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도영(아나운서)

덤프버전 :

파일:KBS 로고.svg 한국방송공사 전직 아나운서
[ 펼치기 · 접기 ]

강서은강성곤강수정강영숙강찬선고민정
공정민김경란김도연김동건김민정김명숙
김병찬김선근김선동김영호김지원김태욱
김현욱노현정도경완맹관영박영주박용호
박은영박지윤박찬숙박태남박현선변웅전[A]
서기철손미나손범수손석기송지헌신영일
신은경오영실오유경오정연왕종근원종배
위서현위진록유덕훈유수호유애리유정아
윤소희윤영미이계진이금희이미선이숙영
이성민이정민이지애이지연이창호이한숙
이형걸이혜성임성민임택근[A]장기범장은영
장혜원전영우전인석전현무정다은정도영
정미정정미홍정은아조수빈조우종조충현
지승현진양혜차다혜최계환최동석최선규
최세훈최송현최연택최영미최은경표영준
한석준홍지수황수경황우겸[A]황인용황현정
[A] A B C 1973년 공사화 되기 이전에 퇴사

현직 아나운서 | 지역 아나운서


이름정도영
생년월일1942년
데뷔1971년 KBS 공채 아나운서

1. 개요
2. 출연
3. 중계 스타일 및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1971년 KBS에 입사하여[1] 1990년대 프로야구/메이저리그의 메인 캐스터로 활동하였다. 2000년에는 KBS를 퇴직한 후에는 SBS Sports로 옮겨가서 야구 중계를 하기도 했다.

2005년 야구용어위원회 전문위원으로 선임되기도 하였다.


2. 출연[편집]


  • KBS 스포츠 야구 캐스터(1984~1998, KBO), (1997, MLB)
  • 고교야구 캐스터
  • KBS 장기 고수전 MC[2]


3. 중계 스타일 및 여담[편집]


KBS의 야구 캐스터 계보[3]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캐스터다. 1990년대 중/후반 KBS 야구 중계를 대표하는 캐스터로, 거의 일정한 톤의 중저음이 특징이다. 그의 시그니쳐 멘트는 N점짜리 실책입니다.(주로 상대팀에게 실책으로 점수를 내줄 때)/큽니다, 쭉~ 뻗습니다.(홈런 콜) 등이 있다. 1993년 한국시리즈에서 해태 타이거즈가 팀 통산 7번째 우승을 확정짓는 순간과 1994년 한국시리즈에서 LG 트윈스가 우승을 확정짓는 순간도 정도영 캐스터가 중계했다.

1980~1990년대 KBS에서 스포츠 중계, 그 중에서도 야구 중계를 전담한 아나운서들은 원래 KBS 출신인지, 아니면 TBC 출신인지에 따라 중계 스타일이 크게 갈렸다. 이세진, 정도영 아나운서 같은 KBS 출신 아나운서들은 목소리 톤의 큰 변화가 없는 정석적인 중계를 선보였던 한편으로, 이장우, 유수호 등 TBC 출신 아나운서들은 특유의 말투와 톤이 살아있는 중계를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후배 아나운서들 중 김현태 아나운서가 이런 중계 스타일로 2010~2020년대 들어 비판이 많아졌다. 중계의 톤이 조금 높아지고 속도감이 살아났을 뿐, 멘트는 과거 스타일을 답습했던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정도영 아나운서의 중계 스타일은 당시의 사회 분위기와 방송 트렌드를 잘 타고났던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스포츠 분야에서 활약한 김윤한 아나운서가 그의 동기로, 이 기수는 KBS의 공사화 이전 마지막 기수다.[2] 1992년~1993년에 매주 일요일 아침에 방영했던 말그대로 장기를 두는 프로기사들이 나와서 겨뤘던 프로그램이다. 링크에 연결된 건 1993년 추석특집때 방영된 방송분량이다.[3] 이규항-이세진/이장우/정도영-표영준/유수호-김현태/유지철-이광용/강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