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의원/비례대표

덤프버전 : r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의원



1. 지역별 결과
1.1. 서울특별시
1.2. 부산광역시
1.3. 대구광역시
1.4. 인천광역시
1.5. 광주광역시
1.6. 대전광역시
1.7. 울산광역시
1.8. 세종특별자치시
1.9. 경기도
1.10. 강원도
1.11. 충청북도
1.12. 충청남도
1.13. 전라북도
1.14. 전라남도
1.15. 경상북도
1.16. 경상남도
1.17. 제주특별자치도
2. 전국 결과


1. 지역별 결과[편집]



1.1. 서울특별시[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10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2,523,1101위
50.92%5
2자유한국당1,250,8562위
25.24%3
3바른미래당569,2243위
11.48%1
4민주평화당43,8395위
0.88%
5정의당480,3714위
9.69%1
6민중당17,2497위
0.34%
7대한애국당15,7268위
0.31%
8국제녹색당2,55911위
0.05%
9녹색당37,9746위
0.76%
10우리미래8,2239위
0.16%
11친박연대5,80210위
0.11%
선거인 수8,380,947투표율
59.9%
투표 수5,017,105
무효표 수62,172

서울시장선거에서 당선된 박원순 후보의 득표율보다 살짝 낮지만, 그래도 완전히 두 야당을 깔아뭉갰다.
보수 야당들은 서울에서 완벽한 참패를 거뒀다. 그나마 25%라도 챙긴 한국당이야 그렇다 쳐도, 미래당은 4위 정의당과도 겨우 1.79% 차이에 그치며 진보,보수 두 계층에서 모두 외면받았다.
정의당은 바른미래당보다 적은 득표율을 받았지만, 2006년 민주노동당 이후 오랜만에 서울시의원을 1명 당선시키는 데 성공했다. 민선 6기에는 3.92%에 그치면서 당선시키지 못했다.[1] 이번에는 진보정당 지지층의 표를 집중적으로 받으면서 시의회 진출에 성공했다.
녹색당은 작전에 성공했다. 퀴어 축제 관련 박원순 시장의 논란을 이용해 페미니스트를 강조하며 0.76%를 기록하며 나름 선방했다.
여담으로, 군소정당 친박연대(2017년)은 그들 입장에서 보면 상당히 의미있는 성과를 거뒀는데, 0.06% 차이로 같은 보수 정당 국제녹색당을 이기고 탈꼴찌한 것.뭐 그래봤자 의미는 딱히 없지만.

1.2. 부산광역시[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5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825,8321위
48.81%3
2자유한국당621,4462위
36.73%2
3바른미래당113,8813위
6.73%
4민주평화당7,2898위
0.43%
5정의당92,1574위
5.44%
6민중당11,8336위
0.69%
7대한애국당7,5237위
0.44%
8녹색당11,9155위
0.7%
선거인 수2,939,046투표율
58.8%
투표 수1,727,251
무효표 수35,375

자유한국당은 기어코 텃밭 부산도 뺏겼다. 이 모든 일을 일으킨 만악의 원인은 바로 서병수. 그야말로 최악의 행정 능력을 보여주며 50%를 넘던 한국당의 지지율을 15% 감소시켰다.
바른미래당은 6.7%에 그치며 당선자 배출에 실패, 하태경이라는 지역구 의원이 있음에도 이 같은 득표율을 거둔 것이다. 이렇게 되면서 다음 선거서 하태경 의원이 사수할 수 있을지도 걱정이 되는 상황.

1.3. 대구광역시[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3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410,0812위
35.78%1
2자유한국당528,8061위
46.14%2
3바른미래당123,5923위
10.78%
5정의당49,7364위
4.34%
6민중당5,5597위
0.48%
7대한애국당15,2115위
1.32%
8노동당5,3808위
0.46%
9녹색당7,5356위
0.65%
선거인 수2,047,286투표율
57.3%
투표 수1,172,082
무효표 수26,182

민주당은 보수의 심장에서 36%를 기록하며 대구 민심의 이반을 보여주었다. 반면 바른미래당은 유승민 파워도 없었는지 고작 10.8%에 그치며 당선자 배출에 실패했다. 또한 극우정당 대한애국당은 고작 1.3%에 그치며 4.3%인 정의당에게도 완전히 밀리며 친박의 몰락을 보여주었다.

