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회 지지옥션배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

덤프버전 : (♥ 0)


1. 개요
2. 전기 대회
3. [아마] 소년 대 소녀 유망주 연승대항전
3.1. 선발전
3.2. 본선
3.2.1. 출전자 명단
3.2.2. 대국 결과
4. [프로]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
4.1. 선발전
4.2. 본선
4.2.1. 출전자 명단
4.2.2. 대국 결과



1. 개요[편집]


2023년 개최되는 지지옥션배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을 서술한 문서. 5월 1일 아마 연승대항전(소년 대 소녀 유망주 연승대항전)부터 시작한다.

2. 전기 대회[편집]


제16회 지지옥션배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


3. [아마] 소년 대 소녀 유망주 연승대항전[편집]


소년 대 소녀 유망주 연승전 포멧으로 바꾼 후 두 번째로 열리는 아마 지지옥션배로 이번 대회부터 선발전이 실시된다. 시드자 3명(연구생 성적 우수자 2명, 최연소자 1명)과 선발전 통과자 4명이 한 팀으로 구성되어 연승전을 진행한다.

3.1. 선발전[편집]


  • 이번 아마 연승전 선발전은 4월 22일에 진행하며 소년팀과 소녀팀 각 4명을 선발한다. (아마선발전 대진표)
  • 소년팀은 21명의 선수가 선발전에 참가해 4개조로 나눠 토너먼트로 본선 출전자를 선발했으며 그 결과 김동욱, 박태환, 박종찬, 김민찬이 선발전을 통과했다.
  • 소녀팀은 7명의 선수가 선발전에 참가해 2개조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실시해 본선 진출자 4명을 선발했으며 1조에서는 최서비가 2승, 이서영이 2승 1패로 선발전을 통과했고, 3명이 한 조로 진행된 2조에서는 송유진이 2승, 부전으로 2라운드부터 시작한 백여정이 1승 1패로 통과했다.

3.2. 본선[편집]


  • 본선은 5월 1일 부터 매주 월요일, 화요일 저녁 7시에 진행된다.
  • 중계 : 바둑TV (캐스터 - 류승희, 해설 - 한철균 九단)

소년팀
선봉
2
3
4
5
6
대장
표현우
(1국 패)
김민찬
(2승, 4국 패)
박태환
(1승, 6국 패)
김동욱
(7국 패)
박종찬
(8국 패)
원강하
(9국 패)
김하윤
(10국 패)
소녀팀
선봉
2
3
4
미출전
미출전
미출전
이서영
(1승, 2국 패)
송유진
(3국 패)
이 윤
(1승, 6국 패)
백여정
(5승)
이나현이정은최서비
  • 현재 연승자(모든 대국 종료시 최종국 승자)
  • 승리 기록 후 탈락자
  • 무승 탈락자


3.2.1. 출전자 명단[편집]


제17회 지지옥션배 소년 대 소녀 유망주 연승대항전 출전자 명단
소년팀 (감독 : 김현찬 五단)
VS
소녀팀 (감독 : 한태희 七단)
김하윤원강하성적 우수 시드이정은이나현
표현우최연소 시드이 윤
박태환박종찬선발전
통과자
이서영송유진
김민찬김동욱백여정최서비


3.2.2. 대국 결과[편집]


대국일정소년팀소녀팀결과
1국5월 1일(월)표현우이서영212수 흑 6집반승
2국5월 2일(화)김민찬272수 흑 2집반승
3국5월 8일(월)송유진309수 흑 1집반승
4국5월 9일(화)이 윤310수 백 17집반승
5국5월 15일(월)박태환196수 백 불계승
6국5월 16일(화)백여정166수 백 불계승
7국5월 22일(월)김동욱252수 백 1집반승
8국5월 23일(화)박종찬215수 흑 불계승
9국5월 29일(월)원강하230수 백 불계승
10국5월 30일(화)김하윤302수 흑 12집반승
전적37소녀팀 우승

이번 아마 지지옥션배에서는 '소녀팀'의 네 번째 주자였던 2007년생 백여정 선수의 활약이 돋보였다. 백여정은 박태환, 김동욱, 박종찬, 원강하, 김하윤을 차례대로 꺾으며 최종 5연승으로 소녀팀의 우승을 결정지었다. 여담으로 백여정 선수는 우승 확정과 함께 공약으로 걸었던 Hype Boy 댄스를 추는 세레머니를 보여주었다.

