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독의 결단 IV/등장 함선/일본

덤프버전 : (♥ 0)


제독의 결단 IV에 등장하는 일본 제국 소속 군함들을 정리한 항목.

1. 주력함
2. 보조함
4. 잠수함
5. 상륙함



1. 주력함[편집]



1.1. 전함(BB)[편집]



1.1.1. 콩고급 전함[편집]


함종전함명칭[실제명칭]金剛型戦艦
주포35.6cm(14인치) 8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2기
부포15.2cm(6인치) 14문부포 배치좌현 단장포 7기, 우현 단장포 7기
고각포연장포 4기대공기관총20문
현측장갑21현측내구도80
갑판장갑7갑판내구도160
최고속력30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3기

콩고급 전함은 일본 최초의 순양전함으로, 영국의 라이온급 순양전함의 개량형으로 제작되었다.[1] 원판인 라이온급은 13.5인치 주포를 탑재했던 데 비해 콩고급은 14인치 주포를 세계 최초로 탑재했고 기존의 충각형 함수도 이중만곡형 함수로 대체해 속력도 증가했다. 1번함 콩고는 영국에서 제작되었고, 2번함 히에이는 영국에서 가져온 부품으로 건조되었다. 3번함 하루나와 4번함 키리시마는 일본 국내에서 직접 건조되었다. 이후 아마기급 순양전함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취소된 뒤 일본군이 순양전함 분류를 삭제함에 따라 콩고급은 전함으로 분류되었다.

이처럼 등장 시에는 세계 최강의 순양전함이었지만... 유틀란트 해전에서 순양전함의 문제점이 제대로 드러나게 되었다. 콩고급이 라이온급에 비해 방어력이 높긴 했지만 그래 봤자 순양전함이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의 전함인지라 1939년 기준 모든 함정이 25세에 가까운 노령이었고, 14인치 주포도 이미 당시의 전함 중에선 최하위급 수준이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27노트였던 속도가 대개장으로 30노트로 증가해 일본군 전함 중 가장 빠른 속도를 가졌고[3] 함대결전용으로는 너무 약해서 일본군이 열심히 굴렸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태평양 전쟁 최고의 수훈 전함이 되었다.

게임에서도 태생이 순양전함이기에 공방능력 자체는 모든 일본 전함 중 가장 낮지만, 30노트라는 속도 때문에 항공모함과 수뢰전대가 주력이 되는 일본에세는 오히려 후소급 전함이나 이세급 전함보다 더 쓸모있다. 이 둘은 너무 느려서 포격전 이외에는 쓸모없지만 콩고급은 속도가 빠르기에 수뢰전대와 동행해도 그럭저럭 발을 맞출 수 있고, 항공모함의 발을 그렇게 묶지도 않는다.[4] 그 때문에 비싸고 1941년 기준 1척이 건조 막바지인 것이 끝인 야마토급을 제외하면 사실상 함대함전에서 가장 유용한 전함이다.

다만 그래 봤자 14인치 순양전함이기에, 중반 이후 되면 고속만으로 부족한 성능을 커버하기엔 어려워진다. 또한 시작 시 오가사와라 쪽에는 2척만 배치되어 있고 2척은 오키나와에 있다는 것이 아쉬운 점. 애초에 30노트는 전함치고는 빠르긴 하지만 항공모함, 중순양함들에 비하면 상당히 느리다. 고속전함으로 개장하는 것이 좋다.


1.1.2. 후소급 전함[편집]


함종전함명칭[실제명칭]扶桑型戦艦
주포35.6cm(14인치) 12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3기, 후방 연장포 3기
부포15.2cm(6인치) 14문부포 배치좌현 단장포 7기, 우현 단장포 7기
고각포연장포 4기대공기관총10문
현측장갑31현측내구도80
갑판장갑7갑판내구도160
최고속력24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3기

공방능력은 콩고급에서 크게 증가했지만, 대공능력은 오히려 줄어들었고 속도는 6노트나 떨어진다. 24노트는 미국의 구형 전함들보다 더 빠르긴 했지만 결코 빠르다고 할 수 없고, 미국과 전함 대 전함으로 포격전을 할 일도 없기에[5] 그냥 지상포격용 포함 이상도 이하도 아니게 된다.


