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부산)

덤프버전 : (♥ 0)

||


해운대구법정동
중동
中洞 | Jung-dong

광역자치단체부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해운대구
행정표준코드2635010600
관할 행정동중1동, 중2동
하위 행정구역55통 306반
면적2.91㎢
인구42,666명[A]
인구밀도14,661.86명/㎢
1. 개요
2. 관할 행정동
2.1. 중1동
2.2. 중2동
3. 대중교통
3.1. 도시철도
3.2. 시내버스
4. 주요 시설
4.1. 상업
4.2. 숙박
5. 주거
5.1. 아파트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법정동. 1, 2동의 행정동으로 나뉘어진다. 1942년 10월 1일 동래군 남면이 부산부에 편입될 당시 수영출장소 중1정회와 중2정회로 분리되어서 행정동 치고는 상당히 오랜 기원을 갖는다.

어원은 한양에서 봤을 때에 해운대구를 가로질러 흐르는 춘천의 중앙에 있다고 해서 중동이 되었다. 이를 반대로 말하면 해운대의 좌동과 우동은 한양에서 봤을 때에 춘천의 좌측에 있는 곳은 좌동, 춘천의 우측에 있는 곳을 우동이라고 붙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좌동과 우동은 左와 右에서 佐와 佑로 한자가 변경되었지만, 중동은 지금도 中을 쓰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오산동, 대천동, 중동, 좌동 일부가 합쳐 남면 중동리가 되었다. 1942년 수영출장소에 편입되면서 중1정(中一町)과 중2정(中二町)으로 나뉘었다. 1953년 해운대출장소가 설치되면서 중1동, 중2동, 중3동으로 나뉘어졌으나, 1955년 중1동, 중2동을 병합하여 중1동이 되었다. 1957년 1월 구제 실시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로 개편되었다가, 1960년 중3동이 중2동으로 개칭되었다. 1980년 4월에는 해운대출장소가 해운대구로 승격하였고,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이 되었다.[1]


2. 관할 행정동[편집]



2.1. 중1동[편집]


해운대구행정동
중제1동
中第一洞 | Jung 1(il)-dong

광역자치단체부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해운대구
행정표준코드3330028
관할 법정동중동
하위 행정구역34통 205반
면적1.06㎢
인구27,353명[A]
인구밀도25,804.72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해운대구 갑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주진우 (초선)
부산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신정철 (재선)
해운대구의원 | 가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문현신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심윤정 (3선)

행정복지센터중동1로37번길 20[2]
중1동 행정복지센터

관할 법정동은 중동(일부)이다. 해운대 신시가지 외부로 서남부에 위치하고 있는 곳. 해운대해수욕장의 동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 해운대시장, 해운대온천, 미포선착장, 해운대구청이 이곳에 있다.

숙박업소는 시그니엘 부산, 그랜드조선호텔[3], 파라다이스호텔, 팔레드시즈리조트, 토요코인호텔 해운대1점, 리베로호텔, 씨클라우드호텔 등 수 많은 숙박업소가 밀집해있다.

해운대해수욕장을 양분하고 있는 우1동과 함께 대충 '해운대'라고 불리는 곳의 가장 중추적인 곳이며 전반적으로 우1동 남부와 비슷한 분위기이다. 굳이 차이를 찾자면 우1동 남부는 숙박시설이 더 많고 중1동은 맛집(주로 횟집)이 더 많다. 특히 소위 '해운대 맛집'이라 불리는 가게들 상당수가 중1동에 있다. 해운대시장 안에는 어지간한 부산 유명인사 싸인은 다 걸어둔 꼼장어 맛집들도 여럿 있다.

상대적으로 주거지는 별로 없다. 아파트 또한 그리 많지 않고 저층 빌라나 단독주택, 원룸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2000년대 전후로 금호 어울림, SK뷰, 동일 스위트, 두산 위브, 롯데캐슬 마린을 시작으로 2010년대 이후 경남아너스빌, 래미안 해운대, 해운대 롯데캐슬 스타, 해운대 경동리인뷰1차, 쌍용 더 플래티넘 해운대, 그리고 그 유명하면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엘시티[4] 등 아파트 단지들이 들어서고 있다. 국밥 골목, 세이브존, 삼성콘도맨션자리에도 주상복합이 들어설 예정이다. 예전에 주거지가 별로 없었던 것과 달리 요즘은 난개발이라는 말이 심심찮게 나올 정도로 초고층 주거지의 밀도가 높아지고 있다.