4. [프로]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편집]



4.1. 선발전[편집]


  • 선발전은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신사팀과 숙녀팀 모두 8개조 토너먼트로 각 팀당 8명의 본선 출전자를 선발한다. 랭킹시드로 신사팀은 조한승, 유창혁, 이창호가 랭킹시드를 받았으며 숙녀팀은 최정, 김채영, 김은지가 랭킹시드로 출전한다. (대진표)
  • 신사팀은 53명이 예선에 출전하여 강지성, 김찬우, 최명훈, 오규철, 안조영, 백대현, 박병규, 이정우 선수가 본선에 합류했는데 71살의 오규철 선수가 신사팀 최연장자로 본선에 합류했으며, 이정우 선수는 이번이 첫 지지옥션배 출전이다.
  • 숙녀팀은 52명이 예선에 출전하여 조승아, 김미리, 오유진, 강다정, 김선빈, 이나경, 김경은, 김혜민 선수가 본선에 진출했다. 이 중 김선빈, 이나경, 김경은은 이번이 지지옥션배 첫 출전이며 특히 이나경은 15살로 이번 대회 양 팀 출전 선수 중 최연소 선수이다. 또한 김혜민은 이번 대회 숙녀팀 중 최고령 선수다. 그러나 조혜연이 후원사 시드를 받으면서 깨졌다.

4.2. 본선[편집]


  • 본선은 6월 19일 부터 매주 월요일, 화요일 저녁 7시에 진행된다.
  • 중계 : 바둑TV (캐스터 - 한해원 三단, 이다혜 五단 / 해설 - 양상국 九단, 백성호 九단)

신사팀
선봉
2
3
4
5
6
이정우
(6승, 7국 패)
한종진
(1승, 9국 패)
유창혁
(10국 패)
오규철
(11국 패)
강지성
(12국 패)
박병규
(13국 패)
7
8
9
10
11
대장
안조영
(3승, 17국 패)
김찬우
(18국 패)
백대현
(1승, 20국 패)
최명훈
(21국 패)
이창호
(22국 패)
조한승
(최종국 승)
숙녀팀
선봉
2
3
4
5
6
김선빈
(1국 패)
강다정
(2국 패)
조혜연
(3국 패)
오유진
(4국 패)
이나경
(5국 패)
김미리
(6국 패)
7
8
9
10
11
대장
김혜민
(1승, 8국 패)
김채영
(5승, 14국 패)
김경은
(15국 패)
조승아
(16국 패)
김은지
(2승, 19국 패)
최 정
(3승, 23국 패)
  • 현재 연승자(모든 대국 종료시 최종국 승자)
  • 승리 기록 후 탈락자
  • 무승 탈락자


4.2.1. 출전자 명단[편집]


제17회 지지옥션배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 출전자 명단
신사팀
VS
숙녀팀
조한승이창호유창혁랭킹 시드최 정김채영김은지
한종진와일드카드조혜연
강지성김찬우최명훈예선
통과자
조승아김미리오유진
오규철안조영백대현강다정김선빈이나경
박병규이정우김경은김혜민


4.2.2. 대국 결과[편집]


대국일정신사팀숙녀팀결과
1국6월 19일(월)이정우김선빈141수 흑 불계승
2국6월 20일(화)강다정191수 흑 불계승
3국6월 26일(월)조혜연207수 흑 불계승
4국6월 27일(화)오유진239수 흑 불계승
5국7월 3일(월)이나경169수 흑 불계승
6국7월 4일(화)김미리305수 백 12집반승
7국7월 10일(월)김혜민270수 흑 반집승
8국7월 11일(화)한종진301수 흑 7집반승
9국7월 17일(월)김채영138수 백 불계승
10국7월 18일(화)유창혁306수 흑 2집반승
11국7월 24일(월)오규철164수 백 불계승
12국7월 25일(화)강지성296수 백 1집반승
13국7월 29일(토)[1]박병규299수 흑 불계승
14국7월 30일(일)[2]안조영217수 흑 불계승
15국8월 7일(월)김경은208수 백 불계승
16국8월 8일(화)조승아181수 흑 불계승
17국8월 28일(월)김은지272수 백 1집반승
18국8월 29일(화)김찬우235수 백 4집반승
19국9월 4일(월)백대현233수 흑 불계승
20국9월 5일(화)최 정174수 백 불계승
21국9월 11일(월)최명훈301수 흑 7집반승
22국9월 12일(화)이창호268수 백 불계승
23국9월 13일(수)조한승226수 백 불계승
전적1211신사팀 우승
(2년 연속 우승)

프로 지지옥션배는 신사팀이 2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신사팀은 이정우가 선봉 6연승으로 기선제압에 성공했다. 반면 숙녀팀은 6연패 후 김혜민의 첫 승이 나왔고 이후 8번째 주자 김채영이 5연승으로 추격을 시작했다. 이후 신사팀은 안조영이 다시 3연승으로 격차를 벌렸으나 김은지가 2연승, 최정이 3연승까지 성공하며 결국 2년 연속 최종 23국 대국까지 열렸다. 최종국에서는 조한승이 최정을 상대로 지난 해에 이어 다시 한 번 승리를 거두며 2년 연속 신사팀의 우승을 결정지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4:57:45에 나무위키 제17회 지지옥션배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는 31일 대국이나 김채영 선수가 8월 1일에 중국여자갑조리그 대국 일정이 있어 이로 인해 당겨서 대국을 진행했으며 녹화된 대국은 7월 31일에 방송됐다.[2] 김채영 선수의 승리로 14국도 당겨서 진행했다. 이 대국은 8월 1일에 방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