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앙로(고양)

덤프버전 :

둘러보기 틀 보기
||
[ 펼치기 · 접기 ]

간절1로 · 간절2로 · 간절3로 · 간절4로 · 간절5로 · 간절로 · 간절앞들2로 · 강매로 · 고양시청로 · 공릉천로 · 광명1로 · 광명2로
꽃마을로
능곡로
대덕로 · 대덕산로 · 대양로 · 대주로 · 대터1로 · 대터2로 · 덕수천1로 · 덕수천2로 · 덕양로 · 덕은1로 · 덕은2로 · 덕은3로 · 덕은로 · 도내로 · 도래울1로 · 도래울2로 · 도래울3로 · 도래울로 · 동산1로 · 동산2로 · 동세로 · 동송로 · 동축로 · 동헌로
마상로 · 무민로 · 무원로
백양로 · 벽제관로 · 보광로 · 봉산로 · 북한산로
산황로 · 삼송로 · 삼원로 · 상골1로 · 상골2로 · 서오릉로 · 서정로 · 서정마을1로 · 서정마을2로 · 서정마을로 · 성신로 · 성현로 · 세솔로 · 소만로 · 소원로 · 숯골1로 · 숯골2로 · 숯골3로 · 신원1로 · 신원2로 · 신원3로 · 신원로
싸리골1로 · 싸리골2로
안진1로 · 안진2로 · 안진3로 · 안진로 · 애기능1로 · 애기능2로 · 어울림로 · 오금1로 · 오금2로 · 오금3로 · 오금4로 · 오금로 · 오부자1로 · 오부자2로 · 오부자로 · 용두로 · 용현로 · 원골1로 · 원골3로 · 원당로 · 원흥1로 · 원흥2로 · 원흥3로 · 원흥4로 · 원흥5로 · 으뜸로 · 은빛로 · 읍내로 · 의장로 · 일영로
자유로 · 제2자유로 · 중앙로 · 지도로 · 지정로 · 지축1로 · 지축2로 · 지축3로 · 지축4로 · 지축5로 · 지축로 · 지효1로 · 지효2로 · 지효로
청초로 · 충경로 · 충장로
토당로 · 통일로
평안1로 · 평안2로 · 푸른마을로
항공대학로 · 행당로 · 행신로 · 행주로 · 행주산성로 · 향기1로 · 향기2로 · 향기3로 · 향기4로 · 향기5로 · 향기로 · 향동1로 · 향동로 · 향동아랫말1로 · 향동아랫말2로 · 향동아랫말3로 · 향동아랫말4로 · 향동아랫말5로 · 향뫼1로 · 향뫼2로 · 향뫼3로 · 향뫼로 · 향수골1로 · 향수골2로 · 혜음로 · 호국로 · 호수로 · 화랑로 · 화수로 · 화신로 · 화정로 · 화중로 · 흥도로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중앙로
中央路 | Jungang-ro
↖ 가좌로수색로 ↘
||
기 점종 점
노선 번호
74번 고양시도
기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덕은교삼거리 (서울특별시계)
종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가좌동
연장
18.2km
관리
고양시
왕복 차로 수
6~10차로
주요 경유지
덕양구일산동구일산서구
1. 개요
2. 상세
3. 기타
4. 상세구간
5. 하위항목



1. 개요[편집]


고양시의 주간선 도로. 서울특별시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경계인 덕은교삼거리를 기점으로, 일산서구 가좌사거리를 종점으로 하는 도로이다. 길이 18.2km, 폭 35~40m이다. 대부분 6~8차선이며, 일부 10차선 구간이 있다. 고양종합운동장 사거리에서 고양대로와 교차하며, 덕은교삼거리 이후 수색로와 직결된다.

종로구종로, 강남구테헤란로, 성남시성남대로처럼 고양시의 중앙을 제대로 가르는 핵심 축이다.

