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버스 200, 201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7년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 개편 이후 200번 노선의 대체 노선에 대한 내용은 제주 버스 466 문서
제주 버스 466번 문단을
제주 버스 466# 부분을
, 동 개편 이후 201번 노선의 대체 노선에 대한 내용은 제주 버스 452 문서
제주 버스 452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제주 버스 452# 부분을
# 부분을
, 동 개편 이후 신설된 201번 노선에 대한 내용은 제주 버스 201 문서
제주 버스 201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제주 버스 201#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samyeong200.jpg
파일:제주버스구200.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시간표
6. 주요 관광지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시 일반시내버스 2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제주버스200노선도.png
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백록초등학교)
제주특별자치도 애월읍 광령리(제주관광대학교)
제주특별자치도 애월읍 수산리(수산리사무소앞)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일동(공항입구)
종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백록초등학교)
제주특별자치도 애월읍 광령리(제주관광대학교)
제주특별자치도 애월읍 수산리(수산리사무소앞)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일동(공항입구)
반시계방향첫차평일 08:19
주말 08:07
시계방향첫차-
막차평일 20:47
휴일 20:42
막차-
평일배차8~39분휴일배차15~31분
운수사명삼영교통인가대수6대
노선백록초등학교 - 노형오거리 - 한라병원 - 제원아파트 - 신제주로터리 - 제주시외버스터미널 - 동광양 - 인화동 - 동문로터리 - 용담 - 제주국제공항 - 신제주로터리 - 제원아파트 - 한라병원 - 노형오거리 - 백록초등학교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시 일반시내버스 2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제주버스201노선도.png
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2리(하귀초등학교)종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원노형마을)
종점행첫차07:00시점행첫차-
막차-막차-
평일배차하루 1회
운수사명삼영교통인가대수6대
노선하귀초등학교 → 안남동 → 하귀하나로마트 → 하귀휴먼시아 → 연대마을 → 일우한란 → 외도부영아파트 → 도평초등학교 → 광평마을 → 한라대학교 → 부영아파트 → 제주제일고 → 원노형마을


2. 개요[편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삼영교통에서 운행했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오래 전부터 200번 순환 노선으로 운행했다.

  • 2005년 대화여객 파업 및 면허 해제로 삼영교통이 기존 대화여객 노선들을 자신 회사로 차량을 메꾸는 과정에서 300번과 같이 폐선되었다.

  • 그러나 일도, 건입동 주민들의 많은 민원으로 2006년에 300번과 같이 부활하였다.

  • 2014년 6월부터 제주국제공항 버스 정류장이 분리되면서 6번 정류장(신제주 방향)에 정차한다.

  • 2015년 초 즈음부터 혼잡도가 엄청나던 50번의 승객 분산을 위해 등하교 맞춤 201번이 신설되었다.

  • 2015년 10월 12일에 운행시간이 조정되었다.

  • 2017년 3월 16일부터 200, 201번 평일 운행시간이 조정되었다.

  • 2017년 8월 26일에 제주버스 대개편으로 200번은 466번으로, 201번은 452번으로 대체되고 폐선되었다.


4. 특징[편집]


  • 노형 백록초등학교를 기점으로 한라병원 → 제원아파트 → 신제주로터리를 지나 신제주입구교차로에서 우회전하여 구도심(제주시외버스터미널, 광양사거리, 인제사거리, 제주여상, 동문로터리, 용담, 제주국제공항)을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한 후 다시 신제주로터리에서 제원아파트 → 한라병원 → 노형오거리 → 백록초등학교로 돌아온다. 반대 방향은 70번을 이용하면 되며, 제주 시내버스 노선 중 몇 안되는 순환형 노선이다. 이 노선의 주 수요층은 일도1•2동, 건입동(제주여상)에서 신제주로 향하는 승객과 노형지구에서 한라병원, 제원아파트, 제주시외버스터미널로 가는 승객이 대부분이다. 은근히 고정 승객이 상당히 많지만 배차간격이 들쑥날쑥하기 때문에 시간표를 잘 확인해야 하며, 평일 한정으로 일부 시간대에는 제주관광대학, 서부경찰서, 도평 등 시내버스가 잘 다니지 않는 곳까지 연장 운행한다. 그 이외의 시간대는 전부 백록초등학교로 돌아온다.

  • 폐선 후 이야기인데, 201번은 현 201번과 헷갈릴 수 있으니 조심하자.


5. 시간표[편집]


  • 200번 노선은 시간표가 정말 복잡하니까 시간대를 잘 보고 이용해야 한다.
[ 200번 시간표 보기 ]
평일 파일:3NlcvbF.png 휴일 파일:qlNqlqN.pn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내버스 201번 운행시간표
2017년 3월 16일 기준
백록초교하귀휴먼시아외도부영한라대원노형
07:0007:0707:1607:2707:34



6. 주요 관광지[편집]


사라봉, 제주동문시장, 산지천, 제주 올레 17코스, 제주 올레 18코스, 칠성로 쇼핑거리, 관덕정(제주목관아지), 용두암, 용연구름다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2 02:33:13에 나무위키 제주 버스 2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