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6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덤프버전 : (♥ 0)

1. 개요
2. 예선
3. 본선
3.1. 16강
3.2. 승자조
3.2.1. 대진표
3.2.2. 대국 결과
3.3. 패자조
3.3.1. 대진표
3.3.2. 대국 결과
3.4. 최종 결승전
4. 대회 결과


1. 개요[편집]


2023년 개최되는 46기 명인전 대회. 이번 대회부터 우승 상금이 7천만원으로 인상됐다. 준우승 상금도 역시 2천5백만원으로 인상되었다.

2. 예선[편집]


  • 예선은 7월 20일 부터 시작하며 20일에 대회 개막식과 1회전 대국 후 2회전 부터의 나머지 대국은 24일 부터 27일까지 진행한다.[1]
  • 예선 대진표
  • 예선은 제한시간 각자 1시간, 1분 초읽기 3회로 진행한다.
라운드 구분대국일자조 구분중계 구분[2]대국결과
1회전7월 20일8조김현빈조승아312수 흑 반집승
2회전-오전7월 24일4조원성진문민종304수 백 5집반승
2회전-오후7월 24일8조Y[3]차주혜박소율-수 -승
11조오유진안국현195수 흑 불계승
3회전
조별8강
7월 25일4조한우진최철한271수 흑 불계승
조별준결7월 26일4조한우진김민서274수 흑 6집반승
조별결승7월 27일5조나 현김진휘231수 흑 7집반승
8월 21일1조변상일원제훈152수 백 불계승
3조김채영박건호190수 백 불계승

예선을 통과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조별구분1조2조3조4조5조6조
진출선수변상일김승구김채영한우진나 현한상조
조별구분7조8조9조10조11조12조
진출선수윤민중박종훈허영호이창호이창석박지현

  • 이번 대회에서는 신예급 기사들이 상당히 많이 본선에 진출했다. 한우진을 비롯해 김승구, 윤민중, 박지현 등이 본선에 진출했다. 여자기사인 김채영은 자력으로 예선을 뚫어 본선에 진출했다.

3. 본선[편집]


  • 전기 시드 : 신민준 (전기 우승), 신진서 (전기 준우승)
  • 예선 통과자 : 김승구, 나현, 한상조, 윤민중, 허영호, 박지현, 이창호, 한우진, 박종훈, 이창석, 변상일, 김채영
  • 후원사 시드 : 박정환, 김은지[4]

  • 본선은 8월 28일 부터 평일 오후 1시에 진행한다.
  • 중계 : K바둑 (캐스터 - 장혜연, 김규리, 정지우 / 해설 - 송태곤 九단, 안형준 五단, 이상헌 五단)
제46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16강 대진
파일:제46기 명인전 대진표.png
대진대국자1대국자2대진대국자1대국자2
A김은지허영호B신민준이창석
C박종훈김채영D나현변상일
E김승구박정환F한우진윤민중
G신진서한상조H박지현이창호
  • 16강 대진은 예선 종료 후 8월 21일에 후원사 시드 배정 선수와 함께 동시에 발표했다.
  • 승자, 패자조 대진은 해당 문단 참고.
제46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 생존/탈락자
생존자승자조변상일
패자조신진서
패자 1회전 탈락김승구, 윤민중, 이창호, 김채영
패자 2회전 탈락이창석, 한상조, 허영호, 나현
패자 3회전 탈락박종훈, 신민준
패자 4회전 탈락한우진, 김은지
패자 5회전 탈락박지현
4위
패자 결승 탈락박정환
3위

3.1. 16강[편집]


대국(대진)일정 (13시 개시)
흑번
백번
결과
1국(B)2023년 8월 28일신민준이창석139수 흑 불계승
2국(F)2023년 8월 29일윤민중한우진232수 백 불계승
3국(G)2023년 8월 30일신진서한상조187수 흑 불계승
4국(D)2023년 8월 31일나 현변상일154수 백 불계승
5국(C)2023년 9월 4일김채영박종훈281수 백 2.5집승
6국(E)2023년 9월 5일김승구박정환212수 백 불계승
7국(A)2023년 9월 6일김은지허영호237수 흑 불계승
8국(H)2023년 9월 7일박지현이창호231수 흑 불계승