1.1.3. 야마시로급 전함[편집]


함종전함명칭[실제명칭]扶桑型戦艦
주포35.6cm(14인치) 12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4기
부포15.2cm(6인치) 14문부포 배치좌현 단장포 7기, 우현 단장포 7기
고각포연장포 4기대공기관총10문
현측장갑31현측내구도80
갑판장갑7갑판내구도160
최고속력24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3기
주포의 배치가 다르다. 후소는 전방 3기에 후방 3기, 야마시로는 전방 2기에 후방 4기. 당연히 후소랑 성능은 사실상 동일하다. 아니, 오히려 더 나쁘다.


1.1.4. 이세급 전함[편집]


함종전함명칭[실제명칭]伊勢型戦艦
주포35.6cm(14인치) 12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4기
부포14.0cm(5.5인치) 18문부포 배치좌현 단장포 9기, 우현 단장포 9기
고각포연장포 4기대공기관총20문
현측장갑31현측내구도80
갑판장갑9갑판내구도160
최고속력25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3기

후소급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량해서 나온 일본의 14인치 전함의 완성형. 그러나 원판 불변의 법칙(...)으로 크게 차이는 없다.

게임에서는 후소의 여러 사소한(?) 문제점들이 등장하지 않기에 더욱 차이점이 없다. 1노트 빨라지고 장갑도 튼튼해지고 부포와 대공기총도 증가했지만 그래도 부족한 성능은 여전하다. 전함결전을 하지 않는 일본으로서는 그냥 지상포격용 포함.


1.1.5. 나가토급 전함[편집]


함종전함명칭[실제명칭]長門型戦艦
주포40.6cm(16인치) 8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2기
부포14.0cm(5.5인치) 18문부포 배치좌현 단장포 9기, 우현 단장포 9기
고각포연장포 4기대공기관총20문
현측장갑31현측내구도80
갑판장갑15갑판내구도160
최고속력25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3기

"나가토와 무츠는 나라의 자랑"이라고까지 불리며 국민들로부터 사랑을 받던 세계 최초의 16인치급 전함. 그러나 2차 개장 시 기관부를 완전교체하지 않아 속도가 27노트에서 25노트로 줄어들었다(...) 이런 개악으로 인한 느린 속도 때문에 함대에서 뒤쳐지는 등(...) 전혀 활약하지 못하다, 2번함 무츠는 전쟁 중 3번 포탑의 원인불명 폭발로 굉침했고 1번함 나가토는 전후 미국에게 배상함으로 넘어가 핵실험으로 수장됐다.

게임 내에서는 16인치 주포 등의 강력한 무장을 하고 있지만 그놈의 느린 속도가 발목을 잡는다. 정규항공모함에 붙일 수 없는 느린 속도 때문에 밥값을 못 하는 녀석.


1.1.6. 카가급 전함[편집]


함종전함명칭[실제명칭]加賀型戦艦
주포40.6cm(16인치) 10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3기
부포14.0cm(5.5인치) 20문부포 배치좌현 단장포 10기, 우현 단장포 10기
고각포연장포 4기대공기관총20문
현측장갑31현측내구도80
갑판장갑15갑판내구도160
최고속력26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3기

88함대 계획의 일환으로 총 2척이 건조 예정이었으나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취소되어 1번함 토사는 나가토, 무츠 등에게 표적함으로 수장당하고 2번함 카가는 관동대지진으로 대파된 아마기를 대신해 우리가 잘 아는 항공모함으로 개장된다.

게임에서는 나가토급에 비해 속도가 1노트 빠른데, 사실 이건 나가토급의 개악(...) 때문이고 원래 계획대로라면 나가토급(27노트)보다 1노트 더 느렸다. 주포 10문을 탑재해 나가토급보다 화력 등 모든 면에서 우월하지만, 이놈은 워싱턴 조약으로 폐기된 놈이라는 게 문제. 키이급 전함(게임 내의 오와리급 전함)이 존재하기에 전혀 쓸모가 없다(...)


1.1.7. 오와리급 전함[편집]


함종전함명칭[실제명칭]紀伊型戦艦
주포40.6cm(16인치) 10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3기
부포14.0cm(5.5인치) 16문부포 배치좌현 단장포 8기, 우현 단장포 88기
고각포연장포 4기대공기관총20문
현측장갑35현측내구도80
갑판장갑15갑판내구도160
최고속력30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3기

88함대 계획의 일환으로 4척이 건조 예정이었으나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취소된 함급. 실제로는 키이급 전함이라는 이름이었으나 게임에서는 오와리급 전함으로 나오는데, 이건 키이라는 이름이 이후에 야마토급 전함 4번함의 이름으로 예정되었기 때문에 겹치지 않도록 2번함 오와리의 이름으로 부르는 것.

