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슈퍼 리그/2019년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중국 슈퍼 리그



1. 개요
2. 참가팀
3. 감독 교체
4. 외국인 선수
5. 최종 순위
6. 우승


1. 개요[편집]


파일:l_zcdalogo.png

중국 슈퍼 리그의 2019년 시즌을 설명하는 문서다.


2. 참가팀[편집]


순서는 전해 성적. 굵은 글씨는 AFC 챔피언스 리그/2019년 출전 클럽.

팀명연고지원문 표기영문 표기감독
상하이 상강상하이上海上港Shanghai SIPG비토르 페레이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광저우广州恒大淘宝Guangzhou Evergrande Taobao파비오 칸나바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산둥 루넝 타이산지난山东鲁能泰山Shandong Luneng Taishan리샤오펑
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 궈안베이징北京国安Beijing Guoan로저 슈미트
파일:독일 국기.svg
장쑤 쑤닝난징江苏苏宁Jiangsu Suning코스민 올러로이우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허베이 화샤 싱푸친황다오河北华夏幸福Hebei China Fortune크리스 콜먼
파일:영국 국기.svg
상하이 뤼디 선화상하이上海绿地申花Shanghai Greenland Shenhua키케 플로레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베이징 런허베이징北京人和Beijing Renhe알렉산다르 스타노예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톈진 톈하이톈진天津天海Tianjin Tianhai선샹푸
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 푸리광저우广州富力Guangzhou R&F드라간 스토이코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다롄 이팡다롄大连一方Dalian Yifang최강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난 젠예정저우河南建业Henan Jianye왕바오산
파일:중국 국기.svg
충칭 당다이 리판충칭重庆当代力帆Chongqing Dangdai요르디 크루이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톈진 터다톈진天津泰达Tianjin Teda울리 슈틸리케
파일:독일 국기.svg
우한 줘얼우한武汉卓尔Wuhan Zall리톄
파일:중국 국기.svg
선전 FC선전深圳FCShenzhen FC후안 라몬 로페스 카로
파일:스페인 국기.svg

우한 줘얼과 선전 FC는 2018년 중국 갑급 리그에서 각각 1, 2위를 하여 승격.


3. 감독 교체[편집]




4. 외국인 선수[편집]


각 팀마다 4명 보유, 3명 출전가능.[1] 등록 변경은 2명까지 가능. 원래는 경기 엔트리에 3명까지 넣을 수 있었으나, 7월 4명으로 늘어났다. 그러니까 출전은 3명이지만 외인끼리 교체를 하면 4명 모두 사용 가능.