1.4. 인천광역시[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4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733,6911위
55.27%2
2자유한국당350,9092위
26.43%1
3바른미래당88,0934위
6.63%
4민주평화당8,9095위
0.67%
5정의당122,5393위
9.23%1
6민중당5,6457위
0.42%
7대한애국당4,5669위
0.34%
8노동당4,9798위
0.37%
9녹색당7,9006위
0.59%
선거인 수2,440,779투표율
55.3%
투표 수1,348,769
무효표 수21,538

인천은 안 그래도 한국당에게 굉장히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었는데, 여기에 이부망천이 완전히 기름을 부으며 26.4%, 55.3%의 1위 민주당에게 더블스코어로 밀리는 비극을 만들어냈다.
바른미래당은 6.6%에 그치며 망한 반면, 정의당은 9.2%로 당선자를 배출하는 쾌거를 이루어냈다.

1.5. 광주광역시[편집]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3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461,4061위
67.47%2
2자유한국당9,4656위
1.38%
3바른미래당30,0155위
4.38%
4민주평화당56,3413위
8.23%
5정의당87,3272위
12.77%1
6민중당31,4174위
4.59%
7노동당4,2577위
0.62%
8녹색당3,6108위
0.52%
선거인 수1,172,429투표율
59.2%
투표 수694,138
무효표 수10,300

민주당의 68% 완승이야 예견되었지만, 명색이 호남 정당인 민평당은 고작 8.2%를 득표, 12.8%인 정의당에게 완전히 밀리며 호남 정당이라는 별명을 구겼다. 그리고 그들의 형제(....) 바른미래당은 4.4%로, 그래도 조직력이 살아있는 민중당의 4.6%에도 밀리며 완전히 호남에서의 영향력을 상실했음을 입증했다.
자유한국당은 매우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했다. 6회 지선 새누리당도 당선자 배출에 실패했으나 8.73%였는데에 비해 폭락했다.

1.6. 대전광역시[편집]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3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384,0831위
55.21%2
2자유한국당183,8192위
26.42%1
3바른미래당61,9713위
8.9%
5정의당54,2924위
7.8%
6민중당3,6136위
0.51%
7노동당3,3157위
0.47%
8녹색당4,5095위
0.64%
선거인 수1,219,513투표율
58%
투표 수706,847
무효표 수11,245

괜히 민심의 풍향계가 아니었다. 민주 vs 한국에서 민주당은 28.8% 차이, 더블스코어로 한국당을 학살하며 이번 선거를 요약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 바른미래당은 9%도 넘기지 못하며 7.8%인 정의당에게도 1.1% 차이로 쫓겼다.

1.7. 울산광역시[편집]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3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281,7721위
47%2
2자유한국당199,5052위
33.28%1
3바른미래당31,4145위
5.24%
5정의당38,6803위
6.45%
6민중당31,9324위
5.32%
7대한애국당2,8727위
0.47%
8노동당10,4396위
1.74%
9녹색당2,8248위
0.47%
선거인 수942,550투표율
64.8%
투표 수610,550
무효표 수11,112

진보정당의 성지가 무색하게 정의당은 6.5%, 민중당은 5.3%에 그치며 당선자를 배출해내지 못했다. 노동당 역시 1.7%에 그치며 진보신당 시절의 위용이 무색해졌다. 참고로 이 세 당의 득표율을 합치면 13.6%인데, 이는 한국당의 33.3%의 절반에도 한참 못 미친다(....)