승자조 / 패자조 배치 (선수 나열은 16강 대국일 기준 순)
승자조신민준, 한우진, 신진서, 변상일, 박종훈, 박정환, 김은지, 박지현
패자조이창석, 윤민중, 한상조, 나현, 김채영, 김승구, 허영호, 이창호
  • 개막전에서는 중앙전에서 급격히 바둑이 신민준에게 기울어지며 단 139수 만에 허무하게 바둑이 끝이 나버렸다.
  • 한우진과 윤민중의 대국에서는 한우진이 우상과 우변에서 크게 우세를 잡고 출발했는데 중간에 한 번 형세가 미세해졌으나 윤민중의 실수가 나오며 다시 바둑이 기울어져 한우진의 완승으로 끝이 났다.
  • 응씨배 우승 후 첫 공식대국을 치른 신진서는 한상조를 상대로 중반에 리드를 잡아 승자조로 갔는데 중앙에서 좋은 맥점까지 찾아내는 명장면을 보여주었다.
  • 변상일은 나현을 상대로 상변에서 엎치락뒷치락 하다가 우세를 잡으며 154수 만에 승리를 거두고 승자전에 진출했다.

3.2. 승자조[편집]



3.2.1. 대진표[편집]


제46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승자조 대진표
승자 8강승자 4강승자 결승
김은지김은지변상일
결승 진출
신민준
박종훈변상일
변상일
박정환박정환박정환
한우진
신진서박지현
박지현


3.2.2. 대국 결과[편집]


파일:제46기명인전승자조 - 10/26기준.png

대국일정 (13시 개시)
흑번
백번
결과
승자
8강
1국2023년 9월 18일박지현신진서157수 흑 불계승
2국2023년 9월 19일박정환한우진141수 흑 불계승
3국2023년 9월 20일김은지신민준191수 흑 불계승[5]
4국2023년 9월 21일변상일박종훈177수 흑 불계승
승자
4강
1국2023년 10월 25일박정환박지현175수 흑 불계승
2국2023년 10월 26일변상일김은지211수 흑 불계승
승자 결승2023년 11월 4일변상일박정환159수 흑 불계승

  • 이번 승자조 8강은 헌국랭킹 1~4위(신진서, 박정환, 변상일, 신민준)[6]신예기전에서 활약이 두드러졌던 4인(김은지[7], 한우진[8], 박종훈[9], 박지현[10])의 대결 구도로 승자조 8강이 짜여졌다.

  • 8강 1국과 3국에서 대회 최대 이변이 벌어졌다. 먼저 1국에서는 박지현이 44기 명인전 우승자인 한국랭킹 1위 신진서의 대마를 잡고 신진서를 패자조로 내려보내며 승자조 4강에 진출했다. 심지어 중반까지도 신진서가 유리했던 바둑을 대마불사만 생각하여 너무 낙관한 결과 대마 잡는 승부수를 놓친 것이라 더더욱 충격적이었다. [11] 3국에서는 김은지전기 우승자 신민준을 상대로 초반 우상귀 정석에서 승기를 잡아 대마를 잡은 바둑으로 끝나버렸다. 신민준은 아예 초반부터 바둑 설계 자체를 잘못하면서 단 30분만에 알아서 바둑을 헌납해버린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벌어졌다. 심지어 대국 막판에는 자책하는 모습도 크게 보였다.[12]이러면서 지난 대회 결승에서 격돌했었고, 명인전 부활 후 최근 2시즌(44기, 45기) 우승을 나눠 가진 '양신 (兩申)'이 모두 패자조로 내려갔다.

  • 승자조 준결승에서는 이변없이 상위랭커인 박정환과 변상일이 나란히 승자조 결승에 진출했다. 두 기사 모두 각각 박지현과 김은지를 상대로 완승을 거두어 승자조 결승에 진출했다. 변상일은 김은지를 상대로 시종일관 싸움을 피하는 전략으로 승리를 챙겼고, 한우진을 상대한 박정환은 몇번 실수가 있던것을 제외하고는 우세한 형세를 유지하며 승리했다.