빠른 속력과 높은 공격력을 가진 명품 전함이지만, 한 척도 건조되지 못했기에 게임 시작 시에는 설계안으로만 존재한다. 그 때문에 13호급 전함의 존재에 묻혀서 좋은 성능에도 활약하기 힘들다.


1.1.8. 13호급 전함[편집]


함종전함명칭[실제명칭]十三号型戦艦
주포46.0cm(18.1인치) 8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2기
부포14.0cm(5.5인치) 16문부포 배치좌현 단장포 8기, 우현 단장포 8기
고각포연장포 6기대공기관총28문
현측장갑40현측내구도80
갑판장갑16갑판내구도160
최고속력30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7기

실제 이름은 순양전함이지만 사실상 그냥 전함이다. 전반적으로 콩고의 속도와 나가토의 갑판장갑을 가진 야마토에 가깝다. 속도를 제외하면 야마토급 전함의 열화판이지만 이 속도가 30노트나 되기에 오히려 야마토급보다 더 쓸만하다. 설계 자체는 야마토급이 더 선진적이지만... 다만 카이야마토급과 비교하면 대공능력이 하늘과 땅 차이라 미묘하다. 구형함 개조 시 상당히 써먹게 될 함급.


1.1.9. 야마토급 전함[편집]


함종전함명칭[실제명칭]大和型戦艦
주포46.0cm(18.1인치) 9문주포 배치전방 3연장포 2기, 후방 3연장포 1기
부포15.5cm(6.1인치) 12문부포 배치전방 3연장포 1기, 후방 3연장포 1기
좌현 3연장포 1기, 우현 3연장포 1기
고각포연장포 6기대공기관총28문
현측장갑41현측내구도85
갑판장갑23갑판내구도170
최고속력27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7기

실제 함급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항목 참조. 1939년 시나리오에서는 연구만 되어 있으며 1941년 시나리오에서는 1번함 야마토가 건조 중이다(게임 시작 3주 후 건조 완료). 속도가 느린 것을 빼면 그야말로 완전한 전함이지만, 개장 후 사양인 카이야마토급 때문에 정작 쓸 시간은 얼마 안 된다. 게다가 비싸다.


1.1.10. 카이야마토급 전함[편집]


함종전함명칭[실제명칭]大和型戦艦改
주포46.0cm(18.1인치) 9문주포 배치전방 3연장포 2기, 후방 3연장포 1기
부포15.5cm(6.1인치) 6문부포 배치전방 3연장포 1기, 후방 3연장포 1기
고각포연장포 12기대공기관총150문
현측장갑41현측내구도85
갑판장갑23갑판내구도170
최고속력27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7기

야마토급의 개장 형태(천 1호 작전 당시의 모습)로 현측 3연장 부포탑을 철거하고 대공포를 떡칠한 형태이다. 대공능력은 매우 우수해 아이오와급 전함보다 낫지만[6] 속도가 27노트라는 점이 문제.


1.1.11. 키이급 전함[편집]


함종전함명칭[실제명칭]超大和型戦艦
주포51.0cm(20.1인치) 6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1기
부포15.5cm(6.1인치) 12문부포 배치전방 3연장포 1기, 후방 3연장포 1기
좌현 3연장포 1기, 우현 3연장포 1기
고각포연장포 6기대공기관총28문
현측장갑48현측내구도90
갑판장갑27갑판내구도180
최고속력27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7기

51cm(20.1인치) 주포를 장착한 야마토급 전함의 발전(?)형 페이퍼 플랜. 원래대로라면 야마토급의 6, 7번함이어야 했지만 일본이 야마토급을 6척이나 뽑아낼 능력이 절대 없었기에(...) 51cm 2연장 주포탑이 개발되었다면 4번함 키이에 탑재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때문에 게임 내에서도 명칭은 키이급 전함.

51cm 주포는 매우 강력하지만, 꼴랑 6문(...) 달려 있기에 실질화력은 영 좋지 않다. 사거리는 압도적이지만... 무엇보다 이게 나올 때면 이미 게임 중반은 된 건데, 그때쯤 되면 이미 직접 고속전함을 설계해서 쓸 여유가 된다. 쓸 일 없는 함급.