1.8. 세종특별자치시[편집]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2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79,7521위
59.01%1
2자유한국당23,5672위
17.43%1
3바른미래당14,4554위
10.69%
5정의당17,3693위
12.85%
6민중당
사퇴
선거인 수222,852투표율
61.7%
투표 수137,593
무효표 수2,450

자유한국당은 세종에서 17.4%에 그치며 민주당에게 약 41.6%p 정도 밀렸고, 사실상 세종에서의 자유한국당의 영향력은 0에 가까웠다. 다만, 세종시의 비례 정원이 단 2석 뿐이라, 이렇게 차이가 나고도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은 1석씩을 나눠갖게 되었다.

3위 정의당은 의석을 배분받지 못했지만, 12.9%를 득표하며 자유한국당과 고작 4.5%p 차이밖에 나지 않았는데, 읍면동별로 보면, 동 지역 전체(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는 전부 정의당 득표수가 자유한국당보다 더 많이 나왔다. 다만 그 차이가 그렇게 크지는 않았다. 조치원읍과 면 지역에선 그래도 자유한국당 표가 정의당 표보다는 훨씬 많이 나왔고 이게 2-3위간 순위를 확정지은 요인이 되었다.

1.9. 경기도[편집]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13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3,168,1491위
52.81%7
2자유한국당1,528,3152위
25.47%3
3바른미래당467,0004위
7.78%1
4민주평화당39,7345위
0.66%
5정의당686,5793위
11.44%2
6민중당25,6877위
0.42%
7대한애국당18,3538위
0.3%
8노동당18,0349위
0.3%
9녹색당31,4626위
0.52%
10우리미래15,34110위
0.25%
선거인 수10,533,027투표율
57.8%
투표 수6,082,648
무효표 수83,994

현역 지사 남경필의 존재가 무색하게 한국당은 25.5%에 그치며 1위 민주당(52.9%)에 학살당했다. 반면에 정의당은 11.4%로 7.8%의 바른미래당을 제친 건 물론, 당선자를 2명이나 배출했다. 민중당 0.4%+노동당 0.3%+녹색당 0.5%로 확실히 제1진보당의 위치를 공고히 한 건 덤.

1.10. 강원도[편집]


파일:강원도 휘장_White.svg 강원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5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388,4651위
48.88%3
2자유한국당268,1142위
33.74%2
3바른미래당52,3584위
6.58%
4민주평화당4,8647위
0.61%
5정의당55,0823위
6.93%
6민중당5,9556위
0.74%
7대한애국당3,84910위
0.48%
8노동당4,1098위
0.51%
9녹색당3,8619위
0.48%
10새누리당7,9785위
1%
선거인 수1,296,196투표율
%
투표 수819,280
무효표 수24,645

평창 동계 올림픽의 완벽한 성공으로 민주당은 48.9%를 득표, 강원도도 손에 넣었다.
사실 강원도에서는 미래당,정의당 모두 존재감이 없었는데, 둘이 각각 6.6%,6.9%에 그쳤기 때문. 여담으로 원외 극우+친박 정당 새누리당은 1%를 득표, 같은 극우 정당 대한애국당의 2배를 득표하며 나름 위안을 삼을 수 있게 됐다.

1.11. 충청북도[편집]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3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388,8691위
51.06%2
2자유한국당237,4032위
31.17%1
3바른미래당51,1444위
6.71%
4민주평화당5,0485위
0.66%
5정의당62,9033위
8.26%
6민중당4,4226위
0.58%
7노동당4,1237위
0.54%
8녹색당3,7349위
0.49%
9우리미래3,8808위
0.5%
선거인 수1,318,186투표율
59.3%
투표 수782,129
무효표 수20,603

1.12. 충청남도[편집]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4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513,6231위
52.47%2
2자유한국당308,9112위
31.55%1
3바른미래당62,6514위
6.4%
5정의당75,4413위
7.7%1
6민중당10,4425위
1.06%
7녹색당7,7756위
0.79%
선거인 수1,740,413투표율
58.1%
투표 수1,011,235
무효표 수32,292

