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경상북도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편집]


이 문서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지역구 선거의 후보자 및 투표 결과를 정리해 놓은 문서이다. 선거구 순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발표 순서에 따른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을 참조하여 작성되었다. 당선자 전원 새누리당소속이다.


2. 후보 및 결과[편집]



2.1. 포항시 북구[편집]


포항시 북구
포항시 북구 일원[포항북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정재(金汀才)56,5251위

ta-hash-start=w-45a3e807b85386821f1f6cd105c0999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3.39%당선
2오중기(吳仲基)16,5593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2.71%낙선
4박창호(朴唱鎬)6,5714위

ta-hash-start=w-36ba16444f0ddd898e255bfd1323f342[[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5.04%낙선
5박승호(朴承浩)50,5942위

무소속

38.84%낙선
선거인 수220,958투표율
59.70%
투표 수131,921
무효표 수1,627


2.2. 포항시 남구·울릉군[편집]


포항시 남구·울릉군
포항시 남구 일원[포항남구] + 울릉군 일원[울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 박명재(朴明在)75,5691위

ta-hash-start=w-31784d9fc1fa0d25d04eae50ac9bf787[[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71.86%당선
5박승억(朴勝億)15,8512위

ta-hash-start=w-7fb7cf8d4e798dc9db12a1f5746d7f0b[[파일:민중연합당 글자.svg
15.07%낙선
6임영숙(林永淑)13,1383위

무소속

13.15%낙선
선거인 수209,993투표율
51.68%
투표 수108,519
무효표 수3,359


2.3. 경주시[편집]


경주시
경주시 일원[경주]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석기(金碩基)57,2761위

ta-hash-start=w-95be90bdf882496cf355922fa00dcf42[[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4.97%당선
2이상덕(李相德)10,7764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8.46%낙선
5정종복(鄭鍾福)39,0512위

무소속

30.66%낙선
6권영국(權英國)20,2533위

무소속

15.90%낙선
선거인 수217,306투표율
59.54%
투표 수129,378
무효표 수2,022


2.4. 김천시[편집]


김천시
김천시 일원[김천]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철우(李喆雨)42,3401위

ta-hash-start=w-532489d0e5e521abaa5d121964d83c4b[[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64.25%당선
5박판수(朴判洙)23,5492위

무소속

35.74%낙선
선거인 수117,499투표율
58.46%
투표 수68,689
무효표 수2,800


2.5. 안동시[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안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광림(金光琳)55,1201위

ta-hash-start=w-1df728af01ada2c39964d0657159801f[[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68.66%당선
2이성노(李省魯)12,878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6.04%낙선
3박인우(朴仁雨)12,2752위

ta-hash-start=w-6b394f2d345abec3b967a186932462db[[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15.29%낙선
선거인 수139,956투표율
58.59%
투표 수81,988
무효표 수1,715


2.6. 구미시[편집]


구미시 갑
송정동, 지산동, 도량동, 광평동, 임오동, 비산동, 선주·원남동, 상모·사곡동, 신평1동, 신평2동, 공단1동, 공단2동, 형곡1동, 형곡2동, 원평1동, 원평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 백승주(白承周)50,2921위

ta-hash-start=w-5194b07beb1d4a9c1ab854cc5621ea12[[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61.91%당선
5남수정(南秀姃)30,9342위
38.08%낙선
선거인 수177,059투표율
47.90%
투표 수84,816
무효표 수3,590

구미시 을
인동동, 진미동, 양포동, 선산읍, 고아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해평면, 산동면, 장천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석춘(張錫春)36,7481위
52.37%당선
5김태환(金泰煥)33,4142위
47.62%낙선
선거인 수148,842투표율
50.5%
투표 수75,118
무효표 수4,956


2.7. 영주시·문경시·예천군[편집]


영주시·문경시·예천군
영주시 일원[영주], 문경시 일원[문경], 예천군 일원[예천]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교일(崔敎一)70,1311위
57.15%당선
2엄재정(嚴在政)10,8993위
8.88%낙선
5김수철(金秀哲)41,6832위
33.96%낙선
선거인 수195,244투표율
64.1%
투표 수125,233
무효표 수2,520


2.8. 영천시·청도군[편집]


영천시·청도군
영천시 일원[영천], 청도군 일원[청도]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만희(李晩熙)39,8731위
51.42%당선
5최기문(崔圻文)37,6632위
48.57%낙선
선거인 수126,104투표율
63.4%
투표 수79,897
무효표 수2,361


2.9.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편집]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
상주시 일원[상주], 군위군 일원[군위], 의성군 일원[의성], 청송군 일원[청송]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종태(金鍾泰)85,3451위
77.65%당선[1]
2김영태(金永泰)24,5842위
22.34%낙선
선거인 수182,629투표율
62.2%
투표 수113,521
무효표 수3,502


