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일본공수/이전 보유 기종

덤프버전 :



1. 에어버스[편집]



1.1. A320[편집]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4126859.jpg
Airbus A320-200, JA8609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201A에어버스A320-21119732003년 3월 14일
JA202A20542003년 6월 21일
JA203A20612003년 7월 30일
JA204A29982007년 1월 23일
JA205AA320-21430992007년 4월 11일
JA206A31472007년 5월 30일
JA207A31482007년 6월 7일
JA208A31892007년 7월 23일
JA8300A320-2115491995년 9월 25일
JA83045311995년 5월 10일
JA83135341995년 5월 19일
JA83811381991년 1월 21일
JA83821391991년 1월 15일
JA83831481991년 2월 14일
JA83841511991년 3월 1일
JA83851671991년 4월 16일
JA83861701991년 4월 25일
JA83871961991년 6월 6일
JA83882121991년 7월 16일
JA83892191991년 7월 28일
JA83902452004년 8월 26일
JA83913002006년 6월 8일
JA83923281992년 6월 24일
JA83933651992년 11월 5일
JA83943831993년 1월 26일
JA83954131993년 4월 22일
JA83964821994년 8월 8일
JA84005541995년 11월 5일
JA89065011994년 12월 8일
JA86545071995년 1월 1일
JA89466691997년 4월 11일
JA89476851997년 6월 18일
JA89976581997년 2월 28일


1.2. A321[편집]


파일:ANA A321-100.jpg
Airbus A321-131, JA102A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101A에어버스A321-1318021998년 3월 30일
JA102A8111998년 4월 20일
JA103A9631999년 3월 1일
JA104A10081999년 4월 29일
JA105A10421999년 7월 6일
JA106A12042004년 4월 14일
JA107A[1]12272004년 6월 8일

현재 운항중인 A321과 달리 V2500 엔진이 달려있었다.
이들은 본래 ANA가 A340을 도입하려고 주문했다가 취소하면서 대신에 A321로 주문을 전환해서 들어온 기종들이다.[2]

모종의 사유로 A320이나 현재 운항중인 A321과 달리 V2500엔진이 달려있어 정비 호환성이 없었으며, 결국 정비 비용 절감을 위해 도입 약 10년만에 모두 송출했다.

2. 보잉[편집]



2.1. 보잉 737 오리지널[편집]


파일:All Nippon Airways B737-281/Adv JA8456.jpg
Boeing 737-281/Adv, JA8456

  • 보잉 737-200 : 23대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8401보잉737-28120226/1681969년 5월 22일
JA840220227/1781969년 6월 17일
JA840320276/2311970년 1월 15일
JA840520227/2351970년 1월 30일
JA840620413/2411970년 2월 20일
JA840720414/2441970년 3월 10일
JA840820449/2591970년 6월 21일
JA840920450/2621970년 6월 22일
JA841020451/2661970년 9월 22일
JA841120452/2701970년 11월 17일
JA8412737-281/Adv20506/2801971년 5월 21일
JA841320507/2821971년 6월 4일
JA841420508/2871971년 10월 4일
JA841720563/2961972년 3월 17일[3]
JA841620562/2931972년 4월 3일
JA841520561/2921972년 4월 13일
N379PS737-21419682/781973년 4월[4]
JA8452737-281/Adv21766/5831979년 6월 29일
JA845321767/5851979년 7월 9일
JA845421768/5861979년 7월 12일
JA845521769/5871979년 7월 24일
JA845621770/5881979년 7월 27일
JA845721771/5941979년 9월 18일


2.2. 보잉 737 클래식[편집]


파일:All Nippon Airways B737-54K JA302K.jpg
Boeing 737-54K, JA302K

  • 보잉 737-500 : 10대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300K보잉737-54K27434/28722000년 3월 31일
JA301K27435/2875
JA302K28990/3002
JA306K29794/3109
JA307K29795/3116
JA819627966/2824
JA840427381/2708
JA850427432/2783
JA859528461/2850
JA859628462/28532003년 4월 7일


2.3. 보잉 737 NG[편집]


파일:All Nippon Airways B737-781 JA09AN.jpg
Boeing 737-781, JA09AN

  • 보잉 737-700 : 7대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07AN보잉737-78133900/20712006년 10월 10일에어 두로 송출
JA08AN33877/20862006년 10월 25일
JA09AN33878/21452007년 1월 10일
JA11AN33882/22682007년 5월 22일
JA12AN33881/23012007년 6월 28일
JA14AN33883/23702007년 9월 10일
JA15AN33888/23942007년 10월 12일
JA16AN[5]33889/24882008년 1월 23일

파일:All Nippon Airways B737-781/ER JA10AN.jpg
Boeing 737-781ER, JA10AN

  • 보잉 737-700ER : 2대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10AN보잉737-781/ER33879/21572007년 2월 14일[6]
JA13AN33880/22322007년 8월 16일

파일:All Nippon Airways B737-871 JA67AN.jpg
Boeing 737-871, JA67AN

  • 보잉 737-800 : 1대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67AN보잉737-88133911/36822011년 6월 21일솔라시드 항공으로 송출

모두 자회사 에어닛폰에서 운행했다.


