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토요타덴소배 세계 바둑 왕좌전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토요타덴소배 세계 바둑 왕좌전


1. 개요
2. 일정
3. 예선전
3.1. 일본
3.2. 대륙간 플레이오프
4. 본선 토너먼트
5. 여담



1. 개요[편집]


제1회 토요타덴소배 세계 바둑 왕좌전 관련 정보.


2. 일정[편집]


  • 2002년 3월 17일 ~ 18일: 아시아・아프리카・오세아니아 대륙간 플레이오프[1]
  • 2002년 3월 19일: 본선 32강전
  • 2002년 9월 2일: 본선 16강전
  • 2002년 9월 4일: 본선 8강
  • 2002년 9월 6일: 본선 4강
  • 2003년 1월 29일: 결승


3. 예선전[편집]



3.1. 일본[편집]


1조이시이 구니오이시다고토 슌고
이시다 요시오
고토 슌고고토
소노다 야스타카

2조유키 사토시유키유키 사토시
김수준
히코사카 나오토다케미야
다케미야 마사키

3조야마시타 게이고야마시타야마시타 게이고
나카무라 신야
조선진오부치
오부치 모리토

4조아키야마 지로아키야마하세가와 스나오
다카오 신지
하세가와 스나오

5조양자위안양자위안
유카와 미쓰히사
이마무라 요시아키

6조마쓰오카 히데키이마무라장쉬
이마무라 도시야
장쉬

7조고마쓰 히데키고마쓰고마쓰 히데키
소노다 유이치
아와지 슈조


3.2. 대륙간 플레이오프[편집]


이름ABCD결과
A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빅터 초우 6단OXX12탈락
B파일:호주 국기.svg 궈이밍 7단XXX03탈락
C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양스하이 八단OOO30본선 진출
D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린위샹 初단OOX21본선 진출


4. 본선 토너먼트[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호
파일:일본 국기.svg 류시훈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시타 게이고파일:일본 국기.svg 야마시타 게이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영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페르난도 아길라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페르난도 아길라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페르난도 아길라
파일:일본 국기.svg 하세가와 스나오
파일:일본 국기.svg 양자위안파일:일본 국기.svg 양자위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수장
파일:중국 국기.svg 위빈파일:중국 국기.svg 위빈파일:중국 국기.svg 위빈파일:중국 국기.svg 위빈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은
파일:일본 국기.svg 요다 노리모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창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창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창혁
파일:중국 국기.svg 마샤오춘
파일:중국 국기.svg 샤오웨이강파일:중국 국기.svg 샤오웨이강
파일:일본 국기.svg 조치훈
파일:중국 국기.svg 창하오파일:중국 국기.svg 창하오파일:중국 국기.svg 창하오파일:중국 국기.svg 창하오파일:중국 국기.svg 창하오
파일:일본 국기.svg 고마쓰 히데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세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세돌
파일:일본 국기.svg 유키 사토시
파일:일본 국기.svg 왕밍완파일:일본 국기.svg 왕밍완파일:일본 국기.svg 왕밍완
파일:중국 국기.svg 장쉬안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양스하이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양스하이
파일:일본 국기.svg 장쉬
파일:중국 국기.svg 왕레이파일:중국 국기.svg 왕레이파일:중국 국기.svg 왕레이파일:중국 국기.svg 왕레이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린위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훈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훈현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고이치
파일:일본 국기.svg 왕리청파일:일본 국기.svg 왕리청파일:일본 국기.svg 왕리청
파일:미국 국기.svg 양후이런
파일:중국 국기.svg 천주더파일:중국 국기.svg 천주더
파일:일본 국기.svg 고토 슌고


5. 여담[편집]


  • 박지은 (당시)三단이 명인 보유자였던 요다 노리모토 九단을 누르는 이변을 보였다.
  • 남미 대표로 출전한 아르헨티나의 아마추어 바둑 기사인 페르난도 아길라가 하세가와 스나오 九단과 양자위안 九단을 각각 백 3집반과 흑 2집반으로 승리하며 남미 대표 최초이자 유일한 세계대회 승리를 거두는 이변을 보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28:09에 나무위키 제1회 토요타덴소배 세계 바둑 왕좌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승자 2명이 본선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