1.2. 순양전함(CB)[편집]



1.2.1. 아마기급 순양전함[편집]


함종순양전함명칭[실제명칭]紀伊型戦艦
주포40.6cm(16인치) 10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3기
부포14.0cm(5.5인치) 16문부포 배치좌현 단장포 8기, 우현 단장포 88기
고각포연장포 4기대공기관총20문
현측장갑30현측내구도60
갑판장갑12갑판내구도120
최고속력30노트함재기없음

88함대 계획의 일환으로 계획된 순양전함이지만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취소된 후, 1번함 아마기는 항공모함으로 개장 중 관동대지진으로 대파되어 폐기되고(...) 2번함 아카기만 항공모함으로 개장된다.

게임 내에서는 유일하게 16인치 주포를 장비한 순양전함. 시스템상 순양전함은 15인치가 최대 장착 주포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전반적으로 장갑이 약한 것을 빼면 오와리급과 동일하지만 정찰기가 없다는 심각한 문제가 존재하기에 성능은 그리 좋지 않다.


1.3. 항공전함(BBV)[편집]



1.3.1. 카이이세급 항공전함[편집]


함종항공전함명칭[실제명칭]伊勢型戦艦 改
주포35.6cm(14인치) 8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2기
부포없음부포 배치없음
고각포연장포 8기대공기관총57문
현측장갑31현측내구도80
갑판장갑9갑판내구도160
최고속력25노트함재기수상기 22기

항공전함이라는 물건 자체가 쓰레기다. 쓰지 말자.


2. 보조함[편집]



2.1. 중순양함(CA)[편집]



2.1.1. 후루타카급 중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古鷹型重巡洋艦
주포20.3cm(8인치) 6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1기
어뢰발사관4연장 2기폭뢰미장비
고각포단장포 4기대공기관총12문
현측장갑8현측내구도40
갑판장갑4갑판내구도80
최고속력33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2기


2.1.2. 아오바급 중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青葉型重巡洋艦
주포20.3cm(8인치) 6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1기
어뢰발사관4연장 2기폭뢰미장비
고각포단장포 4기대공기관총12문
현측장갑8현측내구도40
갑판장갑4갑판내구도80
최고속력33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2기


2.1.3. 묘코급 중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妙高型重巡洋艦
주포20.3cm(8인치) 10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3기, 후방 연장포 2기
어뢰발사관4연장 4기폭뢰미장비
고각포연장포 4기대공기관총12문
현측장갑11현측내구도40
갑판장갑4갑판내구도80
최고속력33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3기


2.1.4. 타카오급 중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高雄型重巡洋艦
주포20.3cm(8인치) 양용포 10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3기, 후방 연장포 2기
어뢰발사관4연장 4기폭뢰미장비
고각포연장포 4기대공기관총12문
현측장갑13현측내구도40
갑판장갑4갑판내구도80
최고속력34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3기


2.1.5. 초카이급 중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高雄型重巡洋艦
주포20.3cm(8인치) 양용포 10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3기, 후방 연장포 2기
어뢰발사관2연장 2기폭뢰미장비
고각포단장포 4기대공기관총8문
현측장갑13현측내구도40
갑판장갑4갑판내구도80
최고속력34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3기


2.1.6. 모가미급 중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最上型重巡洋艦
주포20.3cm(8인치) 10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3기, 후방 연장포 2기
어뢰발사관3연장 2기폭뢰미장비
고각포연장포 6기대공기관총12문
현측장갑10현측내구도40
갑판장갑4갑판내구도80
최고속력34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3기


2.1.7. 카이모가미급 중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最上型重巡洋艦
주포20.3cm(8인치) 6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3기
어뢰발사관3연장 2기폭뢰미장비
고각포연장포 6기대공기관총60문
현측장갑10현측내구도40
갑판장갑4갑판내구도80
최고속력35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11기


2.1.8. 토네급 중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利根型重巡洋艦
주포20.3cm(8인치) 8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4기
어뢰발사관3연장 2기폭뢰미장비
고각포연장포 6기대공기관총12문
현측장갑10현측내구도40
갑판장갑4갑판내구도80
최고속력35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7기


2.2. 경순양함(CL)[편집]



2.2.1. 텐류급 경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天龍型軽巡洋艦'
주포14.0cm(5.5인치) 4문주포 배치전방 단장포 2기, 후방 단장포 2기
어뢰발사관3연장 2기폭뢰장비
고각포단장포 1기대공기관총4문
현측장갑7현측내구도20
갑판장갑3갑판내구도40
최고속력33노트함재기없음