2. 상세[편집]


일산신도시 구간은 8~10차선 구간이라 중앙대로라고 명명하는 것이 도로명주소 규정 상에는 맞지만[1], 덕양구 구간의 기존 승전로[2]가 도로명주소 개편으로 중앙로로 편입되면서 6차로 구간도 포함되기 때문에 그대로 '중앙로'가 되었다. 그런데, 고양대로도 차선으로만 치면 왕복 4차로 구간도 있다. 적어도 중앙로는 왕복 4차로 짜리 구간은 없다.

수색~화전~가라뫼 구간[3]을 제외하면 일산신도시 개발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도로였으나, 일산신도시 및 화정지구, 행신지구 개발과 함께 신설된 도로이다.

덕은교삼거리부터 대화역일산서구청사거리까지 중앙버스전용차로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대화역은 제외라서 대화역 가변차로정류소는 항상 사람이 바글바글하다.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생기면서 안 그래도 과속, 폭주로 유명했던 가온누리엠, 명성운수, 신성교통, 고양교통, 신일여객, 서울여객, 제일여객, 서울매일버스, 선진운수, 동해운수, 신촌교통 소속 버스들이 마음놓고 폭주(...)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정확히는 중앙차로에 추월차선도 추가한 것). 제한속도는 60km/h지만 광역급행버스 M7119, 광역급행버스 M7106, 파주 버스 2000은 중앙로를 기본 80km/h로 주파하며, 심하면 100km/h를 넘어가기도 한다.[4]

일산 구간은 일산신도시의 중심 상업지구와 주거지구를 끼고 있으며, 전철과 연계되어 있다. 일산선이 중앙로 지하에 있기 때문.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까지 중앙로에 있다. 일산동구청과 일산서구청도 중앙로에 접해 있다.

다만 덕양구 구간은 베드타운의 성격이 강하며(일부 지역은 그린벨트), 전철역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곳이 거의 없다. 화정역, 원당역, 행신역, 능곡역 등 덕양구 내 주요 역들이 모두 중앙로와는 떨어져 있다.[5] 그나마 대곡역화전역 정도가 중앙로와 인접해 있지만, 여기 승차량을 보면(...) 다만, 고양은평선 행신중앙로역(가칭) 신설 요구가 관철되면 덕양구 구간에서 유일하게 수요가 담보되는 역이 될 예정이다.

고양시(특히 일산신도시)의 중심 상업지구와 주거지구, 고양종합터미널 등 대부분의 시설이 중앙로에 몰려 있어 여러모로 교통 상황이 메롱하지만, 명성운수와 신성교통은 그런 거 다 씹어버리고(...) 마음놓고 폭주한다. 이 도로를 타는 마을버스들까지도 폭주하는 등 여러 모로 고양시 지역 버스들은 이 도로만 오면 제한속도를 사뿐히 무시한다. 그러나 지금은 명성운수 소속 차량들은 리밋을 65km/h로 묶어놔서 거북이가 됐으니 과거 이야기가 된 셈.


3. 기타[편집]


여담으로 일산 구간만 따로 떼어놓고 보면 말그대로 일산신도시의 중심부를 지나기에 '중앙로'라는 이름이 적절하지만, 정작 덕양구 구간, 더 나아가 고양시 전체적으로 보았을 경우 중앙로는 고양시(덕양구)의 남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다. 오히려 이 때는 고양대로(356번 지방도)가 더 중앙로의 의미에 가까워 보인다.

수도권 전철 3호선경의중앙선 대곡역의 환승이 막장환승이 된 이유는 이 도로(중앙로)가 대곡역 바로 옆에 붙어있어서 개념환승을 위해 바로 내려가는 계단 형태로 공사했다가는 중앙로의 이설이 불가피해지고, 그 기간 동안 불편해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다가 공사비용까지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현재의 환승통로가 되었다. 개념환승하려고 통로 만들었다면 고양시의 허리가 한 번 꺾일 뻔했다.

2017년 초 백석역, 고양종합터미널, 일산 와이시티 부근 도로에서 균열이 일어나 중앙로가 마비되기도 했다. 하루만에 복구했지만 또다시 균열이 일어났다.