  • 한국랭킹 2위와 3위의 대결로 펼쳐진 승자조 결승에서는 변상일이 우상귀 전투에서 큰 우세를 잡으며 단 159수만에 항복을 받아내고 결승에 진출했다. 변상일은 44기 결승에 이어 2년 만에 명인전 결승에 진출했다. 박정환은 또 다시 승자 결승에서 고배를 마시고 패자조 결승으로 내려갔다. 참고로 이번 명인전 승자조는 8강부터 결승까지 모두 흑을 잡은 쪽이 승리를 하는 '흑번 필승'의 양상으로 전개됐다.

3.3. 패자조[편집]



3.3.1. 대진표[편집]



제46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패자조 대진표
패자
1회전
허영호김승구이창석윤민중김채영한상조나 현이창호
패자
2회전
신진서허영호박종훈이창석한우진한상조신민준나 현
패자
3회전
신진서박종훈한우진신민준
패자
4회전
김은지신진서박지현한우진
패자
5회전
신진서박지현
패자
결승
박정환신진서
결승 진출


3.3.2. 대국 결과[편집]


파일:제46기명인전패자조 - 11/03기준.png
대국일정 (13시 개시)
흑번
백번
결과
패자
1회전
1국2023년 9월 12일김승구허영호172수 백 불계승
2국2023년 9월 13일이창석윤민중163수 흑 불계승
3국2023년 9월 14일이창호나 현216수 백 불계승
4국2023년 9월 15일김채영한상조142수 백 불계승
패자
2회전
1국2023년 10월 5일한상조한우진184수 백 불계승
2국2023년 10월 6일박종훈이창석267수 흑 불계승
3국2023년 10월 12일허영호신진서206수 백 불계승
4국2023년 10월 13일신민준나 현191수 흑 불계승
패자
3회전
1국2023년 10월 23일박종훈신진서128수 백 불계승
2국2023년 10월 24일신민준한우진270수 백 불계승
패자
4회전
1국2023년 11월 2일박지현한우진151수 흑 불계승
2국2023년 11월 3일신진서김은지213수 흑 불계승
패자 5회전2023년 11월 8일신진서박지현199수 흑 불계승
패자 결승2023년 11월 10일신진서박정환237수 흑 불계승

  • 패자 1회전에서는 허영호, 이창석, 나현, 한상조가 살아남았다. 반면 이번 대회 본선 진출자 준 유이한 여자기사였던 김채영은 한상조에게 패하며 패자조에서 탈락했으며 명인전 최다 우승자 이창호도 나현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 승자 8강에서 이변의 희생양이 되어 패자 2회전에 합류한 신진서와 신민준은 각각 허영호와 나현을 상대로 완승을 거두어 패자 3회전애 진출해 신진서는 이창석을 꺾은 박종훈, 신민준은 한상조를 잡고 올라온 한우진을 각각 상대하게 됐다. 패자 3회전은 두 판 모두 승자 8강에서 패한 선수들 끼리 대결로 대진이 짜여졌다.
  • 패자 3회전에서 양신이 엇갈렸다. 신진서는 박종훈에게 완승을 거두어 패자 4회전에 올라간 반면 전기 우승자 신민준은 한우진에게 역전패를 당해 탈락하며 명인전 2연패의 꿈을 접게 됐다.
  • 패자 4회전에서 박정환에게 승자 4강에서 패해 내려온 박지현은 한우진을 상대로 상대전적 1승 5패로 밀렸으나 한우진의 무리수를 응징해 승리를 거뒀고, 신진서는 변상일에게 패자 4강에서 패해 내려온 김은지를 상대로 제대로 완급조절과 희망고문의 끝을 보여주면서 완승을 거두고 패자 5회전에 진출했다.[13] 이로써 승자조 8강에서 맞붙었던 박지현과 신진서가 패자 5회전에서 다시 맞대결을 하게 됐다.
  • 패자 5회전에서는 신진서가 중반 한때 위기가 있었으나 결국 승리를 거두며 패자조 결승에 진출했다. 박지현은 신진서를 상대로 중반까지 대등하게 두며 앞서는 내용을 보여주기도 했으나 아쉬운 역전패를 당하며 패자 5회전에서 이번 대회를 마무리하게 됐다.
  • 패자조 결승에서는 신진서가 150수 이후부터 우세를 잡았고 이후 끝내기 수순에서 차이를 벌리며 완승을 거뒀다. 박정환은 3년 연속으로 승자조 결승 패배 후 패자조 결승 패배로 탈락하며 또 다시 대회 3위로 이번 대회를 마무리했다. 신진서는 승자 8강 패배 이후 패자조에서 5연승으로 44기에 이어 다시 한 번 '패자조의 저승사자'가 되어 3년 연속 명인전 결승에 진출했다.