2.10. 경산시[편집]


경산시
경산시 일원[경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경환(崔炅煥)73,6461위
69.62%당선
4배윤주(裵允珠)32,1242위
30.37%낙선
선거인 수210,959투표율
51.65%
투표 수108,959
무효표 수3,189


2.11.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편집]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영양군 일원[영양], 영덕군 일원[영덕]
봉화군 일원[봉화], 울진군 일원[울진]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석호(姜碩鎬)49,5451위
67.58%당선
5이귀영(李貴永)7,8773위
10.74%낙선
6홍성태(洪性泰)15,8842위
21.66%낙선
선거인 수123,843투표율
61.11%
투표 수75,675
무효표 수2,369


2.12. 고령군·성주군·칠곡군[편집]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고령군 일원[고령], 성주군 일원[성주], 칠곡군 일원[칠곡]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완영(李完永)57,4271위
69.48%-당선-[2]
2박장호(朴壯鎬)25,2222위
30.51%낙선
선거인 수167,318투표율
51.1%
투표 수85,450
무효표 수2,801



[포항북구]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흥해읍,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기북면[포항남구] 상대동, 해도동, 송도동, 청림동, 제철동, 효곡동, 대이동,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호미곶면[울릉] 울릉읍, 북면, 서면[경주] 중부동, 황오동, 성건동, 황남동, 월성동, 선도동, 용강동, 황성동, 동천동, 불국동, 보덕동 (舊 경주시)
감포읍, 안강읍, 건천읍, 외동읍, 서면, 양북면, 양남면, 내남면, 산내면, 현곡면, 강동면, 천북면 (舊 월성군)
[김천] 자산동, 양금동, 대신동, 대곡동, 지좌동, 율곡동, 평화·남산동(舊 김천시)
아포읍, 남면, 농소면, 개령면, 감문면, 어모면, 봉산면, 대항면, 감천면, 조마면, 구성면, 지례면, 부항면, 대덕면, 증산면 (舊 금릉군)
[안동] 옥동, 중구동, 명륜동, 용상동, 서구동, 태화동, 평화동, 안기동, 송하동, 강남동 (舊 안동시)
풍산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남후면, 풍천면, 일직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舊 안동군)
[영주] 상망동, 하망동, 영주동, 가흥1동, 가흥2동, 휴천1동, 휴천2동, 휴천3동, 풍기읍, 이산면, 평은면, 문수면, 장수면, 안정면, 봉현면, 순흥면, 단산면, 부석면[문경] 점촌1동, 점촌2동, 점촌3동, 점촌4동, 점촌5동, 문경읍, 가은읍, 영순면, 산양면, 호계면, 산북면, 동로면, 마성면, 농암면[예천] 예천읍, 용문면, 효자면, 은풍면, 감천면, 보문면, 호명면, 유천면, 용궁면, 개포면, 지보면, 풍양면[영천] 동부동, 중앙동, 서부동, 완산동, 남부동, 금호읍, 청통면, 신녕면, 화산면, 화북면, 화남면, 자양면, 임고면, 고경면, 북안면, 대창면[청도] 청도읍, 화양읍, 각남면, 풍각면, 각북면, 이서면, 운문면, 금천면, 매전면[상주] 남원동, 북문동, 계림동, 동문동, 동성동, 신흥동 (舊 상주시)
함창읍, 중동면, 낙동면, 청리면, 공성면, 외남면, 내서면, 모동면, 모서면, 화동면, 화서면, 화북면, 외서면, 은척면, 공검면, 이안면, 화남면, 사벌국면 (舊 상주군)
[군위] 군위읍, 소보면, 효령면, 부계면, 우보면, 의흥면, 산성면, 고로면[의성] 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옥산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봉양면,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다인면, 신평면, 안평면, 안사면[청송] 청송읍, 부남면, 현동면, 현서면, 안덕면, 파천면, 진보면, 주왕산면[1] 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되어 3심 끝에 2017년 2월 9일 당선무효형이 선고됐다.[경산] 서부1동, 서부2동, 중앙동, 동부동, 남부동, 중방동, 북부동, 하양읍, 진량읍, 압량읍, 와촌면, 자인면, 용성면, 남산면, 남천면[영양] 영양읍, 입암면, 청기면, 일월면, 수비면, 석보면[영덕] 영덕읍, 강구면, 남정면, 달산면,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봉화] 봉화읍, 물야면, 봉성면, 법전면, 춘양면, 소천면, 석포면, 재산면, 명호면, 상운면[울진] 울진읍, 평해읍, 북면, 죽변면, 후포면, 근남면, 매화면, 기성면, 온정면, 금강송면[고령]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성주]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월항면[칠곡]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2] 2019년 6월 13일에 당선 무효 및 의원직 상실. 자세한 내용은 이완영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