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소제(전한)

덤프버전 :


한 황제
[ 펼치기 · 접기 ]

전한 前漢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고제혜제소제소제문제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경제무제소제폐제선제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원제성제애제평제정안공
후한 後漢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광무제명제장제화제상제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안제소제순제충제질제
제26대제27대제28대말대
환제영제소제헌제
비정통
동제




한 제3대 황제
소황제 | 少皇帝
즉위기원전 188년 9월 26일
전한 장안 미앙궁
(現 산시성 시안시)
사망기원전 184년 6월 15일
전한 장안 미앙궁
(現 산시성 시안시)
능묘미상
재위기간전한의 황태자
기원전 188년
~ 기원전 188년 9월 26일
전한의 황제
기원전 188년 9월 26일
~ 기원전 184년 6월 15일
[ 펼치기 · 접기 ]

성씨유(劉)
공(恭)
부모부황 혜황제(?)
친모 알 수 없음
형제자매8남 중 장남
제호전소황제(前少皇帝)

1. 개요
2. 생애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한(漢)나라의 제3대 황제.


2. 생애[편집]


이름은 유공(劉恭)이라고 하지만 《사기》(史記), 《한서》(漢書), 《자치통감》(資治通鑑) 및 그 주 어디에도 기록되지 않았으므로 근거는 알 수 없다.[1]

혜제효혜황후 장씨 사이에 자녀가 없었으므로[2] 양자로 들여서 양육하였으나, 일설에는 남의 아이를 데려왔다는 설과 혜제와 후궁 사이에서 태어났는 설이 있다. 여후는 후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염려하여 이 인물의 생모를 죽였다고 전해진다.

기원전 188년, 혜제가 승하한 후 이 인물은 등극하여 소제가 된다. 여태후는 이 인물이 어리다는 이유로 정사에 관여하여 세력을 확장하기 위하여 여씨들을 왕으로 봉하는 등 전횡을 일삼는다.

그러나 이 어린 황제는 성장하면서 과거 진상을 듣게 되고는 "태후가 어찌 내 어머니를 죽이고 나를 (효혜황후의) 아들로 삼을 수 있단 말인가? 내가 아직 어리지만 장성하면 상황이 바뀔 것이다!"라고 공공연히 복수를 맹세했다. 이를 알게 된 여태후는 그를 영항(永巷)[3]에 유폐시킨 후 대외적으로 중병이라 공표하여 아무도 접근하지 못하게 한다. 이에 대해 문무백관은 한 마음으로 여후에게 동조했다.

이렇게 되자 나라를 다스릴 수 없으므로 폐위되었고 머지 않아 살해되었다. 그의 뒤를 이어 또 다른 소제가 뒤를 잇는데 바로 동생 유홍이다.


3.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전한 前漢
고제혜제문제경제
유영
(혜제)
유?
(전소제)
유계
(경제)
유영유철
(무제)
무제선제원제성제
유거유불릉
(소제)
유석
(원제)
유오
(성제)
유흔
(애제)
평제
유영
후한 後漢
광무제명제장제
유강유장
(명제)
유달
(장제)
유경유조
(화제)
화제안제순제
유륭
(상제)
유보
(순제)
유병
(충제)
계한 季漢
소열제회제
유선
(회제)
유선
한 황제



[1] 전목(錢穆)의 《국사대강(國史大綱》이라는 책에 나온다고 한다. 그런데 이 전목이라는 사람은 1895년 생으로 1990년까지 산 현대 인물인데, 무슨 근거로 이런 이름을 올렸는지는 모른다. 중국에서는 전소제의 이름을 미상으로 표기하고 있다. 그런데 20세기 대부분의 기록에서는 전소제의 이름이 다 유공이라고 되어 있어서, 인터넷이 없었다면 전목이 지어낸 이름이 휘로 굳어졌을지도 모른다.[2] 효혜황후는 혜제의 누나의 딸, 즉 자기 조카다. 정황상 혜제가 근친상간을 꺼렸다고 볼 수 있다.[3] 궁중 감옥.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