2.4. 보잉 747[편집]


파일:All Nippon Airways B747SR-81 JA8153.jpg
Boeing 747SR-81, JA8153

  • 보잉 747SR : 17대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8134보잉747SR-8121605/3511978년 12월 20일
JA813321604/3461978년 12월 21일[7]
JA813521606/3601979년 2월 28일
JA813721923/3951979년 9월 5일
JA813621922/3931979년 10월 9일
JA813821924/4201980년 1월 16일
JA813921925/4221980년 2월 15일
JA814522291/4531980년 5월 16일
JA814622292/4561980년 6월 16일
JA814722293/4771980년 11월 25일
JA814822294/4811980년 11월 25일
JA815222594/5111981년 2월 27일
JA815322595/5161981년 5월 28일
JA815622709/5411981년 12월 17일
JA815722710/5441981년 12월 17일
JA815822711/5591982년 6월 17일
JA815922712/5721982년 11월 12일

파일:All Nippon Airways B747-281B JA8174.jpg
Boeing 747-281B, JA8174

  • 보잉 747-200B : 6대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8174보잉747-281B23501/6481986년 6월 25일
JA817523502/6491986년 7월 2일
JA818123698/6671986년 12월 22일
JA818223813/8131987년 7월 13일
JA819024399/7501989년 8월 10일
JA8192747-2D3B22579/5241990년 11월 15일[8]

파일:All Nippon Airways B747-481 JA8958.jpg
Boeing 747-481, JA8958

  • 보잉 747-400 : 10대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8094보잉747-48124801/8051990년 8월 28일
JA809524833/8121990년 10월 10일
JA809624920/8321991년 2월 5일[9]
JA809725135/8631991년 7월 11일
JA809825207/8701991년 8월 21일
JA895825641/9281992년 8월 11일
JA896225645/9791993년 6월 3일[포켓몬제트]
JA403A29262/11991999년 3월 25일
JA404A29263/12041999년 3월 30일
JA405A30322/12502000년 6월 28일

파일:All Nippon Airways B747-481D JA8960.jpg
Boeing 747-481D, JA8960

  • 보잉 747-400D : 13대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8099보잉747-481D25292/8911992년 1월 13일
JA895525639/9141992년 5월 12일
JA895625640/9201992년 6월 9일[*포켓몬제트 ]
JA895725642/9271992년 7월 15일[*포켓몬제트 ]
JA895925646/9521993년 1월 11일
JA896025643/9721993년 5월 11일
JA896125644/9751993년 5월 13일
JA896325647/9911993년 8월 31일
JA896427163/9961994년 3월 24일[*포켓몬제트 ]
JA896527436/10601995년 4월 24일[*포켓몬제트 ]
JA896627442/10661995년 12월 11일[10]
JA401A28282/11331997년 11월 13일[C]
JA402A28283/11421998년 1월 23일[C]


2.5. 보잉 767[편집]



2.6. 보잉 777[편집]


파일:All Nippon Airways B777-281 JA8199.jpg
Boeing 777-281, JA8199

  • 보잉 777-200 : 14대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8197보잉777-28127027/161995년 10월 4일
JA819827028/211995년 12월 20일
JA819927029/291996년 5월 23일
JA896727030/371996년 8월 12일
JA896827031/381996년 8월 14일
JA896927032/501996년 12월 6일
JA701A27938/771997년 1월 23일
JA703A27034/811997년 10월 21일
JA704A27035/1311998년 3월 26일
JA705A29029/1371998년 8월 27일
JA706A27036/1411998년 5월 20일
JA711A33406/4822004년 6월 21일스타얼라이언스 도장
JA712A33407/4952004년 10월 25일스타얼라이언스 도장

파일:All Nippon Airways B777-281/ER JA707A.jpg
Boeing 777-281ER, JA707A

  • 보잉 777-200ER : 2대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707A보잉777-281/ER27037/2471999년 10월 6일
JA708A28277/2782000년 5월 10일
JA709A28278/2862000년 6월 15일
JA710A28279/3022000월 10월 3일

  • 보잉 B777-300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756A보잉777-38127039/4402003년 5월 20일
JA757A27040/4422003년 6월 11일