1.13. 전라북도[편집]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4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654,6061위
68.1%2
2자유한국당34,9245위
3.63%
3바른미래당35,9024위
3.73%
4민주평화당89,8093위
9.34%1
5정의당123,8332위
12.88%1
6민중당11,9816위
1.24%
7녹색당10,1687위
1.05%
선거인 수1,527,729투표율
65.2%
투표 수996,370
무효표 수35,147

1.14. 전라남도[편집]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6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723,0501위
69.06%4
2자유한국당26,4466위
2.52%
3바른미래당36,6705위
3.5%
4민주평화당120,5362위
11.51%1
5정의당91,1603위
8.7%1
6민중당37,3424위
3.56%
7녹색당11,6447위
1.11%
선거인 수1,577,224투표율
69.2%
투표 수1,092,029
무효표 수45,181

1.15. 경상북도[편집]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6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475,2922위
34.05%2
2자유한국당697,5391위
49.98%3
3바른미래당115,3033위
8.26%1
4민주평화당8,8638위
0.63%
5정의당54,3294위
3.89%
6민중당13,4296위
0.96%
7대한애국당17,7175위
1.26%
8녹색당
등록무효
9친박연대13,0387위
0.93%
선거인 수1,577,224투표율
64.7%
투표 수1,395,480
무효표 수45,181

1.16. 경상남도[편집]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6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799,5931위
45.31%3
2자유한국당685,8242위
38.86%2
3바른미래당93,9654위
5.32%
5정의당135,3393위
7.66%1
6민중당23,4355위
1.32%
7대한애국당12,0117위
0.68%
8녹색당14,4376위
0.81%
선거인 수2,765,485투표율
65.8%
투표 수1,819,095
무효표 수54,491

자유한국당은 우세 지역인 경남에서 38.86%를 받았지만 민주당은 45.31%를 받으며 한국당을 약 6.5%p 정도 앞서게 된다. 이로 민주당은 3석을 얻고 한국당은 2석을 얻고 정의당은 7.66%를 얻어 1석을 얻었다.

1.17. 제주특별자치도[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7석)
기호정당명득표수순위
득표율당선인 수
1더불어민주당185,2181위
54.25%4
2자유한국당61,7052위
18.07%1
3바른미래당25,5034위
7.47%1
5정의당40,5533위
11.87%1
6민중당5,4967위
1.6%
7노동당6,2776위
1.83%
8녹색당16,6405위
4.87%
선거인 수532,515투표율
65.9%
투표 수350,904
무효표 수9,512

제주도지사는 새누리당-바른미래당 출신의 원희룡 후보가 문대림 후보를 약 11.7%p 차로 앞섰지만 다른 나머지 선거는 민주당이 압도적으로 앞섰다. 이로 이 비례대표 도의원은 민주당이 4명, 한국당은 고작 1석, 정의당, 바른미래당도 1석씩 내주었다. 정의당과 바른미래당도 상당히 앞서간 선거 결과있다. 녹색당도 약 5% 정도를 얻어 선전했다고 볼 수 있다. 여담으로 정말 압도적이라고 느껴지는 것이 범진보(민주,정의,민중,노동,녹색당)같은 경우는 비례대표를 모두 합치면 약 75%(!!)가 나온다는 것이다.

심지어 단순 득표율로 진보정당인 정의당, 노동당, 녹색당, 민중당의 득표율을 합하면 한국당의 득표율을 넘게 된다!!

2. 전국 결과[편집]


  • 당선자 수
지역민주한국바른평화정의
서울53101
부산32000
대구120-0
인천21001
광주20001
대전210-0
울산210-0
세종110-0
경기73102
강원32000
충북21000
충남210-1
전북20011
전남40011
경북23100
경남32001
제주41101
전체4724421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3 15:38:55에 나무위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의원/비례대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6회 지선 통합진보당 3.04%, 정의당 3.94%, 노동당 0.63%, 녹색당 0.55%였다.합치면 8% 수준으로 비례대표 최소컷인 5%를 거뜬히 넘지만 분열로 인해 당선자 배출에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