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자음

(♥ 0)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 펼치기 · 닫기 ]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간체자 논쟁)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나라마다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한문(교과)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한자




1. 개요[편집]


중국 한자음은 중국어(표준중국어)로 한자를 읽는 소릿값이다.

상고한어를 상고음으로, 중고한어를 중세음으로, 근고한어를 근대음으로 함에 대응ㅇ해 현대음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2.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중국어/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2~3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특징[편집]


관련 항목: 관화


3.1. 성모[편집]



3.1.1. 탁음이 소실[편집]


전탁음(유성음)이 사라지며 전청(무성무기음)과 차청(무성유기음)으로 바뀌었다.

성조가 평성()이고 탁음인 한자는 2성(양평성, )이 되었다.
성조가 상성()이고 성모가 탁음인 한자는 전부 거성()이 되었다. 이를 탁상귀거()라고 일컫는다.


3.1.2. 가 소실[편집]


한국 한자음과 같이 (/ŋ/, ㆁ)가 소실되었으나, 귀화어상어(), 붕어(), 잉어() 등을 제외하고 疑母가 완전히 사라진 한국 한자음과 달리 운두 i, ü(/y/)가 덧붙여지거나 운복이 바뀌며 흔적이 남았다.


3.1.3. 구개음화[편집]


표준중국어는 음운 i, ü 앞에 절대 g(무성 무기 연구개음#연구개 파열음 /k/), k(무성 유기 연구개음#연구개 파열음 /kʰ/), h(무성 연구개음#연구개 마찰음 /x/), z(무성 무기 치경음#치경 파찰음 /t͡s/), c(무성 유기 치경음#치경 파찰음 /t͡sʰ/), s가 붙지 않는데, 이는 음운 g, k, h, z, c, s가 전부 음운 i, ü 앞에서 j(무성 무기 치경구개음#치경구개 파찰음 /t͡ɕ/), q(무성 유기 치경구개음#치경구개 파찰음 /t͡ɕʰ/), x(무성 치경구개음#치경구개 마찰음 /ɕ/)로 구개음화됐기 때문이다. 다만 음절 zii(/tsɪ/, 쯰~즤), cii(/tsʰɪ/, 츼), sii(/sɪ/, 씌~싀)는 발음하기 어려워 구개음화가 이뤄지기 쉽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당장 광동어에서도 이 음절을 구개음화 전인 z, c, s로 표기할 뿐 구개음화하여 j, q, x로 발음한다. 반면에 g, k, h는 구개음화되지 않았다.


3.1.4. 전청음 (무성무기음) ↔ 차청음 (무성유기음)[편집]


성모가 양순음, 설근음(연구개음)인 한자

무성 유기 교설 파찰음(tʂʰ) - 무성 교설 마찰음
예: 城자 발음이 /*d͡ʑjɘŋ/, /*ɖ͡ʐɘŋ/(쪄ᇰ, ᅑᅥᇰ)에서 chéng([ʈ͡ʂʰɤ̃ŋ˨˦], 국어원 중국어 표기: 청)으로 변화


3.2. 운모[편집]



3.2.1. 입성과 운미 -m이 소실[편집]


입성은 -k(받침 ㄱ), -t(받침 ㄷ), -p(받침 ㅂ) 운미를 의미하며, 본래 중국어는 중고한어 때까지 입성이 존재했다. 그러나 이민족이 유입하며 새로운 국가가 건설되고 이민족 언어 (알타이제어) 요소로 중고한어에서 갈라져서 나온 관화에서 입성이 -h(성문음#성문 파열음 /ʔ/)로 약화되었다. 이마저 청나라 후기에 사라져서 완전한 개음절이 되었다.

근고서남관화부터 일어난, '-m' 운미와 '-n' 운미가 통합되는 변화[1]가 다른 지역어에서도 일어나, 입성이 완전 소실된 청나라 말기에 양순비운미 -m이 전부 설첨비운미 -n으로 바뀌었다.


3.2.2. 중뉴가 소실[편집]


근고한어 시절에

일본 한자음도 마찬가지다.


3.2.3. 전설모음화[편집]


근고한어시절에 iei (국립국어원 중국어 표기법: 예이) 운모가 i 운모에 통합되었다.

ian, üan


3.2.4. 일부 운모가 부분 통합[편집]


단운모 o의 소리가 e(비원순 후설 중고모음 /ɤ/)와
양순음 뒤를 제외하고 o가 uo로

lüan(국립국어원 중국어 표기법: 뤼안)이 luan으로

1956년에 중국 본토(중화인민공화국)에서 iai([[국립국어원 중국어 표기법: 야이) 운모가 소실되며 ia나 ai 운모로 통합되었다.


3.3. 성조[편집]


만기중고한어시절에 성모가 청탁여부이냐로 갈린 8성조(음평, 양평, 음상, 양상, 음거, 양거, 음입, 양입)에서 입성이 사라지고 음·양상성과 음·양거성이 상성과 거성으로 통합되며 현재 사성이 되었다.


4.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8 08:24:33에 나무위키 중국 한자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국 사천방언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