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권-라트비아 관계

덤프버전 : (♥ 0)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라트비아 관계 관련 틀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망명 정부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내몽골 자치구 기.svg
내몽골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png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러시아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내몽골 자치구 기.svg
과거의 대외관계
가야-후한 관계백제-수나라 관계나당관계여요관계고려-금나라 관계
조명관계중소관계
송나라 · 청나라













1. 개요
2. 대만과의 관계
2.1. 단교 이후
2.2. 중국과의 관계 경색 이후
3. 중국과의 관계
3.1. 관계 경색


1. 개요[편집]


중화권라트비아의 외교에 대한 문서이다.


2. 대만과의 관계[편집]


라트비아는 1923년 중화민국과 상호 수교를 했으나, 1940년 라트비아소련에 편입되면서 국교가 단절되었다.[1]

그러다가 1991년 소련으로부터의 독립 직후 대만과 국교를 수립했다. 하지만 1994년 라트비아가 중국과 수교하면서 단교하였으나, 직후 상호 대표부를 설치하였다.


2.1. 단교 이후[편집]


3년만에 단교한 게 미안했는지 라트비아는 대만이 같은 발트 3국에 속하는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와 상호 대표부 관계를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또 2019년 라트비아 정부는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와 함께 대만의 WHO 가입을 지지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2.2. 중국과의 관계 경색 이후[편집]


2022년 라트비아가 리투아니아에 이어 반중 외교를 펼치고 있다. [2]

2017년 조사[3]에 따르면 라트비아의 중국에 대한 호감도는 약 50%대로 에스토니아와 리투아니아보다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친중에 가까웠다.

다만 조사에 의하면 라트비아 국민들은 중국에 대해 55%가 중립적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하며 발트3국중 반중정서가 제일 약했다.# [4]

라트비아도 에스토니아와 마찬가지로 라트비아계 주민들이 러시아계 주민들보다 중국에 대한 위협을 더 느끼는 경향이 강하였다.

이후 라트비아의 반중 외교가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 이후 중국 정부의 강경 입장과 관련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면서 대만을 보는 입장도 많이 좋아졌다. #


3. 중국과의 관계[편집]


중화인민공화국은 라트비아를 1991년 9월 7일 승인하였고, 9월 12일에 외교 관계를 성립한다. #

중국과도 교류가 많지만, 중국이 러시아와 매우 가깝다보니 라트비아도 중국에 대해선 사이가 좋지 못한 편이다. 라트비아는 이웃 국가들과 함께 중국이 주도하는 16+1 동유럽 경제협력체에 가입했다.

다만 리투아니아와 달리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는 중국과 어느정도 협력하고 있다.

3.1. 관계 경색[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화권-리투아니아 관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리투아니아가 2021년 들어 대만과 무역대표부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히자 이에 중국이 반발했다.[5] 이후, 리투아니아는 중국과 중·동 유럽 국가간의 '17+1' 경제 협력체에서 탈퇴한다고 선언했다.#

이에 같은 발트 3국에 위치한 라트비아에도 반중 여론이 생성되기 시작했으며, 결국 2022년 라트비아에스토니아와 함께 중국이 만든 기구 17+1을 탈퇴했다. #

라트비아는 이에 끝나지 않고 또다시 에스토니아와 함께 중국이 지원 중이던 포럼에서도 탈퇴했다. #

탈퇴 이후 라트비아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라트비아는 중·동유럽 국가와 중국 간 협력 틀에 더이상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성명은 그러나 "라트비아는 상호 이익, 국제법 존중, 인권, 국제규칙을 기반으로 중국과 건설적이고 실용적인 양자 관계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물론 EU와 중국 간 협력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후 라트비아 대학의 조사에서 발트 3국과 중국의 관계가 사상 최저점을 기록했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발트 3국 내 중국의 영향력은 커졌으나, 여러 문제로 관계가 악화되었다. #

[1] 물론 중화민국과 소련은 당시 수교국이니 모스크바를 통한 간접 교류도 가능했다. 마찬가지로 당시 중화민국은 일본을 통해 한국과 대만(!)도 간접 교류도 했다.[2] 무작정 반중은 아니고 어느정도 협력은 하고 있다.[3] 위키백과 참조[4] 에스토니아와 리투아니아는 40프로대정도가 중립적인 스탠스를 취하였고 상황상 리투아니아보다는 에스토니아의 반중정서가 약할 것으로 추정된다.[5] 주 리투아니아 타이베이 대표부라면 문제삼지 않았겠지만, 주 리투아니아 대만 대표부라는 것을 문제삼은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중화권-리투아니아 관계 문서의 r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4:18:30에 나무위키 중화권-라트비아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