2.2.2. 쿠마급 경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球磨型軽巡洋艦'
주포14.0cm(5.5인치) 7문주포 배치전방 단장포 4기, 후방 단장포 3기
어뢰발사관2연장 4기폭뢰장비
고각포단장포 2기대공기관총4문
현측장갑7현측내구도20
갑판장갑3갑판내구도40
최고속력36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1기


2.2.3. 나가라급 경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長良型軽巡洋艦'
주포14.0cm(5.5인치) 7문주포 배치전방 단장포 4기, 후방 단장포 3기
어뢰발사관2연장 4기폭뢰장비
고각포없음대공기관총9문
현측장갑7현측내구도20
갑판장갑3갑판내구도40
최고속력36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1기


2.2.4. 센다이급 경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川内型軽巡洋艦'
주포14.0cm(5.5인치) 7문주포 배치전방 단장포 4기, 후방 단장포 3기
어뢰발사관2연장 4기폭뢰장비
고각포없음대공기관총8문
현측장갑7현측내구도20
갑판장갑3갑판내구도40
최고속력36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1기


2.2.5. 유바리급 경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夕張型軽巡洋艦'
주포14.0cm(5.5인치) 6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1기
어뢰발사관2연장 2기폭뢰장비
고각포없음대공기관총4문
현측장갑4현측내구도20
갑판장갑3갑판내구도40
최고속력36노트함재기없음


2.2.6. 카이쿠마급 경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球磨型軽巡洋艦 改'
주포14.0cm(5.5인치) 4문주포 배치전방 단장포 4기
어뢰발사관4연장 10기폭뢰장비
고각포없음대공기관총4문
현측장갑7현측내구도20
갑판장갑3갑판내구도40
최고속력31노트함재기없음


2.2.7. 아가노급 경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阿賀野型軽巡洋艦'
주포15.2cm(6인치) 6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1기
어뢰발사관4연장 2기폭뢰장비
고각포연장포 2기대공기관총48문
현측장갑6현측내구도20
갑판장갑2갑판내구도40
최고속력35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2기


2.2.8. 오요도급 경순양함[편집]


함종중순양함명칭[실제명칭]'大淀型軽巡洋艦'''
주포15.5cm(6.1인치) 6문주포 배치전방 3연장포 2기
어뢰발사관없음폭뢰장비
고각포연장포 4기대공기관총52문
현측장갑6현측내구도20
갑판장갑3갑판내구도40
최고속력34노트함재기수상정찰기 6기


2.3. 구축함(DD)[편집]



2.3.1. 미네카제급 구축함[편집]




2.3.2. 카이미네카제급 구축함[편집]




2.3.3. 무츠키급 구축함[편집]




2.3.4. 후부키급 구축함[편집]




2.3.5. 하츠하루급 구축함[편집]




2.3.6. 시라츠유급 구축함[편집]




2.3.7. 아사시오급 구축함[편집]




2.3.8. 카게로급 구축함[편집]




2.3.9. 유구모급 구축함[편집]




2.3.10. 시마카제급 구축함[편집]




2.3.11. 아키즈키급 구축함[편집]




3. 항공모함[편집]



3.1. 정규항공모함(CV)[편집]



3.1.1. 아카기급 항공모함[편집]


함종정규항공모함명칭[실제명칭]赤城型航空母艦
주포20.0cm(7.9인치) 6문주포 배치후방 단장포 6기
고각포연장포 6기대공기관총28문
현측장갑26현측내구도50
갑판장갑6갑판내구도100
최고속력31노트탑재량91기


3.1.2. 카가급 항공모함[편집]


함종정규항공모함명칭[실제명칭]加霞型航空母艦
주포20.0cm(7.9인치) 10문주포 배치전방 연장포 2기, 후방 연장포 3기
고각포연장포 8기대공기관총22문
현측장갑28현측내구도50
갑판장갑4갑판내구도100
최고속력28노트탑재량90기


3.1.3. 소류급 항공모함[편집]


함종정규항공모함명칭[실제명칭]蒼龍型航空母艦
주포없음주포 배치없음
고각포연장포 6기대공기관총28문
현측장갑6현측내구도50
갑판장갑4갑판내구도100
최고속력34노트탑재량74기


3.1.4. 히류급 항공모함[편집]


함종정규항공모함명칭[실제명칭]飛龍型航空母艦
주포없음주포 배치없음
고각포연장포 6기대공기관총31문
현측장갑6현측내구도50
갑판장갑4갑판내구도100
최고속력34노트탑재량74기