해운대해수욕장 동쪽 끝은 미포라는 이름의 작은 어항이 있다. 날씨가 좋으면 여기서 3km정도 떨어진 가까운 거리에 있는 오륙도남구 용호동 오륙도 SK뷰 아파트를 볼 수 있다. 이 미포는 철덕들에게는 유명한 곳인데, 바다가 보이는 건널목인 미포건널목이 있었기 때문이다. 똑같이 바다가 보이는 청사포 건널목보다 더 인지도가 있는데, 날씨가 좋으면 이 건널목의 배경으로 오륙도가 보이기 때문이다. 거기다 영화 해운대에서 등장하면서 꽤 유명한 장소가 되었다. 그러나 2013년 12월 1일 동해남부선이 내륙으로 이설되면서 사라진 풍경이 되었다. 도심을 관통하던 철길은 산책길로, 미포건널목 구간은 2020년 해운대 블루라인파크라는 이름의 관광열차 및 모노레일 노선으로 재탄생하였다.



2.2. 중2동[편집]


해운대구행정동
중제2동
中第二洞 | Jung 2(i)-dong

광역자치단체부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해운대구
행정표준코드3330029
관할 법정동중동
하위 행정구역21통 101반
면적1.85㎢
인구15,313명[A]
인구밀도8,277.30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해운대구 갑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주진우 (초선)
부산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임말숙 (초선)
해운대구의원 | 다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상수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유점자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은영 (재선)

행정복지센터좌동순환로433번길 34[5]
중2동 행정복지센터

파일:attachment/resize_img_2269_nzeozzang.jpg
중1동 쪽에서 바라본 달맞이길 일부 야경. 사진에서 길 오른쪽 부분은 중1동이다.

관할 법정동은 중동(일부)이다. 달맞이 고개[6]추리문학관[7] 둘로 설명이 끝나는 곳. 주거지의 대부분이 달맞이고개 언덕을 깎아서 만들었기 때문에 고저차가 제법 큰 편이다. 인구의 대부분을 부양하던 주공 AID아파트[8]가 헐리고 그 자리에 고층 마천루 아파트인 힐스테이트 위브 아파트가 세워졌다.[9]

그 외에는 호텔, 고급 식당가와 고급 상점, 5층 내외의 아기자기한 빌라촌이 있는데, 신시가지와는 달리 한적해서 은퇴한 노부부들과 성냥갑 아파트가 익숙지 않은 외국인들이 많이 산다. 한때 달맞이 고개 빌라촌은 부촌으로도 유명했었으나, 아파트의 선호도가 높아지며 빌라의 선호도가 자연스럽게 떨어지기도 했고 또 달맞이에 위치한 대부분의 빌라는 연식이 오래되다보니 노후화가 진행되며 매매가도 과거에 비해 상당히 저렴해졌는데, 대형 평형대 빌라들의 평균 매매가가 평당 6~800만원대 선으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다만 평형대가 50평대 이상의 큰 평수가 많고 전망도 좋은 조용한 주거지이다 보니 옛날부터 거주했거나 나이가 많은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사람들이 아직도 꽤 거주하고 있는 편이고 외국인[10]에게도 인기가 있다. 대형 빌라들은 90년대에 지어진 건물들이 많지만 지금도 간간이 레지던스펜트하우스지어지고 있다. 최근, 고급 빌라 전문 업체인 상지건설이 '상지카일룸 해운대'라는 네이밍으로 달맞이 고개에 비서울권 최초로 10여 세대를 분양하고 있다. 2023년 하반기 준공 예정이며, 분양가는 43억~58억이다. 최근, 100억대 주거시설이 연이어 공급되고 있어, 부동산 전문가들과 슈퍼리치들 사이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지역이다.

갤러리, 화랑이 많이 몰려 있는데 부산 전체 갤러리들 중에서 달맞이 고개 갤러리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하다.

소규모 어항인 청사포가 이곳에 있다. 이 청사포를 지나는 동해남부선 구간은 철덕들의 사진 찍는 포인트로 유명했다. 청사포 건널목도 미포건널목과 같이 바다가 보이는 장소인데다, 포구 끝에 있는 선로와 바다 사이의 군 초소 터에서 바다와 함께 곡선을 달리는 열차를 손쉽게 담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유명한 포인트는 2013년 12월 2일 동해남부선 이설과 함께 사라졌다.

그대신 철로를 시민들에게 개방하여 해운대 해수욕장과 청사포를 연결하는 산책로로 조성하였다. 이후 해당 철로 부지는 관광객을 위한 해변열차와 스카이 캡슐에 사용되었는데, 이것이 해운대 블루라인파크이다. 이후 청사포에 카페와 식당이 생기는 등 유동인구가 과거에 비해 많이 늘어났다.
청사포 등대와 청사포 다릿돌 전망대가 유명하다.