팀명외인 1외인 2외인 3외인 4외인 5외인 6
상하이 상강엘케손[2]
파일:브라질 국기.svg
오딜 아흐메도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오스카르
파일:브라질 국기.svg
헐크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광저우 헝다박지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타이어스 브라우닝[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탈리스카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울리뉴
파일:브라질 국기.svg
엘케손[4]
파일:브라질 국기.svg
산둥 루넝그라치아노 펠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루앙 펠라이니
파일:벨기에 국기.svg
지우
파일:브라질 국기.svg
로저 게데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베이징 궈안김민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세드릭 바캄부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호나탄 비에라[5]
파일:스페인 국기.svg
헤나투 아우구스투
파일:브라질 국기.svg
페르난두 루카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장쑤 쑤닝에데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가브리엘 팔레타[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렉스 테세이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하미레스[7]
파일:브라질 국기.svg
주앙 미란다
파일:브라질 국기.svg
이반 산티니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허베이 화샤말컹
파일:브라질 국기.svg
엘 카비
파일:모로코 국기.svg
에세키엘 라베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페르난두 엔리케[8]
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하이 선화오스카 로메로[9]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오디온 이갈로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프레디 과린[1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지오반니 모레노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김신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스테판 엘 샤라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이징 런허아우구스토 페르난데스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우브 마시카
파일:케냐 국기.svg
손 알루코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마케테 디우프
파일:세네갈 국기.svg
톈진 톈하이권경원[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알란 카르발류
파일:브라질 국기.svg
헤나티뉴
파일:브라질 국기.svg
알레샨드리 파투[12]
파일:브라질 국기.svg
송주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레오나르도
파일:브라질 국기.svg
광저우 푸리두스코 토시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디아 사바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무사 뎀벨레
파일:벨기에 국기.svg
에란 자하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다롄 이팡냐샤 무셰퀴[13]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야닉 카라스코
파일:벨기에 국기.svg
마렉 함식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에마누엘 보아텡
파일:가나 국기.svg
살로몬 론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허난 젠예엔리케 도라두[14]
파일:브라질 국기.svg
크리스티앙 바소고그
파일:카메룬 국기.svg
이보
파일:브라질 국기.svg
프랑크 오안자
파일:카메룬 국기.svg
까랑가
파일:브라질 국기.svg
충칭 리판페르난지뉴
파일:브라질 국기.svg
페르난두 엔리케[15]
파일:브라질 국기.svg
알란 카르덱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드리안 미예르제예프스키
파일:폴란드 국기.svg
마르시뉴
파일:브라질 국기.svg
톈진 터다잔드로 바그너
파일:독일 국기.svg
조나탄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릭스 바스티안스
파일:독일 국기.svg
프랑크 아체암퐁
파일:가나 국기.svg
우한 줘얼레오 밥티스탕
파일:브라질 국기.svg
하파엘 실바
파일:브라질 국기.svg
스테판 음비아
파일:세네갈 국기.svg
진 에브워드 쿠아시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선전 FC올라 카마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올레 셀나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셰크 음벵게
파일:세네갈 국기.svg
하롤드 프레시아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5. 최종 순위[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승점비고
1광저우 헝다 타오바오302334682472AFC 챔피언스 리그 2020 본선 진출
2베이징 중허 궈안302316602670AFC 챔피언스 리그 2020 본선 진출
3상하이 상강302064622666AFC 챔피언스 리그 2020 PO 3차예선 확보
4장쑤 쑤닝301587604153
5산둥 루넝 타이산301569553551
6우한 줘얼3012810414144
7톈진 터다3012513434541
8허난 젠예3011811414641
9다롄 이팡3010812445138
10충칭 리판309912364736
11허베이 화샤 싱푸309615375533
12광저우 푸리309516547233
13상하이 뤼디 선화308616435730AFC 챔피언스 리그 2020 본선 진출
14톈진 톈하이3041313405325재정난으로 자진 해체
15선전 FC304917315721강등 취소로 슈퍼리그 2020 시즌 잔류(재승격)
16베이징 런허303522266514중국 갑급리그 2020 시즌으로 강등

# 순위 결정 규칙: 승점 → 동률팀간 승점(승자승 승점) → 동률팀간 골득실차(승자승 골득실차) → 동률팀간 원정다득점(승자승 원정다득점) → 전경기 골득실차 → 전경기 다득점


6. 우승[편집]


중국 평안 CFA 슈퍼 리그 2019 우승
파일: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엠블럼.svg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8번째 우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5:24:45에 나무위키 중국 슈퍼 리그/2019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유럽 이적시장이 끝나는 1월 말이 지나더라도 빼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즌 직전까지는 어떤 선수들로 팀을 꾸릴지 알 수 없다.[2] 7월 7일 광저우 헝다로 이적.[3] 7월 초 2군으로 하차. 귀화를 전제로 입단한 만큼 귀화전까지는 2군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4] 중국 귀화설이 있는데, 브라우닝이 엔트리에서 빠진 것을 볼 때, 일단은 외국인 엔트리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5] 7월 부상으로 시즌아웃. 2군으로 편입.[6] 7월 부상으로 시즌 아웃.[7] 7월 파우메이라스로 이적.[8] 원래 충칭 리판 소속이었으나 광저우 헝다로 이적후 허베이로 임대.[9] 알라베스로 임대.[10] 김신욱이 들어오면서 자유계약으로 풀림.[11] 7월 1일 전북 현대 이적.[12] 3월 상파울루로 이적.[13] 7월 17일 저장 뤼청으로 임대.[14] 장기부상으로 2군 엔트리로 편입.[15] 7월 광저우 헝다로 이적한 후 허베이 화샤로 임대. 중국 귀화설이 있다. "페르난지뉴"로 불리기도 했는데, 같은 팀에 동명이인 페르난지뉴가 있는데, 여기선 본명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