3.1.5. 쇼카쿠급 항공모함[편집]


함종정규항공모함명칭[실제명칭]翔鶴型航空母艦
주포없음주포 배치없음
고각포연장포 8기대공기관총36문
현측장갑6현측내구도50
갑판장갑7갑판내구도100
최고속력34노트탑재량84기


3.1.6. 히요급 항공모함[편집]


함종정규항공모함명칭[실제명칭]飛鷹型航空母艦
주포없음주포 배치없음
고각포연장포 6기대공기관총24문
현측장갑6현측내구도50
갑판장갑7갑판내구도100
최고속력25노트탑재량53기


3.1.7. 운류급 항공모함[편집]


함종정규항공모함명칭[실제명칭]雲龍型航空母艦
주포없음주포 배치없음
고각포연장포 6기대공기관총93문
현측장갑17현측내구도50
갑판장갑7갑판내구도100
최고속력34노트탑재량63기


3.1.8. 타이호급 항공모함[편집]


함종정규항공모함명칭[실제명칭]大鳳型航空母艦
주포없음주포 배치없음
고각포연장포 6기대공기관총66문
현측장갑17현측내구도50
갑판장갑10갑판내구도100
최고속력33노트탑재량61기


3.1.9. 시나노급 항공모함[편집]


함종정규항공모함명칭[실제명칭]信農型航空母艦
주포없음주포 배치없음
고각포연장포 8기대공기관총145문
현측장갑27현측내구도60
갑판장갑11갑판내구도120
최고속력27노트탑재량47기


3.2. 경항공모함(CVL)[편집]



3.2.1. 호쇼급 경항공모함[편집]




3.2.2. 류조급 경항공모함[편집]




3.2.3. 류호급 경항공모함[편집]




3.2.4. 즈이호급 경항공모함[편집]




3.2.5. 치토세급 경항공모함[편집]




3.2.6. 신요급 경항공모함[편집]




3.2.7. 카이요급 경항공모함[편집]




3.2.8. 타이요급 경항공모함[편집]



4. 잠수함[편집]



4.1. 잠수함(SS)[편집]



5. 상륙함[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5:37:31에 나무위키 제독의 결단 IV/등장 함선/일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실제명칭]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_ ` a b c d e f 실제로 사용되었던 명칭과 게임 내의 명칭은 다른 경우가 많은데, 주로 연구결과의 부족이나 기타 사소한 차이점, 혹은 리토리오급 전함처럼 일본에서만 이상하게 부르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네임쉽이 이미 폐기되어 다른 함선의 이름을 한 경우도 있다.[1] 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컨셉이고, 실질적으로는 전함 레샤디에의 순양전함형에 가깝다.[2] 당시 영미의 전함 중 이보다 주포가 약한 것은 와이오밍급 전함(12인치)과 아이언 듀크급 전함(13.5인치)뿐이었다.[3] 일본군 전함뿐 아니라 이보다 빠른 전함이라고는 아이오와급 전함(33노트)과 HMS 후드, 리토리오급 전함(31노트)가 전부였다. 뱅가드, 비스마르크급 전함, 됭케르크급 전함이 30노트로 동급. 다만 실제로는 3번함 하루나의 경우 미묘하게 빨라서 30.5노트였기에...[4] 탑재량만 정규항모급인 히요를 제외하면 정규항모 중 가장 느린 카가가 28노트인데 그것마저도 시작 시 주어지는 전함 중에서는 콩고급 이외에는 못 따라간다. 야마토급이 27노트로 그나마 크게 뒤쳐지진 않는 정도. 그 다음인 아카기만 해도 31노트라 콩고 말고는 도저히 호위할 수가 없다. 소류, 히류, 운류급 항공모함, 쇼카쿠급 항공모함은 34노트.[5] 진주만 공습 이벤트로 몇 척 가라앉힐 수 있고, 그나마 남은 것도 항공모함함재기와 수뢰전대로 해치울 수 있다. 애초에 이 게임은 함재기와 수뢰전대가 최강이다. 그리고 시작 시에 전함 전력은 분산되어 있을 뿐더러, 조금만 지나도 전함으로 함대결전을 하면 오히려 일본에게 불리하다.[6] 물론 현실에서는 일본의 대공포의 성능이 미국보다 훨씬 떨어졌던 데다가 결정적으로 미국에게는 레이더VT신관이 있었기에 아이오와가 압도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