3.4. 최종 결승전[편집]


제46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결승 3번기 | 변상일 0 : 0 신진서
대국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2023년 12월 15일---수 -승
2국2023년 12월 16일---수 -승
3국2023년 12월 18일---수 -승
우승 - ( - )

결승 3번기는 변상일신진서제44기 명인전 결승 이후 2년 만에 결승 대결을 벌이게됐다. 공교롭게도 44기때와 결승까지 올라온 스토리가 비슷한데 변상일이 승자조에서 승승장구한 반면, 신진서는 패자조에서 험난한 여정 끝에 결승에 올라왔다. 다만 44기와의 차이점은 두 기사가 16강 첫 판에서 맞대결을 벌여 승패가 갈린 후 결승에서 리매치가 됐던 44기와는 달리 두 기사는 이번 대회에서는 결승 3번기 전까지 맞대결을 하지 않았다.. 신진서는 명인전 두 번째 우승에 도전하며 변상일은 우승시 명인전에서 우승하는 11번째 선수가 된다.

4. 대회 결과[편집]


순위선수
우승 - (상금 7천만원)
준우승(상금 2천 5백만원)
3위박정환 九단
4위박지현 五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4:57:54에 나무위키 제46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선수 개인 사정에 의해 지연되거나 사전에 진행되는 대국도 있다. 2회전 21일 대국, 1회전 당일 13시(정규 : 10시) 또는 19일 개시 등이 그것.[2] 수순인 경우 "수", 유튜브중계인 경우 "Y"로 표기. 4일차 이후에는 TV중계인 경우 "K"[3] 한프바(고윤서 해설)[4] 세간에서는 김은지 후원사시드에 대한 논란이 있다. 명인전이 여자선수에게 후원사 시드로 개방한다지만 예선도 참가안한 선수를 시드로 바로 본선을 올리는 것이 정당한가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5] 45기 우승자44기 우승, 45기 준우승자가 손잡고 패자조로 가는 또 다른 이변이 벌어졌다. 김은지는 이 대국에서 승리하며 승단 점수를 채워 七단으로 승단했다.[6] 2023년 9월 랭킹 - 1위 신진서, 2위 박정환, 3위 변상일, 4위 신민준. / 참고로 이 네 선수는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대표팀 선수이며 이번 명인전 승자조 8강에서 네 기사 모두 아시안게임 전 마지막 공식 대국을 치른다.[7] 2023년 9월 랭킹 66위(여자 2위) / 제1기 조아제약 루키바둑영웅전' 우승 (국내 여자기사 첫 혼성 신예기전 우승)[8] 2023년 9월 랭킹 19위 / 제10회 글로비스배 세계 바둑 U-20 우승, 최단 기간 九단 승단(입단 후 4년 5개월).[9] 2023년 9월 랭킹 20위 / 2016년 하찬석국수배 우승, 박영훈 九단의 육촌 동생[10] 2023년 9월 랭킹 67위 / 제11회 하찬석 국수배 영재최강전 우승[11] 참고로 신진서는 이번 패배가 자신 보다 어린 기사에게 당한 첫 패배였다.[12] 승자조 경기의 경우 승자와 패자가 모두 인터뷰에 참여하는데 신민준은 충격이 큰 나머지 국후 인터뷰를 포기할 정도였다.[13] 신진서는 이날 승리로 국내 프로기사 사상 최초로 연간 100승을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