 지구과학2와의 연계가 강화되었다. 지난 교육과정이 완전히 교양과목이었다면 이번 교육과정은 전공 과목스럽게 짜여져 있는데,
특히 1, 2(지질학) / 5, 6(천문학)단원이 이런 경향이 강화되었다. 3, 4단원도 그렇기는 하지만 지질, 천문쪽보다는 덜한편.

2009 개정 교육과정보다는 2007 교육과정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다. 표기만 붙여 쓰는 것으로 바뀌었을 뿐.

2. 교과 내용[편집]




2.1. Ⅰ. 지권의 변동[편집]



  • 주요 개념 : 대륙 이동과 판구조론, 대륙이동설의 배경과 증거, 해양저확장설, 맨틀대류설, 지질 시대와 대륙 분포,
맨틀 대류와 플룸구조론, 변동대 화성암의 종류

한반도의 지질단원이 지구과학2로 올라가서 깊이있게 배울 수 있게 되었고, 생명가능지대가 천문학 단원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한번도 다루지 않았던 플룸구조론이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다.

2.2. Ⅱ. 지구의 역사[편집]


  • 주요 개념 : 퇴적 구조와 환경, 지질 구조, 지사 해석 방법, 상대 연령과 절대 연령, 지질 시대 환경과 생물, 표준 화석, 시상 화석, 지질 시대 구분

지난 교육과정까지 지구과학2에서 다루었던 지사학 내용을 다루게 되었다. 지질시대를 외우는게 조금 힘들 수도 있지만 지질학 관련 다큐멘터리 같은걸 흥미있게 몇편만 봐도 쉽게 익숙해질 것이다. 주향과, 경사, 한반도의 지체구조 부분은 여전히 지구과학2에서 다룬다.


2.3. Ⅲ. 대기와 해양의 변화[편집]



  • 주요 개념 : 온대 저기압, 이동성 고기압, 기단, 전선, 일기도, 일기 예보, 태풍, 악기상, 해수의 수온, 염분, 해수의 밀도, 용존 산소, 수온-염분도

지난 교육과정에 있었던 생동하는 지구 - 유체지구 단원과 크게 다를게 없다. 해양화학 부분이 지구과학2에서 내려왔다.


2.4. Ⅳ.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편집]



  • 주요 개념 :대기 대순환, 표층 순환, 심층 순환, 열염 순환, 용승과 침강, 엘니뇨와 라니냐, 남방진동,
기후 변화의 요인, 지구 온난화, 온실 효과, 기후 변화 협약


지난 교육과정에서 지구과학2에 있었던 심층 순환, 열염 순환, 용승과 침강, 남방진동이 내려와 기존 지구과학1 위기의 지구 단원과 결합되어 단원별 내용이 좀 더 내용이 연관성 있게 편성되었고, 기후학의 모습을 더 강하게 띄게 되었다.

2.5. Ⅴ. 별과 외계 행성계[편집]



  • 주요 개념 : 별의 물리량, 별의 분광형과 표면 온도, H-R도, 주계열성의 에너지원, 별의 내부 구조 모형, 별의 진화, 별의 종말(백색왜성, 초신성, 중성자성, 블랙홀),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 외계 행성계의 특징,생명가능 지대

천체관측, 태양과 달의 탐사 단원 부분이 삭제되고 지난 교육과정에 있었던 지구과학2의 천체 물리학 내용이 많이 내려왔다. 또, 생명가능지대 내용이 천문학 이 단원으로 옮겨져 외계 행성 탐사 단원을 좀 더 깊이있게 다룰 수 있게 되었다.

2.6. Ⅵ.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편집]



  • 주요 개념 : 은하의 분류, 특이 은하, 충돌 은하, 허블 법칙, 빅뱅(대폭발) 우주론, 우주 배경 복사, 급팽창 우주론, 암흑 에너지와 암흑 물질

기존 지구과학2의 4-3 단원이었던 은하와 우주 내용의 3/4이 내려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