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안(제나라)

덤프버전 :





전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신 황제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 왕망 ||
||<#a11> 추존 ||
|| 태초조 · 시조 · 통조 · 세조 · 왕조
제남백왕 · 원성유왕 · 양평경왕 · 신도현왕 ||
||<-4><bgcolor=#A11>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전제(田齊) 국군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bf2f7b>
전씨종주(田氏宗主)
||
||<width=20%>
초대 종주

경중 ||<width=20%>
2대 종주

맹이 ||<width=20%>
3대 종주

맹장 ||<width=20%>
4대 종주

문자 ||
||<width=20%>
5대 종주

환자 ||<width=20%>
6대 종주

무자 ||<width=20%>
7대 종주

희자 ||<width=20%>
8대 종주

성자 ||
||<width=20%>
9대 종주

양자 ||<width=20%>
10대 종주

장자 ||<width=20%>
11대 종주

도자 ||<width=20%>
전씨대제
||
||<-4><bgcolor=#bf2f7b>
전제(田齊) 국군
||
||<width=20%>
초대 국군

태공 ||<width=20%>
2대 국군

제후 섬 ||<width=20%>
3대 국군

환공 ||<width=20%>
초대 왕

위왕 ||
||<width=20%>
2대 왕

선왕 ||<width=20%>
3대 왕

민왕 ||<width=20%>
4대 왕

양왕 ||<width=20%>
말대 왕

제왕 건 ||
||<-4><bgcolor=#ece5b6,#494212>
초한쟁패기
||
||<-4> 교동왕 전시 | 제왕 전도 | 제북왕 전안 ||
||<-4><bgcolor=#fff,#191919> ||
||<-4><bgcolor=#bf2f7b>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濟北王 | 제북왕
묘호왕조(王祖)
시호제북민왕(濟北愍王)
규(嬀)
전(田)
안(安)
조부전건(田建)
6대손왕망(王莽)
생몰 기간음력기원전 ???년 ~ 기원전 206년

1. 개요
2. 상세
3. 후손




1. 개요[편집]


의 마지막 왕인 전건의 손자. 아버지는 누군지 알 수 없다. 묘호는 왕조(王祖).


2. 상세[편집]


진나라 말기의 혼란을 틈타서 반기를 들었다. 전영과는 다른 독자적인 세력을 이뤘으며 제북(濟北) 지방의 고을 몇 개를 점령하고, 항우에게 복종했다. 이 때의 공을 인정받아 항우로부터 제북왕(濟北王)의 작위를 받았으며 수도를 박양에 두었다.

따지고 보면 제나라 최후의 왕인 제왕 전건의 손자이며 전영의 친척이었지만, 빡친[1] 전영한테는 그딴거 없었고, 공격당해 왕이 된 지 6개월만에 죽고 말았다. 사실 기존부터 제왕 전시를 휘두르고 있었던 전영 입장에서는 제왕 전건의 직계이고 독자 세력을 가진 전안이 부담스러웠을 것이다. 초한대전 당시의 혼란스러운 사회를 보여주는 인물.


3. 후손[편집]


본인은 죽었지만 후손들은 성을 '왕'(王)[2]으로 바꿔서 대를 이었다. 그들 중 한 명이 바로 왕망이다. 왕망이 유자(孺子) 유영으로부터 선양받아 신나라를 건국한 후 그의 조상인 전안도 왕으로 추존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3:53:49에 나무위키 전안(제나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항우한테 원한을 사서 공훈을 인정받지 못하고 아무 것도 얻지 못했다.[2] 제나라 규성 전씨 왕실의 후손이라 '왕가'(王家)라고 불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