파일:All Nippon Airways B777-381/ER JA733A(1).jpg
Boeing 777-381ER, JA733A

  • 보잉 777-300ER : 15대
등록기호제작사기종제작번호등록일자비고
JA731A보잉777-381/ER28281/4882004년 10월 28일
JA732A27038/5112005년 4월 25일
JA733A32648/5292005년 10월 20일
JA734A32649/5572006년 3월 23일
JA735A34892/5712006년 6월 15일
JA736A34893/5892006년 9월 27일
JA777A32650/5932006년 10월 19일
JA778A32651/6062007년 1월 24일
JA779A34894/6312007년 8월 26일
JA780A34895/6392007년 5월 31일
JA781A27041/6672007년 9월 25일
JA782A33416/6912008년 1월 24일
JA783A27940/7372008년 6월 31일
JA786A37948/8662010년 5월 17일
JA789A40687/8782010년 6월 30일스타워즈 도장


3. 미쓰비시[편집]



3.1. 미쓰비시 스페이스젯 M90[편집]



  • 미쓰비시 스페이스젯 M90: 15+10대 도입계약 취소

당초 미쓰비시 스페이스젯의 런치 커스터머가 될 예정이었지만, 사업 자체의 진행상의 문제점들과 코로나 19로 인한 수요 감소, 그리고 개발 참여사들의 이탈로 인해 사실상 프로젝트가 공중분해되면서 도입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2023년 2월 개발사인 미츠비시가 사업 철수를 선언하고 개발사를 청산하며 사업은 공식적으로 실패로 끝났으며,# ANA 그룹 역시 공식적으로 주문 취소를 선언하며 완전히 무산되었다. #

원래대로였다면 2010년대 초중반에 개발이 완료되어 전일본공수에 인도되었어야 했다. 전일본공수는 지방 저수요 노선을 연결하던 구형 보잉 737 시리즈 계열기들을 대체하기 위하여 미쓰비시 스페이스젯을 도입할 예정이었으나, 이게 늦어지면서 항공기 운용 계획이 꼬이기에 이른다. 737 계열기 퇴역을 늦추고, AIR DO에서 반환된 구형 737들을 투입하는 한편으로 봉바르디에 Q400기도 추가 도입하면서 버텼지만, 결국 사업이 폐기수순으로 가면서 스페이스젯의 도입은 물거품이 되었다.

도입이 이뤄졌다면 봉바르디에 CRJ700과 엠브라에르의 E-Jet 시리즈 사이의 체급으로 단거리 국내선 수요를 맡았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ANA의 중단거리 협동체기 자리는 보잉 737 계열기와,[11] 2010년대 후반부터 도입되는 A320neo 계열기가 맡고 있으며 산하 항공사 및 협력 항공사들의 여러 기종들이 이 빈 자리를 메우고 있다. 또한 동아시아에선 거의 대한항공만이 운용하고 있는 에어버스 A220 계열기에 대한 관심 또한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4:06:36에 나무위키 전일본공수/이전 보유 기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후 에어부산에 HL7761로 인도되었다. 현재는 퇴역했다.[2] A340의 주문을 취소한 이유는 때마침 더 효율과 성능이 좋은 보잉 777이 나왔기 때문이다.[3] 자회사 에어닛폰으로 넘어갔다가 1999년 다시 돌아왔다. 이후 웨스트젯이 인수하여 운행하였는지는 불명이나 캘거리에서 보존중이다.[4]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항공 임차 운행.[5] 전일본공수에서 운용되다 에어 두로 송출됐으며, 전일본공수 140편 배면비행 사건을 일으켰던 그 기체다.[6] 전 좌석 비즈니스석 사양의 기체였다.[7] 1980년 8월 14일, 더 베스트 텐에 첫 출연한 마츠다 세이코가 해당 기체에서 내린 직후 하네다 공항 주기장에서 푸른 산호초를 열창하는 장면이 생중계되었다.[8] 이 기체의 일생은 상당히 복잡하다. 1981년 로얄 요르단 항공에 처음으로 인도, 1987년 7월 가루다 인도네시아에 리스, 1년도 안 되어 1987년 8월 반납, 1987년 9월 브리티시 칼레도니아 항공으로 매각, 1988년 영국항공으로 매각, 1990년 드디어 이 전일본공수으로 인수되고 1997년 일본화물항공으로 화물기 개조되어 넘어갔다. 2007년 인도네시아의 Jett8 항공으로 매각되고 2009년에는 윌밍턴 신탁(Wilmington Trust Company)가 인수했지만 운행은 여전히 이곳에서 했다. 2012년 Wells Fargo Bank에서 인수했으며 2015년 싱가포르 창이 공항에서 스크랩되며 일생이 끝났다.[9] 영화 해피 플라이트 촬영에 사용되었다.[포켓몬제트] 포켓몬 도색 이력이 있다. [10] 전일본공수 61편 납치 사건의 그 기체이다.[C] A B 원래 국제선 사양의 747-481이었으나 2003년에 국내선용의 747-481D로 개조되었다.[11] 현재는 보잉 737NG가 주력이지만, 00년대 후반에 도입된 기재라 대체 시한이 점차 도래하고 있어 이를 보잉 737 MAX 8로 대체하기로 결정하고 총 30대의 737 MAX 8을 주문(20대 확정, 10대 옵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