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8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1. 개요
2. 선발전 및 예선(한국)
2.1. 선발전
2.2. 예선
3. 본선
3.1. 진출자
3.2. 32강전
3.3. 16강전
3.4. 8강전
3.5. 4강전
3.6. 결승전
4. 여담


1. 개요[편집]


28번째로 열리는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관련 정보.


2. 선발전 및 예선(한국)[편집]



2.1. 선발전[편집]


아마선발(7월 26일 개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선발통과 : 김현석/홍세영/최환영/강현재/김사우/김정선/박승현/정원찬/임지혁
  • 연구생시드 : 조상연/윤서원/김상영


2.2. 예선[편집]


  • 이번 대회 예선은 통상적으로 8월 25일부터 29일까지 진행한다.
  • 중계대국
일자경기중계흑번백변결과
8/25일반 6조 1회전수순문민종백현우292수 백 5집반승
여자조 1회전고윤서오유진146수 백 불계승
8/26일반 2조 2회전박영훈이영구180수 백 불계승
8/27일반 2조 3회전이영구강동윤174수 백 불계승
여자조 3회전허서현조승아267수 백 반집승
8/28일반 7조 준결TV최철한홍성지206수 백 불계승
일반 4조 준결수순박건호원제훈213수 흑 불계승
시니어조 준결김영삼이창호250수 백 불계승
8/29일반 2조 결승TV강동윤최기훈145수 흑 불계승
일반 3조 결승수순안정기허영호298수 흑 반집승
시니어조 결승이창호김종수215수 흑 불계승
8/30여자조 준결TV김은지조승아221수 흑 불계승
9/7여자조 결승TV김은지오유진217수 흑 불계승


3. 본선[편집]


  • 이번 대회는 2023년 11월 15일 ~ 11월 29일까지 진행하며 2019년 대회 이후 4년 만에 삼성화재 글로벌캠퍼스에서 대면 대국으로 대회를 진행한다. 15일에 개막식을 진행한 후 16일 부터 본선 일정을 시작한다.
  • 모든 경기는 낮 12시(KST)부터 시작한다.

3.1. 진출자[편집]


구분국가출전 선수
시드
배정자
전기 시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진서(전기 우승), 최정(전기 준우승)
변상일(전기 4강), 김명훈(전기 4강)
국가 시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강우혁[1], 신민준[2], 박정환[랭킹], 안성준[랭킹]
파일:중국 국기.svg딩하오[3] , 구쯔하오[4]
파일:일본 국기.svg이야마 유타, 쉬자위안
선발전
통과
일반조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웅규, 강동윤, 안정기, 김승진
김누리, 김정현, 홍성지
파일:중국 국기.svg롄샤오, 황윈쑹, 쉬자양,
왕싱하오, 셰얼하오, 탄샤오
파일:일본 국기.svg모토키 가쓰야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쉬하오훙
여자조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은지
파일:중국 국기.svg저우홍위
시니어조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창호
파일:일본 국기.svg요다 노리모토
와일드 카드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안드리 크라벳


3.2. 32강전[편집]


  • 날짜 : 11월 16일 ~ 17일


일차대진결과
1일차
(11/16)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2일차
(11/17)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3.3. 16강전[편집]


  • 날짜 : 11월 19일 ~ 20일

일차대진결과
1일차
(11/19)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2일차
(11/20)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3.4. 8강전[편집]


  • 날짜 : 11월 21일 ~ 22일

일차대진결과
1일차
(11/21)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2일차
(11/22)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3.5. 4강전[편집]


  • 날짜 : 11월 23일 ~ 24일

일차대진결과
1국
(11/23)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중계 : 바둑TV - -, - / K바둑 - -, -
2국
(11/24)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중계 : 바둑TV - -, - / K바둑 - -,-


3.6. 결승전[편집]


  • 날짜 : 11월 25 ~ 28일

제28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결승 3번기
파일:국기.svg - 0 : 0 파일:국기.svg -
대국
흑번
백번
결과
1국
(11/25)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중계 : 바둑TV - -, - / K바둑 - -, -
2국
(11/27)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중계 : 바둑TV - -, - / K바둑 - -, -
3국
(11/28)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수 - 승
중계 : 바둑TV - -, - / K바둑 - -, -
우승파일:국기.svg -


4. 여담[편집]


  • 중국은 이번 삼성화재배 선발전에서 일반조는 6장의 티켓을 두고 30명의 기사들이 참가해 8라운드, 여자조는 한 장을 놓고 12명의 기사가 참가해 6라운드 스위스 시스템으로 대국을 진행했다. 중국 선발전 일반조 결과 삼성화재배 최다 우승기록을 이세돌과 함께 보유 중인 커제가 탈락했다. . 커제는 물론 커제외 함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국 대표로 출전하는 미위팅, 양딩신, 자오천위, 양카이원도 모두 중국 선발전에서 탈락했다.
  • 이번 대회 와일드카드는 우크라이나안드리 크라벳 初단이 받았다. 1990년 12월 12일 출생으로 2023년 7월 독일에서 열린 '유럽바둑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그동안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선수들 중에서 받았던 것과 달리 이번엔 유럽 선수가 와일드카드를 받게됐다. 이렇게 되면서 24회 대회 이후 4년 만에 유럽 선수가 삼성화재배에 출전하게 됐다. 이후 마틴 스티아시니 유럽 바둑 연합회장이 대회기간[5]에 일산 글로벌캠퍼스를 방문한다는 소식이 나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17:29:51에 나무위키 제28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4회 안동시 백암배 우승자 자격으로 국가시드를 받았다.[2] 제45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우승자 자격으로 국가시드를 받았다.[랭킹] A B 박정환과 안성준은 8월랭킹 상위자로 국가시드를 받았다.[3] 제27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우승자 자격으로 중국 국가시드를 받았다.[4] 제1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 바둑 오픈 우승자 자격으로 중국 국가시드를 받았다.[5] 정확하진 않지만, 11월 15일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