3. 대중교통[편집]



3.1. 도시철도[편집]




3.2. 시내버스[편집]




4. 주요 시설[편집]



4.1. 상업[편집]




4.2. 숙박[편집]


  • 시그니엘 부산
  • 파라다이스 호텔
  • 그랜드 조선 호텔
  • 리베로호텔
  • 토요코인 해운대1점
  • 팔레드시즈
  • 씨클라우드 호텔
  • 코오롱 씨클라우드 호텔
  • 베스트웨스턴호텔
  • 베니키아호텔
  • 일루아호텔
  • 엘시티레지던스
  • 영무건설 해운대 영무파라드호텔


5. 주거[편집]



5.1. 아파트[편집]


아파트명도로명주소입주일자세대수구성 면적(평)
경동메르빌골드달맞이길65번길 892007.11.094637~55
공림비치힐달맞이길117번다길 542003.09.021226~30
그린힐1차달맞이길 2212004.07.221723~40
그린힐2차달맞이길 2152004.11.121422~58
달맞이 경동 메르빌달맞이길65번길 12-122002.10.2631525~58
달맞이 동오가인달맞이길117번다길 1112016.12.19820~24
달맞이 베네치아달맞이길 1272003.01.161913~50
달맞이아르미안달맞이길65번길 1002014.05.233645~58
달맞이 우성빌라트달맞이길 239-111995.05.2718120~57
대림맨션해운대해변로 3021975.12.30389~14
대림비치해운대해변로 2951977.08.189816~23
대림엠파이어달맞이길117번가길 381992.12.141824~48
대주자유중동1로17번길 10-171995.05.045422~32
동남하이츠맨션좌동순환로468번가길 541993.07.267420~27
동보하이츠달맞이길117번가길 1901991.09.041852~56
동부문달맞이길65번길 1411997.03.071053
동부스타달맞이길65번길 1291997.12.121757~58
동부썬달맞이길65번길 1511993.11.061952~54
디아트달맞이길117번나길 133-32019.01.171029
래미안 해운대좌동순환로 4022014.05.2774524~53
럭키골든스위트해운대해변로 3462019.12.0610020~33
해운대 롯데캐슬 마린중동2로34번길 292004.10.1179233~47
마마좌동순환로 4051990.04.099030~45
마이하우스달맞이길 2252016.01.05434
모닝힐달맞이길117번가길 2222002.07.261113~18
반석2차아파트달맞이길117번나길 231992.03.071856~58
백송좌동순환로 4572004.05.276513~102
벼리재달맞이길117번다길 1872018.11.23721~29
백조달맞이길 16-121976.08.043411~18
벨로스달맞이길117번나길 1512004.02.051419~30
벽산첼시빌달맞이길117번다길 661999.11.221956
보현달맞이길117번나길 1552000.12.171033
뷔센하우스달맞이길117번가길 107-302006.07.211978
삼강해운대해변로298번길 9-11983.12.061316~18
삼성콘도맨션해운대해변로 3341985.09.0911422~34
삼성타워좌동순환로 4111994.10.205421~25
삼안1차달맞이길117번다길 1391990.01.178318
삼안2차달맞이길117번다길 1161990.03.287117
삼안리젠시3차달맞이길117번다길 281990.12.311261~70
삼안리젠시5차달맞이길117번가길 107-41990.07.24853~65
삼안리젠시6차달맞이길117번나길 103-11993.08.161842~44
삼안스튜디오2000달맞이길117번다길 42-221995.10.196018
삼주좌동순환로446번길 571992.02.014832~47
상림팰리스달맞이길117번가길 120-242003.02.211043~44
선진뷰달맞이길117번다길 1062003.02.211043~44
성완아이렉스중동2로10번길 32-152001.10.091511~15
성우맨션좌동순환로446번길 19-11981.07.234120~43
스카이파크1차달맞이길117번라길 221991.04.183530~45
스카이파크2차달맞이길117번라길 281991.02.201135~55
스카이파크3차달맞이길117번길 711992.09.221722~49
신화코스탈달맞이길117번다길 781992.07.09845~55
아남하이츠4차달맞이길117번가길 31990.10.101260~79
아크로뷰우동3로 42004.03.262088~10
에스엘하우스달맞이길117번가길 2162007.02.161253~55
엘리트달맞이길117번나길 1661997.09.121854~58
해운대 엘시티 더샵달맞이길 302019.11.2988258~97
온천맨션해운대해변로 329-101976.05.213022
이진달맞이길117번다길 331989.05.2610825~29
정목, 순호카사해운대로 6772003.12.123028~29
준원빌리지달맞이길117번나길 175-131992.04.101614~22