4. 상세구간[편집]



가좌로 직결
삽다리 방면송포로
대화마을 방면
구산IC 방면송산로
()
덕이동 방면
운정신도시 방면미래로
()
성저공원 방면대화로
()
대화마을 방면
동산동 방면고양대로
(고양종합운동장사거리)
이산포JC 방면
고양우편집중국 방면일산로
(일산서구청사거리)
KINTEX 방면
성저마을 방면킨텍스로
(장촌공원사거리)
킨텍스IC 방면
후곡마을 방면주엽로
(주엽역사거리)
한류월드 방면
일산역 방면강선로
(강선마을사거리)
일산노인종합복지관 방면
봉일천 방면고봉로
(뉴서울쇼핑삼거리)
일산호수공원 방면
일산서구-일산동구 경계[6]
동국대학교[7] 방면무궁화로
(일산경찰서사거리)
호수공원제2주차장 방면
밤가시공원 방면햇살로
()
정발마을 방면정발산로
(일산동구청사거리)
호수공원관리소 방면
식사동 방면백마로
(뉴코아백화점사거리)
장항IC 방면)
노루목로
(마두지구대사거리)
장항공공주택지구 방면
백마마을 방면강촌로
(이마트사거리)
호수마을 방면
백송마을 방면백석로
(안산공원사거리)
백신고등학교 방면
킨텍스 방면일산로
(백석역사거리)
고양우편집중국 방면
금촌역 방면경의로
(백마주유소사거리)
한국예탁결제원 방면
일산동구-덕양구 경계
고양IC 방면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일산IC)
자유로JC 방면
철원 방면호국로
(토당육교교차로)
행주대교 방면
고양어울림누리 방면화중로
(고양경찰서앞)
능곡재정비촉진지구 방면
화중초등학교 방면백양로
()
원릉 방면충장로
(능곡지하차도위사거리)
행신역 방면
화정고등학교 방면화신로
()
소만마을 방면
햇빛마을 방면행신로
(가라뫼사거리)
행주대교 방면
서정마을 방면
(서정마을로)
서정마을로/충경로
무원마을 방면
(충경로)
삼송지구 방면권율대로
(행신교차로)
북로JC 방면
도내동 방면서정로
(서두물사거리)
강매역 방면
항공대학로
(항공대삼거리)
한국항공대학교 방면
창릉동 방면화랑로
(화전역사거리)
화전역 방면
창릉동 방면화랑로
(화전사거리)
향동로향동지구 방면
서울특별시계, 수색로 직결
(덕은교)

5. 하위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8:13:00에 나무위키 중앙로(고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도로명주소 규정에는 왕복 8차로 이상 도로는 '대로'로, 그보다 작은 규모의 도로는 '로'로 명명하도록 되어 있다.[2] 행주산성에서 있었던 임진왜란 당시 행주대첩에서의 승전을 기념하여 지은 이름이다.[3] 과거 398번 지방도로 존재했었다. 여담으로 옛 398번 지방도는 수색~화전역 앞 2차로 도로~가라뫼~행신로~능곡역~삼성당~호수로~무명 2차로 도로(서울 버스 760, 고양 버스 870등이 지나가는 길)~경의로에 해당된다.[4] 주로 교통량이 거의 없는 심야시간대에 벌어진다.[5] 화정역, 능곡역, 행신역의 경우 중앙로에서 도보로 진입하는 것이 어렵지는 않지만, 세 역 모두 최소 1km 이상 떨어져 있어서 절대 가깝다고 할 수 없다.[6] 정확히는 고봉로 자체를 기준으로 서쪽이 일산서구, 동쪽이 일산동구이다. 지역구가 다르기 때문에(...) 한 쪽은 A의원 포스터가 붙여져 있고 한 쪽은 B의원 포스터가 붙여져 있는(...) 풍경도 볼 수 있다.[7] 바이오메디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