중동맨션좌동순환로 3871978.07.014921
중동메트로하이츠빌좌동순환로8번길 54-162013.01.24823~25
중동삼정그린코아아파트해운대로 7772002.12.2622824~33
중동에코하임좌동로63번길 172015.10.292421~31
중동맨션좌동순환로 3871978.07.014921
중앙구남로29번길 81983.04.281319~36
청목마리안해운대로767번길 152004.10.3011314~47
코스모달맞이길117번나길 641990.10.121151~71
토명비치빌해운대해변로 3422003.10.081929~51
피에스빌달맞이길117번가길 1182004.05.21256~66
한신빌리지달맞이길62번길 71987.03.1614416~49
한영9차아파트달맞이길117번나길 772004.06.191610~23
한영아르미안중동2로24번길 13-42016.12.132420~31
해운중동1로19번길 142001.03.15609~33
해운대 SK View 아파트좌동순환로468번길 112011.01.1918333~54
해운대 경남아너스빌아파트해운대로 7322012.03.0530632~49
해운대 경보이리스오션중동1로19번길 242020.03.??19816~19
해운대 달맞이 유림노르웨이숲달맞이길65번길 332017.09.??36423~55
해운대 동일아파트해운대해변로 3941998.05.1638424~32
해운대 롯데캐슬 스타중동2로34번길 152020.09.2182835~39
해운대 메트로하이츠좌동순환로8번길 782005.12.2014543~73
해운대 비치베르빌해운대해변로 3482005.03.1122832~45
해운대 석포로얄캐슬좌동순환로 4222004.07.301620~29
해운대신시가지 경동메르빌해운대로774번길 302005.09.1620323~43
해운대 양우내안애팰리스좌동순환로433번길 402013.10.0114231~33
해운대중동 경동하나메르빌아파트해운대로781번길 232014.10.1614733~34
해운대중동 금호어울림아파트좌동순환로 4802006.10.3132033
해운대중동 두산위브아파트해운대해변로 349-252008.02.2835834~46
해운대중동 롯데캐슬마스터II아파트좌동로63번길 462007.10.2324233~47
해운대 힐스테이트 위브좌동순환로433번길 302015.02.02236918~96
해운하이츠달맞이길117번나길 811991.07.191540~67
현대 아쿠아팰리스 해운대달맞이길 352010.04.2310422~56
현우산호맨션달맞이길117번나길 1941987.06.209516~18
협진태양맨션달맞이길65번길 151995.10.0215925~40
화이트달맞이길117번나길 741995.10.261625~71
힐타운달맞이길117번라길 341976.01.193013
해운대 비스타 오션헤리티지[오피스텔]중동[14]미정252
해운대 중동 동원로얄듀크중동[15]미정480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4 12:24:25에 나무위키 중동(부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C 2023년 5월 주민등록인구[1] 출처: 부산역사문화대전[2] 중동 1394-68[3] 舊 하얏트 리젠시, 舊 메리어트, 舊 노보텔엠베서더 순으로 사용된 건물이었다.[4] 101층짜리 호텔 1동 + 84층짜리 아파트 2동. 전세계에서 가장 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한 스타벅스 매장인 스타벅스 해운대 엑스더스카이점도 입점해 있다.[5] 중동 1812[6]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동백섬을 등지고 서면 보인다.[7] 소설가 김성종이 세운 국내 최초의 추리소설 전문 문학관. 이외에도 소규모 예술관이 곳곳에 많은 편이다.[8] 1975년 완공. 미국의 대외원조기관인 AID(국제개발처)로부터 차관을 들여와 5층짜리 45개 동, 2천60가구 규모로 건립되었으며 2003년 집중호우로 지반이 침하되면서 위험시설로 분류되었다. 이 아파트가 완공될 당시에는 동래구 관할이었다.[9] 복잡한 어른의 사정으로 입주 지연이 계속되어 다 지어두고도 폐건물이 될 뻔 했으나 다행히 2015년 4월 20일부터 입주가 시작되었다.#[10] 주로 부울경 지역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 임직원들이나 조선업 종사자들.[11] 아침 3회 한정[12] 중동 지역은 통과만 하고 정차하지 않는다. 가장 가까운 정류장은 중동 어디냐에 따라 우동에 있는 도시철도 해운대역과 좌동에 있는 장산역으로 갈 수 있다.[13] 운행 중단[오피스텔] [14] 도로명주소 미부여[15] 도로명주소 미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